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소 68만마리로 추산되는 길고양이를 두고, 곳곳에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공생해야 하는 생명이다, 아니다 골칫거리다, 주민들의 찬반 의견이 갈립니다.
김태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고양이 한 마리가 풀숲을 유유히 지나갑니다.
사람이 익숙한 듯 다가가도 도망가지 않습니다.
이 공원에 사는 길고양이입니다.
일부 주민들에겐 반려동물이나 마찬가집니다.
고양이를 돌본다며 사료와 물통을 곳곳에 갖다놨습니다.
[이순이 / 인천 남동구]
"소중한 생명이고 다 같은 생명인데 돌봐주면 좋겠죠. 좋은 일 하신다고 생각해요."
골칫거리라는 하소연도 만만치 않습니다.
쓰레기 봉투를 헤집고 새벽때마다 울어대기 때문입니다.
반려동물 출입이 금지된 공원 체육시설인데요. 바닥에 고양이가 남긴 사료가 흩어져 있습니다.
[지역 주민]
"아파트 쪽에 놓는 건 별로일 것 같아요. (급식소를) 하나씩 짓다 보니까 (고양이가) 더 늘어나는 것 같고, 거기서 울더라고요."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되는 길고양이는 최소 68만 마리.
중성화 수술 등이 진행 중이지만 개체수 조절엔 역부족입니다.
급기야 한 지자체는 직접 고양이 급식소를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먹이를 찾아 온 길고양이를 포획해 중성화 수술을 한 뒤 방사할 계획입니다.
전국 최초로 길고양이 보호 조례가 발의된 곳도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2천 건 넘는 찬반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끝내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
[김철환 / 천안시의회 경제산업위원회 위원장]
"어느 한쪽 편에 서서 지자체 차원에서 그걸 결정하기에는 너무 어려움을…"
길고양이를 놓고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정부는 연말까지 길고양이 돌봄 가이드 라인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
영상취재 강철규
영상편집 이승은
최소 68만마리로 추산되는 길고양이를 두고, 곳곳에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공생해야 하는 생명이다, 아니다 골칫거리다, 주민들의 찬반 의견이 갈립니다.
김태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고양이 한 마리가 풀숲을 유유히 지나갑니다.
사람이 익숙한 듯 다가가도 도망가지 않습니다.
이 공원에 사는 길고양이입니다.
일부 주민들에겐 반려동물이나 마찬가집니다.
고양이를 돌본다며 사료와 물통을 곳곳에 갖다놨습니다.
[이순이 / 인천 남동구]
"소중한 생명이고 다 같은 생명인데 돌봐주면 좋겠죠. 좋은 일 하신다고 생각해요."
골칫거리라는 하소연도 만만치 않습니다.
쓰레기 봉투를 헤집고 새벽때마다 울어대기 때문입니다.
반려동물 출입이 금지된 공원 체육시설인데요. 바닥에 고양이가 남긴 사료가 흩어져 있습니다.
[지역 주민]
"아파트 쪽에 놓는 건 별로일 것 같아요. (급식소를) 하나씩 짓다 보니까 (고양이가) 더 늘어나는 것 같고, 거기서 울더라고요."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되는 길고양이는 최소 68만 마리.
중성화 수술 등이 진행 중이지만 개체수 조절엔 역부족입니다.
급기야 한 지자체는 직접 고양이 급식소를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먹이를 찾아 온 길고양이를 포획해 중성화 수술을 한 뒤 방사할 계획입니다.
전국 최초로 길고양이 보호 조례가 발의된 곳도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2천 건 넘는 찬반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끝내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
[김철환 / 천안시의회 경제산업위원회 위원장]
"어느 한쪽 편에 서서 지자체 차원에서 그걸 결정하기에는 너무 어려움을…"
길고양이를 놓고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정부는 연말까지 길고양이 돌봄 가이드 라인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
영상취재 강철규
영상편집 이승은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