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이 들끓자 정부는 총리실이 주도하는 합동조사단을 꾸렸습니다.
공무원, LH 직원 토지거래를 전수조사하겠다 합니다.
속도도 강조했습니다.
다음 주면 1차 결과 내놓겠다는데, 투기를 명명백백 밝힐 수 있을까요?
과거 비슷한 사건 때와 달리 검찰도 감사원도 빠졌습니다.
셀프조사일 뿐 아니라 계좌추적권도 없습니다.
결국 선거 때문에 보여주기식 조사 아닌가 비판이 나옵니다.
김단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 합동조사단은 어제부터 국토부와 LH 직원 1만 4천 명을 대상으로 토지거래 전수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국토부의 토지 거래 전산망을 이용해 직원들의 의심스러운 거래를 찾아내겠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전 직원 대상으로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도 받고 있습니다.
정보 수집 범위는 문재인 정부 들어 지정된 신규 택지 8곳으로 한정했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수집 동의를 강제할 순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시작도 전에 반쪽 조사 아니냔 비판도 나옵니다.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은 동의 없이는 조사하기 어렵고 차명이나 친인척을 통한 거래는 더욱 찾아내기 힘듭니다.
정부는 다음 주 1차 조사 결과를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수만 명, 수백만 평의 땅을 내실 있게 조사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투기 수사와 조사를 많이 해본 검찰과 감사원이 빠진 정부의 '셀프 조사'이기 때문입니다.
[이효연 / 경기 일산동구]
"보여주기 식으로 내부에서 조사를 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만약에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했으면 정부에서도 검찰이나 감사원 쪽으로 적극적으로 맡기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경기 파주시 시민]
"자기네들이 식구들 (조사)하면 그게 제대로 수사가 되겠어요? 공정하다고 생각을 않죠. 국토부나 LH나 똑같은 기관이니까. 딴 기관에서 한다면 모를까."
실제 과거 신도시 투기 사건 때는 검찰이 합동수사본부를 꾸려 말 그대로 공직 사회를 탈탈 털었습니다.
그 결과 1기 신도시에서는 노태우 정부 때 공직자 141명을, 2기 신도시가 발표된 노무현 정부 때는 공직자 27명을 적발한 바 있습니다.
때문에 검찰을 배제한 이번 전수조사는 다음 달 선거를 의식한 여론 무마용 보여주기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
영상취재 박희현
영상편집 이혜진
공무원, LH 직원 토지거래를 전수조사하겠다 합니다.
속도도 강조했습니다.
다음 주면 1차 결과 내놓겠다는데, 투기를 명명백백 밝힐 수 있을까요?
과거 비슷한 사건 때와 달리 검찰도 감사원도 빠졌습니다.
셀프조사일 뿐 아니라 계좌추적권도 없습니다.
결국 선거 때문에 보여주기식 조사 아닌가 비판이 나옵니다.
김단비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 합동조사단은 어제부터 국토부와 LH 직원 1만 4천 명을 대상으로 토지거래 전수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국토부의 토지 거래 전산망을 이용해 직원들의 의심스러운 거래를 찾아내겠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전 직원 대상으로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도 받고 있습니다.
정보 수집 범위는 문재인 정부 들어 지정된 신규 택지 8곳으로 한정했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수집 동의를 강제할 순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시작도 전에 반쪽 조사 아니냔 비판도 나옵니다.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은 동의 없이는 조사하기 어렵고 차명이나 친인척을 통한 거래는 더욱 찾아내기 힘듭니다.
정부는 다음 주 1차 조사 결과를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수만 명, 수백만 평의 땅을 내실 있게 조사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투기 수사와 조사를 많이 해본 검찰과 감사원이 빠진 정부의 '셀프 조사'이기 때문입니다.
[이효연 / 경기 일산동구]
"보여주기 식으로 내부에서 조사를 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만약에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했으면 정부에서도 검찰이나 감사원 쪽으로 적극적으로 맡기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경기 파주시 시민]
"자기네들이 식구들 (조사)하면 그게 제대로 수사가 되겠어요? 공정하다고 생각을 않죠. 국토부나 LH나 똑같은 기관이니까. 딴 기관에서 한다면 모를까."
실제 과거 신도시 투기 사건 때는 검찰이 합동수사본부를 꾸려 말 그대로 공직 사회를 탈탈 털었습니다.
그 결과 1기 신도시에서는 노태우 정부 때 공직자 141명을, 2기 신도시가 발표된 노무현 정부 때는 공직자 27명을 적발한 바 있습니다.
때문에 검찰을 배제한 이번 전수조사는 다음 달 선거를 의식한 여론 무마용 보여주기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
영상취재 박희현
영상편집 이혜진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