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靑 국가안보실 지침에 달라진 군…누가 어떤 지시를?
2022-06-16 19:11 정치

[앵커]
오늘 국방부 보도자료에 이런 문구가 있습니다.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로부터 지침을 하달 받아 과연 그때 누가, 왜, 어떤 지시를 했는지 책임 규명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문재인 청와대가 다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전혜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방부는 지난 2020년 9월 27일 청와대 국가안보실로부터 서해 공무원 피살사건 관련 주요 쟁점 답변 지침을 하달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사건 발생 직후인 2020년 9월 24일 국방부는 "북한군이 우리 국민 시신을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다"며 "북한의 만행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안보실로부터 지침을 받은 뒤 국방부는 "시신 소각이 추정되며 사실 확인을 위해 공동조사가 필요하다"며 입장을 바꿨습니다.

공무원의 월북 시도가 추정된다는 최초 발표 내용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안보실이 당시 지침을 내린 것을 두고 북한이 청와대에 통지문을 보낸 것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서훈 / 당시 대통령 국가안보실장(지난 2020년 9월 25일)]
"(통지문에 따르면) 침입자가 타고 있던 부유물은 국가비상방역 규정에 따라 해상 현지에서 소각하였다고 합니다."

대통령실은 오늘 발표 뒤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진 월북 가능성이 높다고 본 데에 어떤 의도가 있는지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두고 수사가 개시될 경우 문재인 청와대로 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당시 안보실 최고책임자는 서훈 국가안보실장이었는데 안보실과 군 당국 간의 소통은 주로 구두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문재인 청와대에서 국정기획상황실장을 지낸 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정부는 당시 다각도로 첩보를 분석하고 수사를 벌인 결과
월북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고 반박했습니다.

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

영상편집 박형기
[채널A 뉴스] 구독하기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