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달 초 식당과 카페 등에도 방역패스를 확대하기로 하면서 편의점은 예외로 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편의점마다 각기 다른 취식 기준이 적용돼 혼란스럽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지 김단비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편의점.
라면을 먹어도 되는지 물었습니다.
[A 편의점]
“(라면 먹을 수 있어요?) 취식은 아예 안 돼요. 드시는 건 아예 안 돼요."
인근 다른 편의점에도 똑같이 물었습니다.
[B 편의점]
“전화(안심콜) 하시면 돼요.”
세 번째 편의점은 방역패스를 요구합니다.
[C 편의점]
“편의점도 식당과 비슷하게 하는 거예요. (정부에서) QR코드를 하라고 그러거든요.”
편의점 별로 실내 취식 기준이 제각각인 겁니다.
이곳은 아예 점포 안에서 먹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매출 하락이 불 보듯 뻔했지만 지방자치단체와 자치구에서 돌아오는 답변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서울 ○○ 편의점주]
“내부에서 취식이 가능하다는 기준이 서로 양분돼 있어서 아예 내부 취식을 금지했습니다. 어느 게 맞는지 몰라서 자칫 잘못했다가 제재 받을 수 있으니까.”
정부는 이달 초 편의점을 백신패스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문제는 편의점 가운데 치킨이나 어묵 같은 음식을 조리해 파는 점포입니다.
전국 편의점 가운데 70%가 이런 형태의 휴게음식점으로 등록돼 있는데 여기에 어떤 방역지침을 적용할 건지 세부 기준이 없어 현장에선 해석이 제각각이었던 겁니다.
방역당국의 지침을 따라야하는 지자체도 난감하긴 마찬가지.
[서울시 관계자]
“지자체에서 알아서 판단해서 해석하라고 처음에는 저희에게 얘기했었죠. 저희는 그렇게 할 수 없으니까 문서로 (중수본에) 질의 한 거였고.”
혼란이 계속되자 방역당국은 오늘 서울 시내 편의점에서 실내 취식시 방역패스 적용을 권고하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
영상취재 채희재
영상편집 김문영
그런데 편의점마다 각기 다른 취식 기준이 적용돼 혼란스럽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는지 김단비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편의점.
라면을 먹어도 되는지 물었습니다.
[A 편의점]
“(라면 먹을 수 있어요?) 취식은 아예 안 돼요. 드시는 건 아예 안 돼요."
인근 다른 편의점에도 똑같이 물었습니다.
[B 편의점]
“전화(안심콜) 하시면 돼요.”
세 번째 편의점은 방역패스를 요구합니다.
[C 편의점]
“편의점도 식당과 비슷하게 하는 거예요. (정부에서) QR코드를 하라고 그러거든요.”
편의점 별로 실내 취식 기준이 제각각인 겁니다.
이곳은 아예 점포 안에서 먹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매출 하락이 불 보듯 뻔했지만 지방자치단체와 자치구에서 돌아오는 답변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서울 ○○ 편의점주]
“내부에서 취식이 가능하다는 기준이 서로 양분돼 있어서 아예 내부 취식을 금지했습니다. 어느 게 맞는지 몰라서 자칫 잘못했다가 제재 받을 수 있으니까.”
정부는 이달 초 편의점을 백신패스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문제는 편의점 가운데 치킨이나 어묵 같은 음식을 조리해 파는 점포입니다.
전국 편의점 가운데 70%가 이런 형태의 휴게음식점으로 등록돼 있는데 여기에 어떤 방역지침을 적용할 건지 세부 기준이 없어 현장에선 해석이 제각각이었던 겁니다.
방역당국의 지침을 따라야하는 지자체도 난감하긴 마찬가지.
[서울시 관계자]
“지자체에서 알아서 판단해서 해석하라고 처음에는 저희에게 얘기했었죠. 저희는 그렇게 할 수 없으니까 문서로 (중수본에) 질의 한 거였고.”
혼란이 계속되자 방역당국은 오늘 서울 시내 편의점에서 실내 취식시 방역패스 적용을 권고하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
영상취재 채희재
영상편집 김문영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