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는기자,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
Q1.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재표결을 야당이 벼르고 있던데 언제에요?
재표결에서 여당 내 반란표가 나올 거냐가 관심이죠.
야당,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바로 재표결 하겠다, 벼르고 있습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마지노선이 10월 4일인데, 토요일이라도 본회의 열겠다고 엄포를 놓더라고요.
Q2. 얼마 안 남았네요. 재표결 핵심은 결국 이탈표가 나오냐 인데, 친한계에서 이탈표 나올 가능성 있습니까?
친한계 분위기 취재해보면 당장 이번 재표결에서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 높지는 않습니다.
이번에 통과된 특검법에는 지금 보시는 의혹들이 다 들어있습니다. 8개나 되거든요.
여당 내에선 김 여사가 부담이지만 이건 지나치다는 공감대가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다음은 장담 못한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Q3. 야당은 거부권으로 법안이 폐기되도 언제든 다시 발의하겠다는 입장이잖아요.
네, 친한계가 걱정하는 부분이 시간이 지날 수록 김 여사 여론이 더 악화되고 있다는 건데요.
오늘 나온 여론조사를 보면 김 여사 특검법에 찬성하는 응답이 65% 입니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찬성이 58%로 과반입니다.
이런데 어떻게 가만있냐는 겁니다.
명품백 수수 의혹은 검찰이 불기소 하면 오히려 특검 여론은 더 높아질 수 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건도 기소를 해도 불기소 해도 여권은 둘 다 난감한 상황에 처한다는 겁니다.
한동훈 대표 측은 "임계치가 다가온다" "채상병 특검보다 더 위태롭다"고 상당히 우려하더라고요.
Q4. 한 대표 쪽 이야기가 좀 세네요. 한 대표, 최근 독대도 불발되고 하면서 감정이 좀 상해서 그런 걸까요?
독대를 못 해서 감정 상한 게 아니다. 야당의 김여사 공세를 막아낼 방법 찾기 위해 독대가 필요했다 는게 한 대표 측 입장인데요.
한 대표는 독대를 하면 김건희 여사의 사과, 그리고 공개행보 자제 등을 요청하려 했었다고 하는데요.
국민들 마음이 풀릴 수 있는 방법은 그것 뿐이라고요.
조금 강경한 쪽에서는 "대통령 지지율이 계속 이렇게 낮으면 의원들도 흔들릴 것"이란 말도 있고요.
"이탈표 없다고 장담할 수 있느냐, 한 대표 따르는 의원이 8명이 안 되겠느냐"고도 하더라고요.
당장 다음달부터 시작될 국정감사에서 김 여사에 대한 야당 공세는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이고요.
법사위는 이미 김 여사 모녀를 증인으로 채택한 상황입니다.
Q6. 대통령실은 어떻습니까. 위기감을 느낄 텐데요.
대통령실은 김 여사에 대한 정치공세는 차단, "무조건 막아라" 입니다.
다만 김 여사 사과 문제는 일부 고민을 하고 있기도 합니다.
곧 제2부속실도 출범할 거고, 노력하고 있다고도요.
어느덧 김여사 이슈가 정치권 최대 블랙홀이 돼버렸는데, 돌파구 마련은 아직 멀어 보입니다.
아는기자, 이세진 기자와 함께했습니다.
아는기자,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
Q1. 김건희 여사 특검법 재표결을 야당이 벼르고 있던데 언제에요?
재표결에서 여당 내 반란표가 나올 거냐가 관심이죠.
야당,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바로 재표결 하겠다, 벼르고 있습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마지노선이 10월 4일인데, 토요일이라도 본회의 열겠다고 엄포를 놓더라고요.
Q2. 얼마 안 남았네요. 재표결 핵심은 결국 이탈표가 나오냐 인데, 친한계에서 이탈표 나올 가능성 있습니까?
친한계 분위기 취재해보면 당장 이번 재표결에서 이탈표가 나올 가능성 높지는 않습니다.
이번에 통과된 특검법에는 지금 보시는 의혹들이 다 들어있습니다. 8개나 되거든요.
여당 내에선 김 여사가 부담이지만 이건 지나치다는 공감대가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다음은 장담 못한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Q3. 야당은 거부권으로 법안이 폐기되도 언제든 다시 발의하겠다는 입장이잖아요.
네, 친한계가 걱정하는 부분이 시간이 지날 수록 김 여사 여론이 더 악화되고 있다는 건데요.
오늘 나온 여론조사를 보면 김 여사 특검법에 찬성하는 응답이 65% 입니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찬성이 58%로 과반입니다.
이런데 어떻게 가만있냐는 겁니다.
명품백 수수 의혹은 검찰이 불기소 하면 오히려 특검 여론은 더 높아질 수 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건도 기소를 해도 불기소 해도 여권은 둘 다 난감한 상황에 처한다는 겁니다.
한동훈 대표 측은 "임계치가 다가온다" "채상병 특검보다 더 위태롭다"고 상당히 우려하더라고요.
Q4. 한 대표 쪽 이야기가 좀 세네요. 한 대표, 최근 독대도 불발되고 하면서 감정이 좀 상해서 그런 걸까요?
독대를 못 해서 감정 상한 게 아니다. 야당의 김여사 공세를 막아낼 방법 찾기 위해 독대가 필요했다 는게 한 대표 측 입장인데요.
한 대표는 독대를 하면 김건희 여사의 사과, 그리고 공개행보 자제 등을 요청하려 했었다고 하는데요.
국민들 마음이 풀릴 수 있는 방법은 그것 뿐이라고요.
조금 강경한 쪽에서는 "대통령 지지율이 계속 이렇게 낮으면 의원들도 흔들릴 것"이란 말도 있고요.
"이탈표 없다고 장담할 수 있느냐, 한 대표 따르는 의원이 8명이 안 되겠느냐"고도 하더라고요.
당장 다음달부터 시작될 국정감사에서 김 여사에 대한 야당 공세는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이고요.
법사위는 이미 김 여사 모녀를 증인으로 채택한 상황입니다.
Q6. 대통령실은 어떻습니까. 위기감을 느낄 텐데요.
대통령실은 김 여사에 대한 정치공세는 차단, "무조건 막아라" 입니다.
다만 김 여사 사과 문제는 일부 고민을 하고 있기도 합니다.
곧 제2부속실도 출범할 거고, 노력하고 있다고도요.
어느덧 김여사 이슈가 정치권 최대 블랙홀이 돼버렸는데, 돌파구 마련은 아직 멀어 보입니다.
아는기자, 이세진 기자와 함께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