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선거가 21일 밖에 안 남았는데요. 선거 초반 양당 전략이 뚜렷하게 취재가 된 것 같아요. 흥미로운 건 양쪽이 꿈꾸는 지난 대선이 있다면서요?
네. 민주당은 2007년 대선을 꿈꾸고 있습니다.
기억 나시나요?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그야말로 압승했던 대선입니다.
Q2.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얼마나 압승했었죠?
당시 박근혜 후보와 어렵게 경선을 치르고 올라온 이명박 후보, 본선에서는 그야말로 대승을 거뒀습니다.
22.53%p, 520만표 차, 당시 2위 정동영 후보와의 격차입니다.
대선 역사상 최대 격차였죠.
Q2-1. 이재명 대세론으로 압도하겠다는 건데, 그런 큰 격차가 어떻게 가능했나요?
민주당이 노리는 게 바로 이 단어입니다.
보수층의 '투표 포기'인데요.
당시 민주당 쪽 지지자들이 이명박 대세론에 어차피 끝났다며 투표장에 안나갔던 것처럼, 보수 지지층에 똑같은 무력감을 느끼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김문수 후보 지지율을 30%대 밑으로 가두면, 역대 최고 득표율, 55%도 가능하다고 보는 분위기입니다.
Q3. 보수 지지층을 포기하게 하는 전략 뭔가요?
더 중도 보수로 외연을 넓히고 김문수 후보를 극우로 몰겠다는 거죠.
그 때와 다른 점도 있는데요.
기억해보시면 그 때도 3자 구도였는데, 3위가 이회창 후보였습니다.
그러니까 당시엔 1위인 이명박 후보가 3위인 이회창 후보와 보수진영 표를 나눠먹는 구조였죠.
같은 3자지만 이번엔 다릅니다.
2위인 김문수 후보와 3위인 이준석 후보가 나눠먹는 구조죠.
이준석 후보와 함께 김문수 후보를 극우로 모는 더 쉬운 전략인 셈이죠.
국민의힘 내부 분열도 내심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Q5. 민주당 입장에서는 콧노래가 나오겠어요.
하지만, 신경쓰는 대목 김문수의 파괴력, 잠재력입니다.
민주당이 사실 예상했던 본선 상대는 아니거든요.
경선과 단일화 과정에 드라마틱하게 본선에 올라온 김 후보가 어느 정도 파괴력을 가질지, 가늠이 안 되는 부분도 있어 긴장의 끈은 놓지 않고 있습니다.
Q6. 국민의힘은 어느 선거를 꿈꾸는 거에요?
바로 4년 넘게 이어졌던 '이회창 대세론'을 바람으로 뒤집은 2002년 노무현 모델입니다.
Q7. 21일 밖에 안 남았는데 가능하대요?
선대위 핵심 관계자, 두 가지 유사점을 꼽더라고요.
그 첫번째가 드라마틱한 전개입니다.
1.6% 지지율이었던 노무현 후보가 경선 과정에서 바람을 일으켜 역전 드라마를 쓴 것처럼, 김문수 후보가 경선 승리, 단일 후보가 된 게 드라마의 시작이라는 거죠.
Q8. 그래도 시간이 부족해보이는데요?
영화 대사처럼 "아직 한 발 남았다"라고 하더라고요.
바로 '단일화'입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단일화는 여전히 남은 카드라는 겁니다.
이질적이었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를 꿈꾸는 거죠.
Q8. 이준석 후보가 가능성 0%라던데요?
일단 차근차근 가보겠다고 합니다.
"하루에 1%p씩 지지율 올린다"고요.
민주당이 꿈꾸는 지지층의 대선 포기만은 반드시 막겠다는 겁니다.
이번주 안에 한자릿수 격차로만 붙으면, 지지자들 가슴에 다시 불을 붙이고, 이준석 후보도 단일화 압박을 받을 거라는 거죠.
Q9. 선거가 20일 밖에 안남았는데 가능할까요.
이 전략을 시작했습니다.
역할 분담이요.
90년생 비대위원장 김용태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 과오를 반성하며, 중도층 공략의 길을 트면 김문수 후보가 지지층을 껴안으며 반 박자씩 늦게 따라가는 전략입니다.
