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 국회 국방위에서 계엄사태와 관련해 긴급현안질의가 열렸습니다.
국방부 차관과 계엄사령관이었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참석해 상황을 증언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계엄군 투입 명령을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이 직접 구두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현 전 장관은 '명령 불응은 항명'이라는 말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현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에 군부대 투입을 직접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여러가지 얘기가 있는데. 구두 명령을 장관이 했다고 들었습니다."
[김선호 / 국방부 차관]
"차관은 지시할 위치가 아니고 병력에 대한 투입 지시는 장관께서 하셨습니다."
계엄사령관을 만나고 비상계엄 관련 임무를 전한 것도 김 전 장관이었습니다.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지시를 언제 받았습니까?) 22시 23분경에서부터 한 30분 어간."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장관님께서 경찰청에 포고령을 내려갔다고 알려주고 포고령 1조에 대해서 설명해줘라해서 경찰병력을 요청했습니다."
김 전 장관은 비상계엄 발표 직후 전군주요지휘관회의서 명령불응은 항명이라는 말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군사 활동은 장관이 책임진다고했고 명령 불응시에는 항명죄가 된다."
6시간 만에 끝난 비상계엄 사태는 김 전 장관의 군 철수 명령으로 마무리가 됐습니다.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철수 명령은 장관님께서 하셨습니다."
계엄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김 전 장관의 적극적인 관여 정황이 드러나면서 이를 둘러싼 책임공방이 커질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조현선입니다.
영상취재 김재평
영상편집 구혜정
오늘 국회 국방위에서 계엄사태와 관련해 긴급현안질의가 열렸습니다.
국방부 차관과 계엄사령관이었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참석해 상황을 증언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계엄군 투입 명령을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이 직접 구두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현 전 장관은 '명령 불응은 항명'이라는 말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현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에 군부대 투입을 직접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여러가지 얘기가 있는데. 구두 명령을 장관이 했다고 들었습니다."
[김선호 / 국방부 차관]
"차관은 지시할 위치가 아니고 병력에 대한 투입 지시는 장관께서 하셨습니다."
계엄사령관을 만나고 비상계엄 관련 임무를 전한 것도 김 전 장관이었습니다.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지시를 언제 받았습니까?) 22시 23분경에서부터 한 30분 어간."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장관님께서 경찰청에 포고령을 내려갔다고 알려주고 포고령 1조에 대해서 설명해줘라해서 경찰병력을 요청했습니다."
김 전 장관은 비상계엄 발표 직후 전군주요지휘관회의서 명령불응은 항명이라는 말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군사 활동은 장관이 책임진다고했고 명령 불응시에는 항명죄가 된다."
6시간 만에 끝난 비상계엄 사태는 김 전 장관의 군 철수 명령으로 마무리가 됐습니다.
[박안수 /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철수 명령은 장관님께서 하셨습니다."
계엄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김 전 장관의 적극적인 관여 정황이 드러나면서 이를 둘러싼 책임공방이 커질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조현선입니다.
영상취재 김재평
영상편집 구혜정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