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잠실 야구장에서 프로야구 경기가 있는 날이면 10톤에 가까운 쓰레기가 나오는데요.
대부분이 일회용품입니다.
올해부터 법으로 판매를 금지했는데,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현장카메라, 강보인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부터 프로야구 구단은 일회용 응원용품을 팔 수 없습니다.
그런데, 경기가 끝난 뒤 구장 안팎은 여전히 산처럼 쌓인 일회용품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경기가 끝나자 사람들이 물밀듯이 빠져나갑니다.
쓰레기통은 다회용기와 일반쓰레기가 뒤섞여 난장판입니다.
[강민성 / 경기 수원시]
"거기에 플라스틱이나 일반 쓰레기나 뭐 아무거나 관계없이 다 버리거든요."
[야구장 관계자]
"물결처럼 쓰레기가 나오기 때문에 할 수가 없어요."
또다른 야구장은 성인 키만큼 쌓인 쓰레기 더미에 쓰레기통이 묻혀 버렸습니다.
플라스틱 그릇, 종이컵 등 한 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품들이 대부분입니다.
구장 내 쓰레기통 앞인데요,
일회용 막대 풍선이 쓰레기와 마구 섞인 채 버려져 있습니다.
개정된 자원재활용법에 따라 올 시즌부터 일회용 응원용품을 경기장 내에선 팔 수 없습니다.
이를 어기면 2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그런데 야구장 밖 노점상에선 막대 풍선 등 일회용 응원 용품이 버젓이 팔리고 있습니다.
[잠실구장 앞 노점상]
"지금 무진장 팔았어. 못 쓰게 하면 나한테 와."
경기장 안에서의 판매만 금지돼 야구장 밖은 단속할 근거가 없는 겁니다.
[서울시 단속반 관계자]
"이거는 계도밖에 안 돼요. 저희 입장에서는. 지금 아예 못 팔게 한다는 (법적) 근거가 없어요."
야구장 안에서는 일회용 응원용품 사용을 자제하도록 홍보하고 있지만, 막대 풍선 등 일회용 응원 도구를 들고 들어간다고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
[현장음]
"이거 들고 들어가도 돼요? 괜찮아요?"
야구 팬들은 혼란스럽습니다.
[아구팬]
"(일회용 응원용품 판매 금지인지) 몰랐어요."
[최민지 / 경기 안양시]
"응원하러 온 거지. 그런 것을 구분하는 건 솔직히 어려워가지고. 그게 일회용인지 다회용인지 구분해 줬으면…"
지난 2021년 기준 전국 야구장에서 배출된 폐기물은 3444톤, 이 가운데 95%가 재활용할 수 없는 쓰레기였습니다.
쓰레기를 줄이려 관련 법까지 바꿨지만 야구장 안에서만 규제하다 보니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진예원 / 녹색연합 활동가]
"구단이 만들고 판매하는 것만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도 사용하지 않도록 자원재활용법이 개정돼야 된다."
현장카메라, 강보인입니다.
PD 윤순용
작가 전다정
잠실 야구장에서 프로야구 경기가 있는 날이면 10톤에 가까운 쓰레기가 나오는데요.
대부분이 일회용품입니다.
올해부터 법으로 판매를 금지했는데,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현장카메라, 강보인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부터 프로야구 구단은 일회용 응원용품을 팔 수 없습니다.
그런데, 경기가 끝난 뒤 구장 안팎은 여전히 산처럼 쌓인 일회용품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경기가 끝나자 사람들이 물밀듯이 빠져나갑니다.
쓰레기통은 다회용기와 일반쓰레기가 뒤섞여 난장판입니다.
[강민성 / 경기 수원시]
"거기에 플라스틱이나 일반 쓰레기나 뭐 아무거나 관계없이 다 버리거든요."
[야구장 관계자]
"물결처럼 쓰레기가 나오기 때문에 할 수가 없어요."
또다른 야구장은 성인 키만큼 쌓인 쓰레기 더미에 쓰레기통이 묻혀 버렸습니다.
플라스틱 그릇, 종이컵 등 한 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품들이 대부분입니다.
구장 내 쓰레기통 앞인데요,
일회용 막대 풍선이 쓰레기와 마구 섞인 채 버려져 있습니다.
개정된 자원재활용법에 따라 올 시즌부터 일회용 응원용품을 경기장 내에선 팔 수 없습니다.
이를 어기면 2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그런데 야구장 밖 노점상에선 막대 풍선 등 일회용 응원 용품이 버젓이 팔리고 있습니다.
[잠실구장 앞 노점상]
"지금 무진장 팔았어. 못 쓰게 하면 나한테 와."
경기장 안에서의 판매만 금지돼 야구장 밖은 단속할 근거가 없는 겁니다.
[서울시 단속반 관계자]
"이거는 계도밖에 안 돼요. 저희 입장에서는. 지금 아예 못 팔게 한다는 (법적) 근거가 없어요."
야구장 안에서는 일회용 응원용품 사용을 자제하도록 홍보하고 있지만, 막대 풍선 등 일회용 응원 도구를 들고 들어간다고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
[현장음]
"이거 들고 들어가도 돼요? 괜찮아요?"
야구 팬들은 혼란스럽습니다.
[아구팬]
"(일회용 응원용품 판매 금지인지) 몰랐어요."
[최민지 / 경기 안양시]
"응원하러 온 거지. 그런 것을 구분하는 건 솔직히 어려워가지고. 그게 일회용인지 다회용인지 구분해 줬으면…"
지난 2021년 기준 전국 야구장에서 배출된 폐기물은 3444톤, 이 가운데 95%가 재활용할 수 없는 쓰레기였습니다.
쓰레기를 줄이려 관련 법까지 바꿨지만 야구장 안에서만 규제하다 보니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
[진예원 / 녹색연합 활동가]
"구단이 만들고 판매하는 것만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도 사용하지 않도록 자원재활용법이 개정돼야 된다."
현장카메라, 강보인입니다.
PD 윤순용
작가 전다정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