2007년처럼 압도적일지, 2002년 대역전극이 펼쳐질지 남은 21일에 달려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홍지은 기자rediu@ichannela.com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선거가 21일 밖에 안 남았는데요. 선거 초반 양당 전략이 뚜렷하게 취재가 된 것 같아요. 흥미로운 건 양쪽이 꿈꾸는 지난 대선이 있다면서요?
네. 민주당은 2007년 대선을 꿈꾸고 있습니다.
기억 나시나요?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그야말로 압승했던 대선입니다.
Q2.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얼마나 압승했었죠?
당시 박근혜 후보와 어렵게 경선을 치르고 올라온 이명박 후보, 본선에서는 그야말로 대승을 거뒀습니다.
22.53%p, 520만표 차, 당시 2위 정동영 후보와의 격차입니다.
대선 역사상 최대 격차였죠.
Q2-1. 이재명 대세론으로 압도하겠다는 건데, 그런 큰 격차가 어떻게 가능했나요?
민주당이 노리는 게 바로 이 단어입니다.
보수층의 '투표 포기'인데요.
당시 민주당 쪽 지지자들이 이명박 대세론에 어차피 끝났다며 투표장에 안나갔던 것처럼, 보수 지지층에 똑같은 무력감을 느끼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김문수 후보 지지율을 30%대 밑으로 가두면, 역대 최고 득표율, 55%도 가능하다고 보는 분위기입니다.
Q3. 보수 지지층을 포기하게 하는 전략 뭔가요?
더 중도 보수로 외연을 넓히고 김문수 후보를 극우로 몰겠다는 거죠.
그 때와 다른 점도 있는데요.
기억해보시면 그 때도 3자 구도였는데, 3위가 이회창 후보였습니다.
그러니까 당시엔 1위인 이명박 후보가 3위인 이회창 후보와 보수진영 표를 나눠먹는 구조였죠.
같은 3자지만 이번엔 다릅니다.
2위인 김문수 후보와 3위인 이준석 후보가 나눠먹는 구조죠.
이준석 후보와 함께 김문수 후보를 극우로 모는 더 쉬운 전략인 셈이죠.
국민의힘 내부 분열도 내심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Q5. 민주당 입장에서는 콧노래가 나오겠어요.
하지만, 신경쓰는 대목 김문수의 파괴력, 잠재력입니다.
민주당이 사실 예상했던 본선 상대는 아니거든요.
경선과 단일화 과정에 드라마틱하게 본선에 올라온 김 후보가 어느 정도 파괴력을 가질지, 가늠이 안 되는 부분도 있어 긴장의 끈은 놓지 않고 있습니다.
Q6. 국민의힘은 어느 선거를 꿈꾸는 거에요?
바로 4년 넘게 이어졌던 '이회창 대세론'을 바람으로 뒤집은 2002년 노무현 모델입니다.
Q7. 21일 밖에 안 남았는데 가능하대요?
선대위 핵심 관계자, 두 가지 유사점을 꼽더라고요.
그 첫번째가 드라마틱한 전개입니다.
1.6% 지지율이었던 노무현 후보가 경선 과정에서 바람을 일으켜 역전 드라마를 쓴 것처럼, 김문수 후보가 경선 승리, 단일 후보가 된 게 드라마의 시작이라는 거죠.
Q8. 그래도 시간이 부족해보이는데요?
영화 대사처럼 "아직 한 발 남았다"라고 하더라고요.
바로 '단일화'입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단일화는 여전히 남은 카드라는 겁니다.
이질적이었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를 꿈꾸는 거죠.
Q8. 이준석 후보가 가능성 0%라던데요?
일단 차근차근 가보겠다고 합니다.
"하루에 1%p씩 지지율 올린다"고요.
민주당이 꿈꾸는 지지층의 대선 포기만은 반드시 막겠다는 겁니다.
이번주 안에 한자릿수 격차로만 붙으면, 지지자들 가슴에 다시 불을 붙이고, 이준석 후보도 단일화 압박을 받을 거라는 거죠.
Q9. 선거가 20일 밖에 안남았는데 가능할까요.
이 전략을 시작했습니다.
역할 분담이요.
90년생 비대위원장 김용태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 과오를 반성하며, 중도층 공략의 길을 트면 김문수 후보가 지지층을 껴안으며 반 박자씩 늦게 따라가는 전략입니다.
2007년처럼 압도적일지, 2002년 대역전극이 펼쳐질지 남은 21일에 달려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홍지은 기자rediu@ichannela.com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