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군인들 복지를 위해 시중보다 더 싸게 판매하는 PX 상품.
이 상품들이 밖에서 웃돈을 붙여 되팔리고 있습니다.
불법인줄 모르고 거래하는 경우도 있지만 알면서도 돈벌이 수단에 악용하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현장카메라, 강태연 기자가 그 실태를 추적했습니다.
[기자]
여기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혹시 당근(중고거래)?> "네"
<이거 PX 상품인거에요?> "네. 남자친구가 사다줬는데 너무 많이 사다 줘서"
<PX 물품 재판매 하는 거 불법이고 그런 건 아니예요?> "그건 아닐걸요"
아닌 게 아니라 불법입니다.
이 남성은 군인일 때 산 가방을 들고 나왔습니다.
"PX 것은 처음 거래해봐서"
<채널A 방송사에서 PX 거래 관련해 취재하고 있거든요. 군마트 용품 재판매하는 거가 불법으로…>
"가방도 안 되나? 혹시 문제가 되면 제가 다시 (돈) 돌려드릴게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도, '군마트' 세글자만 치면 온갖 PX 상품이 줄줄이 뜹니다.
군인 복지차원에서 시중보다 싼 값에 파는 PX상품이다보니 가격을 낮춰 팔아도 남는 장사입니다.
일반 상품인 줄 알고 주문했는데 PX 상품이 날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PX상품 피해자]
"금액이 저렴하고 사진상으로도 똑같은 제품이라서 제가 구매를 했는데 군마트용이라는 게 적혀 있고…"
도대체 누가 PX 상품을 입수해 파는 걸까.
판매업체 게시물에 적힌 주소지를 일일이 찾아가봤습니다.
<px용품 판매 업체 관련해서 취재중인데> "모르겠는데, 근데 여기 항상 비어있던데"
주소지가 가정집인 곳도 있습니다.
<물품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판매하시는지가 궁금해 가지고 군마트용…> "제가 답변 드릴 수가 없어요"
<왜요?> "당연히 제가 판매하는 과정인데 그거를 소비자한테 알려드려야 할 권리는 없잖아요"
어렵게 업체 사람을 한 명 만났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판매를 하시는?>
"따로 공급해 주는 업체들이 있어요. 그 분들이 어떻게 구해오고 이런 거는 저희도 잘 몰라요. 그냥 공급해주시니까"
<그런 업체랑 계약을 어떤식으로 맺으시는 거예요?>
"계약까지는 아니고, 전화나 카카오톡으로 주문하면 보내주시고 저희가 물건 받고 입금해 주고"
<도매 쪽 사정도 궁금한데 컨택할 수 있는 전화번호나 이런 걸 알려주시면 안 될까요?>
"그건 안 돼요."
PX에 가봤습니다.
온라인에서 팔던 화장품, PX에서 3분의1 가격이었네요.
"여기 있네요."
국군 복지단도 신고센터를 운영하며 PX 상품 재판매를 잡아내겠다는 계획입니다.
"화장품류 같은 경우는 시중보다 할인율을 높게 판매를 하다 보니까 재판매가 지금 많이 이루어진다고 신고가 들어오고."
처벌 규정도 만듭니다.
[전경일 / 국군복지단 판매관리과장]
"불법이라고 규정만 됐지 조치할 수 있는 사항들이 미비한 상황이라서 추가적인 법적 근거도 마련을 (해야)하고…"
군인 복지를 위한 상품이 누군가의 돈벌이 수단이 되는 현실.
"그분들은 이제 폭리를 취하고 있는 거고. 똑같은 피해가 안 생겼으면 하는 거죠."
현장카메라 강태연입니다.
PD: 장동하
AD: 진원석
군인들 복지를 위해 시중보다 더 싸게 판매하는 PX 상품.
이 상품들이 밖에서 웃돈을 붙여 되팔리고 있습니다.
불법인줄 모르고 거래하는 경우도 있지만 알면서도 돈벌이 수단에 악용하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현장카메라, 강태연 기자가 그 실태를 추적했습니다.
[기자]
여기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혹시 당근(중고거래)?> "네"
<이거 PX 상품인거에요?> "네. 남자친구가 사다줬는데 너무 많이 사다 줘서"
<PX 물품 재판매 하는 거 불법이고 그런 건 아니예요?> "그건 아닐걸요"
아닌 게 아니라 불법입니다.
이 남성은 군인일 때 산 가방을 들고 나왔습니다.
<채널A 방송사에서 PX 거래 관련해 취재하고 있거든요. 군마트 용품 재판매하는 거가 불법으로…>
"가방도 안 되나? 혹시 문제가 되면 제가 다시 (돈) 돌려드릴게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도, '군마트' 세글자만 치면 온갖 PX 상품이 줄줄이 뜹니다.
군인 복지차원에서 시중보다 싼 값에 파는 PX상품이다보니 가격을 낮춰 팔아도 남는 장사입니다.
일반 상품인 줄 알고 주문했는데 PX 상품이 날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PX상품 피해자]
"금액이 저렴하고 사진상으로도 똑같은 제품이라서 제가 구매를 했는데 군마트용이라는 게 적혀 있고…"
도대체 누가 PX 상품을 입수해 파는 걸까.
판매업체 게시물에 적힌 주소지를 일일이 찾아가봤습니다.
<px용품 판매 업체 관련해서 취재중인데> "모르겠는데, 근데 여기 항상 비어있던데"
주소지가 가정집인 곳도 있습니다.
<물품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판매하시는지가 궁금해 가지고 군마트용…> "제가 답변 드릴 수가 없어요"
<왜요?> "당연히 제가 판매하는 과정인데 그거를 소비자한테 알려드려야 할 권리는 없잖아요"
어렵게 업체 사람을 한 명 만났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판매를 하시는?>
"따로 공급해 주는 업체들이 있어요. 그 분들이 어떻게 구해오고 이런 거는 저희도 잘 몰라요. 그냥 공급해주시니까"
<그런 업체랑 계약을 어떤식으로 맺으시는 거예요?>
"계약까지는 아니고, 전화나 카카오톡으로 주문하면 보내주시고 저희가 물건 받고 입금해 주고"
<도매 쪽 사정도 궁금한데 컨택할 수 있는 전화번호나 이런 걸 알려주시면 안 될까요?>
"그건 안 돼요."
PX에 가봤습니다.
온라인에서 팔던 화장품, PX에서 3분의1 가격이었네요.
"여기 있네요."
국군 복지단도 신고센터를 운영하며 PX 상품 재판매를 잡아내겠다는 계획입니다.
"화장품류 같은 경우는 시중보다 할인율을 높게 판매를 하다 보니까 재판매가 지금 많이 이루어진다고 신고가 들어오고."
처벌 규정도 만듭니다.
[전경일 / 국군복지단 판매관리과장]
"불법이라고 규정만 됐지 조치할 수 있는 사항들이 미비한 상황이라서 추가적인 법적 근거도 마련을 (해야)하고…"
군인 복지를 위한 상품이 누군가의 돈벌이 수단이 되는 현실.
"그분들은 이제 폭리를 취하고 있는 거고. 똑같은 피해가 안 생겼으면 하는 거죠."
현장카메라 강태연입니다.
PD: 장동하
AD: 진원석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