뉴스홈
기자별 뉴스
TV뉴스
디지털뉴스
[뉴스A]‘고소영-코드 인사’ 인사 실패 과거 사례 살펴보니…
2012-12-23 00:00 정치,정치
Your browser doesn't support HTML5 video.
[앵커멘트]
인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잘못된 인사는 곧 정권에 대한 비난으로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안타깝게도 현 이명박 정부를 비롯해
과거 정부에서는 잘못된 인사 사례가
적지 않았습니다.
한우신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이명박 정부는 출범하자마자
이른바 ‘고소영 인사 논란’으로 삐걱거렸습니다.
고려대 출신과 소망교회 인맥
그리고 영남 출신 인사를
대거 요직에 발탁한 것입니다.
특히 김성호 국정원장, 김경한 법무부장관,
이종찬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 임채진 검찰총장
그리고 어청수 경찰철장까지
주요 사정라인을 전부 영남 출신으로 채웠습니다.
특정 인사를 요직에 계속 기용하는
회전문 인사도 단골 비판거리입니다.
백용호 대통령 정책특보는 이 대통령의 당선과 함께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위원에서 시작해서
공정거래위원장과 국세청장 그리고 청와대 정책실장까지
쉴 새 없이 요직에 발탁됐습니다.
노무현 정부는 능력과 경력보다는
자신의 이념 성향과 맞는 사람을 중용하는
이른바 ‘코드 인사’로 논란이 됐습니다.
강금실 변호사의 법무장관 발탁,
중앙부처 경험이 전무했던 김두관 전 남해군수의 행정자치부 장관 기용,
그리고 문화관광부 장관에 이창동 영화감독을
임명한 것 등이 대표적 사례로 꼽힙니다.
보은 인사도 문제였습니다
이재용 전 환경부 장관은 2004년 총선에서
한나라당 텃밭인 대구에 출마했다 떨어지자
장관으로 기용됐습니다.
2006년 지방 선거에서 다시 대구시장 후보로
나섰다 낙선하자 3개월 뒤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직에 올랐습니다.
그동안 반복된 인사 실패는
인사권자와 집권세력의 편협함을 보여주는 잣대로 인식되면서
정권에 대한 지지율 하락을 불러왔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채널A 뉴스 한우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