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축구선수부터 감독, 그리고 팬들까지 입을 모아 "열악하다"라고 말하는 경기장 잔디.
대체 어느 정도길래 그런건지, 현장카메라 김승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K리그 경기가 한창인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입니다.
최근 열악한 잔디 상태가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경기 시작 3시간 전.
관계자들이 분주히 움직입니다.
곳곳이 황톳빛으로 변한 경기장에 녹색 가루, 즉 착색 잔디를 뿌리는 겁니다.
[서울시설공단 관계자]
"경기 바로 직전이니까 패인 곳 같은 거 보수하는 거예요 잔디."
그라운드 안에서 자세히 들여다봤습니다.
잔디 밀도가 떨어져 사실상 맨땅을 밟는 느낌입니다.
폭염이 이어진데다 대규모 관객이 몰린 공연 후 보수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결과입니다.
3년 전 10억 원을 들여 잔디를 새로 깔았지만 버텨내지 못했습니다.
축구 선수와 팬들은 경기 승패에 영향을 줄 정도라고 토로합니다.
[김기동 / FC서울 감독(지난달 29일)]
"경기장 (잔디) 사정이 진짜 열악해서 너무 안 좋아서. 퀄리티 있는 마무리가 잘 나오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안데르손 / 수원FC 선수]
"잔디가 없는 부분에 넘어지다 보면 상처가 나고 피가 나거든요. 실제로 지금도 살이 좀 까진 상태고."
큰 공연이 진행되지 않는 다른 경기장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마치 옷을 기운 듯 군데군데 잔디 색이 다릅니다.
올들어 추가로 채운 잔디 규모만 1000㎡.
전체 면적의 8분의 1를 새 잔디로 바꾼 셈입니다.
수시로 잔디를 보충해야 하다보니 아예 뒷편에서 잔디를 키웁니다.
[김재후 / 울산시설공단 문수시설팀]
"올해는 좀 많았다. (평소보다) 2배 정도 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상고온 현상 때문입니다.
품질이 우수해 국내 경기장서 가장 많이 쓰이는 서양 잔디로 조성했는데 28도부터는 잘 자라지 않는 탓에 이번 여름을 견디지 못한 겁니다.
그라운드 위치도 한몫했습니다.
그라운드가 지하 3층 깊이에 있습니다.
공기도 잘 통하지 않고 햇볕도 잘 들지 않아 잔디가 제대로 자라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K리그 1부 구장 12곳 중 5곳은 지하에 있어 내년 여름에도 같은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김재후 / 울산시설공단 문수시설팀]
"선진 사례를 분석해 테스트해 주고 그것을 스탠다드(표준)으로 보급하고 장기적 계획으로 가져가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습니다."
[심규열 / 잔디연구소 소장]
"(서양 잔디도) 종류가 많아요. 여름에 강한 품종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게 하나의 방법이 될 수가 있고…"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잔디 품종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현장카메라 김승희입니다.
PD 장동하
AD 송시원
작가 신채원
축구선수부터 감독, 그리고 팬들까지 입을 모아 "열악하다"라고 말하는 경기장 잔디.
대체 어느 정도길래 그런건지, 현장카메라 김승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K리그 경기가 한창인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입니다.
최근 열악한 잔디 상태가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경기 시작 3시간 전.
관계자들이 분주히 움직입니다.
곳곳이 황톳빛으로 변한 경기장에 녹색 가루, 즉 착색 잔디를 뿌리는 겁니다.
[서울시설공단 관계자]
"경기 바로 직전이니까 패인 곳 같은 거 보수하는 거예요 잔디."
그라운드 안에서 자세히 들여다봤습니다.
잔디 밀도가 떨어져 사실상 맨땅을 밟는 느낌입니다.
폭염이 이어진데다 대규모 관객이 몰린 공연 후 보수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결과입니다.
3년 전 10억 원을 들여 잔디를 새로 깔았지만 버텨내지 못했습니다.
축구 선수와 팬들은 경기 승패에 영향을 줄 정도라고 토로합니다.
[김기동 / FC서울 감독(지난달 29일)]
"경기장 (잔디) 사정이 진짜 열악해서 너무 안 좋아서. 퀄리티 있는 마무리가 잘 나오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안데르손 / 수원FC 선수]
"잔디가 없는 부분에 넘어지다 보면 상처가 나고 피가 나거든요. 실제로 지금도 살이 좀 까진 상태고."
큰 공연이 진행되지 않는 다른 경기장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마치 옷을 기운 듯 군데군데 잔디 색이 다릅니다.
올들어 추가로 채운 잔디 규모만 1000㎡.
전체 면적의 8분의 1를 새 잔디로 바꾼 셈입니다.
수시로 잔디를 보충해야 하다보니 아예 뒷편에서 잔디를 키웁니다.
[김재후 / 울산시설공단 문수시설팀]
"올해는 좀 많았다. (평소보다) 2배 정도 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상고온 현상 때문입니다.
품질이 우수해 국내 경기장서 가장 많이 쓰이는 서양 잔디로 조성했는데 28도부터는 잘 자라지 않는 탓에 이번 여름을 견디지 못한 겁니다.
그라운드 위치도 한몫했습니다.
그라운드가 지하 3층 깊이에 있습니다.
공기도 잘 통하지 않고 햇볕도 잘 들지 않아 잔디가 제대로 자라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K리그 1부 구장 12곳 중 5곳은 지하에 있어 내년 여름에도 같은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김재후 / 울산시설공단 문수시설팀]
"선진 사례를 분석해 테스트해 주고 그것을 스탠다드(표준)으로 보급하고 장기적 계획으로 가져가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습니다."
[심규열 / 잔디연구소 소장]
"(서양 잔디도) 종류가 많아요. 여름에 강한 품종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게 하나의 방법이 될 수가 있고…"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잔디 품종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현장카메라 김승희입니다.
PD 장동하
AD 송시원
작가 신채원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