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중재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다 해도, 헌법재판소에서 분쟁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헌법 전문가들에게 미리 물어본 결과, 법안에 위헌적인 내용이 많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공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헌법 전문가들은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로 인해 언론의 자유에 대한 제약이 심해질 수 밖에 없다고 우려합니다.
[장영수 /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민주주의 관련성 속에서 매우 강하게 보호돼야 될 언론의 자유를 억합하는. 그런 요소로서 도입됐다는 자체가 문제고."
위헌적 요소가 상당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장영수 /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헌법재판소도 여러 차례 얘기했지만, 언론 자유는 개인의 중요한 기본권일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기초이기 때문에"
언론 보도를 통해 명예를 훼손할 경우 형사처벌이 가능한데, 여기에 징벌적 손해배상 책임을 추가로 인정한다면 두 번 처벌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김상겸 / 동국대 법학과 교수]
징벌적인 손해배상은 일종의 벌금형에 해당하는 효과를 낳는 거거든요. 이중처벌 효과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거죠.
허위·조작 보도에 해당하지 않는 점을 언론이 증명해야하는 건 기존 법 시스템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노희범 / 변호사(전 헌법재판소 연구관)]
"입증 책임을 언론사 측에 전환 하기 때문에 표현의 자유에 대한 상당한 위축효과가 발생 할 수 있다."
국내 7개 언론 단체는 헌법재판소에 위헌 소송을 내기 위해 변호사를 선임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언론중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곧바로 헌재에서 법적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A 뉴스 공태현 입니다.
헌법 전문가들에게 미리 물어본 결과, 법안에 위헌적인 내용이 많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공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헌법 전문가들은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로 인해 언론의 자유에 대한 제약이 심해질 수 밖에 없다고 우려합니다.
[장영수 /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민주주의 관련성 속에서 매우 강하게 보호돼야 될 언론의 자유를 억합하는. 그런 요소로서 도입됐다는 자체가 문제고."
위헌적 요소가 상당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장영수 /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헌법재판소도 여러 차례 얘기했지만, 언론 자유는 개인의 중요한 기본권일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기초이기 때문에"
언론 보도를 통해 명예를 훼손할 경우 형사처벌이 가능한데, 여기에 징벌적 손해배상 책임을 추가로 인정한다면 두 번 처벌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김상겸 / 동국대 법학과 교수]
징벌적인 손해배상은 일종의 벌금형에 해당하는 효과를 낳는 거거든요. 이중처벌 효과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거죠.
허위·조작 보도에 해당하지 않는 점을 언론이 증명해야하는 건 기존 법 시스템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노희범 / 변호사(전 헌법재판소 연구관)]
"입증 책임을 언론사 측에 전환 하기 때문에 표현의 자유에 대한 상당한 위축효과가 발생 할 수 있다."
국내 7개 언론 단체는 헌법재판소에 위헌 소송을 내기 위해 변호사를 선임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언론중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곧바로 헌재에서 법적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A 뉴스 공태현 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