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틀 전 119 신고센터에 미스터리한 전화 한 통이 걸려왔습니다.
"인천 계양산 외진 곳에 있으니 살려달라"는 어느 여성의 다급한 신고 전화였습니다.
그런데 이 여성의 휴대전화는 다시 전화를 걸 수도 위치 추적을 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녀의 전화번호 앞자리는 '045', 통상적인 번호가 아니었습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이 여성을찾기 위해 사흘째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곽민경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과 소방 대원들이 수풀 속을 연신 살핍니다.
경사진 산비탈을 오르며 주변을 둘러봅니다.
하늘엔 드론도 등장했습니다.
그제 오후 119 신고를 한 뒤 연락이 끊긴 여성을 찾는 겁니다.
40대로 추정되는 이 여성은 "계양산 외진 곳에 있는데 살려달라"며 소방에 신고했습니다.
위치가 어딘지 물었지만 대답 도중 전화가 끊겼습니다.
소방당국은 여성의 위치추적을 하려 했지만 끝내 실패했습니다.
여성이 쓴 전화번호가 휴대전화나 지역 번호가 아닌 '045'로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전화를 걸 수도, 위치추적도 불가능합니다.
[소방 관계자]
"유심이 없는 개통이 중지된 일반 휴대전화 있잖아요. 그 폰으로도 119나 긴급 신고는 가능하대요. 정확하게 위치값을 모르는 거죠."
여성을 찾기 위해 수색당국은 사흘째 수색작업을 진행중입니다.
경찰과 소방은 계양산 전역으로 수색 범위를 넓혀 여성의 소재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순찰 차량에 이어 드론까지 동원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성과는 없었습니다.
[경찰 관계자]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는 지역이나 절벽 같은 곳 드론으로는 훨씬 더 수월하게 수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당국은 휴대전화 소유자가 누군지 파악하는 한편, 내일도 일대 수색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
영상취재: 강인재
영상편집: 이태희
이틀 전 119 신고센터에 미스터리한 전화 한 통이 걸려왔습니다.
"인천 계양산 외진 곳에 있으니 살려달라"는 어느 여성의 다급한 신고 전화였습니다.
그런데 이 여성의 휴대전화는 다시 전화를 걸 수도 위치 추적을 할 수도 없었습니다.
그녀의 전화번호 앞자리는 '045', 통상적인 번호가 아니었습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이 여성을찾기 위해 사흘째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곽민경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과 소방 대원들이 수풀 속을 연신 살핍니다.
경사진 산비탈을 오르며 주변을 둘러봅니다.
하늘엔 드론도 등장했습니다.
그제 오후 119 신고를 한 뒤 연락이 끊긴 여성을 찾는 겁니다.
40대로 추정되는 이 여성은 "계양산 외진 곳에 있는데 살려달라"며 소방에 신고했습니다.
위치가 어딘지 물었지만 대답 도중 전화가 끊겼습니다.
소방당국은 여성의 위치추적을 하려 했지만 끝내 실패했습니다.
여성이 쓴 전화번호가 휴대전화나 지역 번호가 아닌 '045'로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전화를 걸 수도, 위치추적도 불가능합니다.
[소방 관계자]
"유심이 없는 개통이 중지된 일반 휴대전화 있잖아요. 그 폰으로도 119나 긴급 신고는 가능하대요. 정확하게 위치값을 모르는 거죠."
여성을 찾기 위해 수색당국은 사흘째 수색작업을 진행중입니다.
경찰과 소방은 계양산 전역으로 수색 범위를 넓혀 여성의 소재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순찰 차량에 이어 드론까지 동원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성과는 없었습니다.
[경찰 관계자]
"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는 지역이나 절벽 같은 곳 드론으로는 훨씬 더 수월하게 수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당국은 휴대전화 소유자가 누군지 파악하는 한편, 내일도 일대 수색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
영상취재: 강인재
영상편집: 이태희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