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 집권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실이, 총선 대비 여론조사를 하면서 8억 원 넘는 돈을 쓴 정황이 검찰에 포착됐습니다.
그런데 이 여론조사 실무를 담당한 인물은 박근혜 전 대통령 집권 시절 청와대의 이른바 ‘진박 감별’ 여론조사와도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김유빈 기자! (네, 서울중앙지검입니다.)
[질문1]이명박 전 대통령 청와대의 여론조사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진박 감별 여론조사, 무슨 관련이 있다는 얘기입니까?
[리포트]
이명박 전 대통령 집권 첫 해인 지난 2008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청와대 정무수석실은 한 여론조사 업체에 격전 지역 후보들의
지지율을 분석하기 위한 여론조사를 의뢰하는데요,
여론조사 실무를 담당했던 인물은 당시 정무수석실 소속 여론담당 이모 행정관이었습니다.
이 전 행정관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당시 정무수석실이 총선을 앞두고 여론조사 비용으로 거액을 집행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전 행정관은 청와대를 나온 뒤 여의도에서 여론조사 업체를 운영해왔는데요, 바로 이 여론조사 업체는 박근혜 전 대통령 집권 시절 청와대가 이른바 ‘진박 감별’ 여론조사를 의뢰한 업체로 조사됐습니다.
검찰은 이 전 행정관의 진술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가 2008년과 2012년 총선용 여론조사에 8억 원이 넘는 돈을 집행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검찰은 박재완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다사로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에게 자금 출처를 집중 추궁했는데요,
두 사람은 모두 “국정원 특수활동비와는 무관한 일”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질문2]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게 집행유예를 선고한 재판장을 파면하라는 국민청원이 계속되고 있다고요?
서울고법 정형식 부장판사에 대한 특별 감사를 실시하라는 국민청원이 청와대 게시판에 쇄도하고 있습니다.
국민청원은 오늘 오전 10시를 기준으로 16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정 판사의 이름이 거론된 청원은 400건이 넘는데요.
"국민을 바보로 아는 판결"이라는 글과 함께, 파면을 요구하는 등 부정적인 청원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일각에서는 판사의 파면을 청와대에 청원하는 것은 법관 독립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서울중앙지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김유빈 기자 eubini@donga.com
영상취재 : 김재평
영상편집 : 김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