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제 우리도 7대 우주강국에 당당하게 진입했습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오늘 새벽 4차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가슴 벅찼던 성공의 순간 다시 한번 보시죠.
김태우 기자입니다.
[기자]
[현장음]
"5, 4, 3, 2, 엔진 점화!"
새벽 1시 13분,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하늘을 향해 힘차게 날아갑니다.
관계자들이 있는 관제센터와 시민들이 모인 전망대에서 환호성이 터져 나옵니다.
[황서연·황나현 / 대전 유성구]
"전에는 낮에 봐서 잘 안 보였는데 지금은 밤에 보니까 확실히 더 잘 보이는 것 같아요. <우주로 가서 안전하게 잘 돌아왔으면 좋겠어요.>"
센서 문제로 발사 시각이 당초 계획보다 18분 늦어졌지만, 이후 임무는 순조롭게 진행됐습니다.
1,2단 분리와 페어링 분리를 성공적으로 마친 누리호는 고도 600km 궤도에 안착해 주탑재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의 분리를 시작했습니다.
무사히 궤도에 올라 교신까지 성공하며 누리호 4차 발사는 공식 성공했습니다.
큐브위성 12기도 모두 목표 궤도에 안착했고, 오늘 정오까지 총 5기가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각 위성들은 우주 쓰레기 자율 폐기와 정밀 우주 위성항법 실험, 우주 제약 연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임무에는 제작과 발사를 총괄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주탑재위성을 개발한 KAI, 발사대시스템을 구축한 HD현대중공업 등 총 300여 개 국내 기업이 참여했습니다.
독자 기술로 위성을 자력 발사할 수 있는 7대 우주 강국의 지위를 민간 주도로 다시 확고히 한 것입니다.
[윤영빈 / 우주항공청장]
"누리호의 신뢰성을 높임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주청은 2027년까지 5,6차 발사를 마친 후 2028년부터는 누리호를 최소 1년에 한 번씩은 쏘아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
영상취재 : 이승헌
영상편집 : 이은원
이제 우리도 7대 우주강국에 당당하게 진입했습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오늘 새벽 4차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가슴 벅찼던 성공의 순간 다시 한번 보시죠.
김태우 기자입니다.
[기자]
[현장음]
"5, 4, 3, 2, 엔진 점화!"
새벽 1시 13분,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하늘을 향해 힘차게 날아갑니다.
관계자들이 있는 관제센터와 시민들이 모인 전망대에서 환호성이 터져 나옵니다.
[황서연·황나현 / 대전 유성구]
"전에는 낮에 봐서 잘 안 보였는데 지금은 밤에 보니까 확실히 더 잘 보이는 것 같아요. <우주로 가서 안전하게 잘 돌아왔으면 좋겠어요.>"
센서 문제로 발사 시각이 당초 계획보다 18분 늦어졌지만, 이후 임무는 순조롭게 진행됐습니다.
1,2단 분리와 페어링 분리를 성공적으로 마친 누리호는 고도 600km 궤도에 안착해 주탑재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의 분리를 시작했습니다.
무사히 궤도에 올라 교신까지 성공하며 누리호 4차 발사는 공식 성공했습니다.
큐브위성 12기도 모두 목표 궤도에 안착했고, 오늘 정오까지 총 5기가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각 위성들은 우주 쓰레기 자율 폐기와 정밀 우주 위성항법 실험, 우주 제약 연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임무에는 제작과 발사를 총괄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주탑재위성을 개발한 KAI, 발사대시스템을 구축한 HD현대중공업 등 총 300여 개 국내 기업이 참여했습니다.
독자 기술로 위성을 자력 발사할 수 있는 7대 우주 강국의 지위를 민간 주도로 다시 확고히 한 것입니다.
[윤영빈 / 우주항공청장]
"누리호의 신뢰성을 높임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주청은 2027년까지 5,6차 발사를 마친 후 2028년부터는 누리호를 최소 1년에 한 번씩은 쏘아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
영상취재 : 이승헌
영상편집 : 이은원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