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_24일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2+2 협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산업부 장관, 최상목 경제부총리,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_기획재정부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조치와 관련해 진행된 첫 한미 통상 협의에서 우리 정부는 미국에 상호·품목별 관세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또 한국의 에너지 안보 제고 및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위해 양국이 상호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자고도 먼저 제안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현지시각 24일 열린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논의가 이뤄졌다고 오늘(25일) 밝혔습니다.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 청사에서 1시간 10분 가량 진행된 이번 협의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습니다.
기재부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미국의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우려를 전달하고, 한국은 미국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 양국 모두에 이득이 되는 상호 호혜적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자고도 제안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아울러 한국의 현 상황 등 제반 여건을 감안할 때 차분하고 질서있는 협의가 필요하다고 미 측에 설명했습니다. 오는 6.3 조기대선을 통해 한국에 새 정부가 들어서는 상황을 전달하며 협상 속도를 조절하자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안 장관은 지속 가능하고 균형감 있는 한미 간 교역과 한국의 에너지 안보 제고,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위한 양국의 상호 기여 방안 등을 제안하며 한국에 대한 상호 및 품목별 관세 조치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기재부는 이번 협의에 대해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다며, 앞으로 실무회의와 추가적인 고위급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임종민 기자forest13@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