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두순이 출소한지 딱 1주일 됐습니다.
흉악범이 세상 밖으로 나온다는 소식에 마음을 졸이던 이웃주민들, 그런데 이들에게 또다른 공포가 찾아왔습니다.
조두순을 처단하겠다며 찾아든 인터넷 방송 진행자들인데요,
더 많은 조회수와 수익을 얻기 위해 자극적인 발언과 행동도 서슴치 않습니다.
조두순의 호송차량을 부순 30대 유튜버에게 경찰이 오늘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했죠.
이를 비롯해서 소란을 피우다 경찰에 입건된 9명 중 4명은 인터넷 방송 진행자들이었습니다.
Q1. 조두순 집 앞에서 인터넷 방송을 해서 엄청난 수익을 올렸다고 자랑한 사람도 있었다고요?
그렇습니다.
조두순의 출소날인 지난 12일부터 사흘간 안산 집 주변에서 현장상황을 중계한 인터넷 방송 진행자인데요,
3일동안에만 1700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주장했습니다.
광고수익과 구독자들의 후원을 합해서 하루 600만 원 가까운 돈을 벌어들였다는 겁니다.
Q2. 논란이 이니까, 해당 인터넷 방송 진행자가 반응을 내놓긴 했어요?
"조두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러 갔던 것이지, 수익을 목적으로 한 건 아니다"라고 해명했습니다.
수익금 전액을 안산지역 복지원에 기부하겠다고 밝혔는데,
하지만 인터넷 상에선 '조두순을 혼내준다'는 뜻의 '조두순 참교육'을 키워드로 한 영상이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현장음]
"두순아 나와라. 이 ○○○야. ○○○○야. 틀린 말 했어 내가? 이 ○○를 안 죽인 제가 죄인이야."
피해를 입는 건 결국 주민들입니다. 1주일 사이 경찰에 접수된 민원만 130건이 넘는데,
더 큰 문제는 이들이 찍어올린 영상에 사건과는 전혀 상관없는 주민들의 모습이 여과없이 노출됐다는 겁니다.
Q3. 무분별한 인터넷 방송에 대해서는 계속 문제제기가 있어왔잖아요. 최근엔 국민청원도 올라왔다면서요?
한 식당 주인이 인터넷 방송 진행자가 올린 허위 영상 하나 때문에 식당 문까지 닫게 됐다면서 청와대 국민청원을 올렸습니다.
65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진행자가 무한리필 간장게장집에서 음식을 재사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건데,
리필해 준 게장에서 밥알이 발견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식당 CCTV를 확인해 보니, 문제의 밥알은 본인이 먹던 것이었습니다.
[○○인터넷 방송]
"정확한 팩트를 가지고 영상을 풀어나가고 이야기를 했어야 했는데 파급력을 생각하지 못 한 무지함에 진심으로 죄송합니다."
사과를 하긴 했습니다. 하지만, 영업중단에 따른 피해에 대해선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는 게 식당 주인의 주장입니다.
Q4. 인생이 달린 문제인데, 처벌할 방법은 없는 겁니까?
현행법상에는 인터넷 상에서 허위사실로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돼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벌금형이고 금액도 얼마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벌금을 내더라도 인지도를 높여서 더 많은 광고를 붙이는 게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래서 일각에서는 금전적 피해를 입힐 경우 피해액의 3배에서 5배를 물게 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또 문제가 된 진행자들의 채널을 영구 삭제하는 것을 비롯해서 보다 강력한 법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건을 보다, 최석호 기자였습니다.
흉악범이 세상 밖으로 나온다는 소식에 마음을 졸이던 이웃주민들, 그런데 이들에게 또다른 공포가 찾아왔습니다.
조두순을 처단하겠다며 찾아든 인터넷 방송 진행자들인데요,
더 많은 조회수와 수익을 얻기 위해 자극적인 발언과 행동도 서슴치 않습니다.
조두순의 호송차량을 부순 30대 유튜버에게 경찰이 오늘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했죠.
이를 비롯해서 소란을 피우다 경찰에 입건된 9명 중 4명은 인터넷 방송 진행자들이었습니다.
Q1. 조두순 집 앞에서 인터넷 방송을 해서 엄청난 수익을 올렸다고 자랑한 사람도 있었다고요?
그렇습니다.
조두순의 출소날인 지난 12일부터 사흘간 안산 집 주변에서 현장상황을 중계한 인터넷 방송 진행자인데요,
3일동안에만 1700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주장했습니다.
광고수익과 구독자들의 후원을 합해서 하루 600만 원 가까운 돈을 벌어들였다는 겁니다.
Q2. 논란이 이니까, 해당 인터넷 방송 진행자가 반응을 내놓긴 했어요?
"조두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러 갔던 것이지, 수익을 목적으로 한 건 아니다"라고 해명했습니다.
수익금 전액을 안산지역 복지원에 기부하겠다고 밝혔는데,
하지만 인터넷 상에선 '조두순을 혼내준다'는 뜻의 '조두순 참교육'을 키워드로 한 영상이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현장음]
"두순아 나와라. 이 ○○○야. ○○○○야. 틀린 말 했어 내가? 이 ○○를 안 죽인 제가 죄인이야."
피해를 입는 건 결국 주민들입니다. 1주일 사이 경찰에 접수된 민원만 130건이 넘는데,
더 큰 문제는 이들이 찍어올린 영상에 사건과는 전혀 상관없는 주민들의 모습이 여과없이 노출됐다는 겁니다.
Q3. 무분별한 인터넷 방송에 대해서는 계속 문제제기가 있어왔잖아요. 최근엔 국민청원도 올라왔다면서요?
한 식당 주인이 인터넷 방송 진행자가 올린 허위 영상 하나 때문에 식당 문까지 닫게 됐다면서 청와대 국민청원을 올렸습니다.
65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진행자가 무한리필 간장게장집에서 음식을 재사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건데,
리필해 준 게장에서 밥알이 발견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식당 CCTV를 확인해 보니, 문제의 밥알은 본인이 먹던 것이었습니다.
[○○인터넷 방송]
"정확한 팩트를 가지고 영상을 풀어나가고 이야기를 했어야 했는데 파급력을 생각하지 못 한 무지함에 진심으로 죄송합니다."
사과를 하긴 했습니다. 하지만, 영업중단에 따른 피해에 대해선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는 게 식당 주인의 주장입니다.
Q4. 인생이 달린 문제인데, 처벌할 방법은 없는 겁니까?
현행법상에는 인터넷 상에서 허위사실로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돼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이 벌금형이고 금액도 얼마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벌금을 내더라도 인지도를 높여서 더 많은 광고를 붙이는 게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래서 일각에서는 금전적 피해를 입힐 경우 피해액의 3배에서 5배를 물게 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또 문제가 된 진행자들의 채널을 영구 삭제하는 것을 비롯해서 보다 강력한 법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건을 보다, 최석호 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