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뉴시스
채널A 취재를 종합하면, 비대위원장을 지낸 김용태 의원이 자유발언 초반 발언권을 얻어 "계엄에 대한 사과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 의원은 "지도부가 이재명 정부의 입법 횡포나 사법부 장악 시도, 대장동 항소 포기 등을 비판해도 메시지에 힘이 실리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어 "국민들이 계엄과 관련해 국민의힘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며 "반성과 사과 메시지를 내는 것이 당연하다"고 지도부에 요청했습니다. 김 의원 발언 당시 회의장에서는 별다른 반박 없이 대부분 의원들이 경청하는 분위기였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김 의원은 또 지방선거 준비와 관련해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 당심 70%, 민심 30%를 반영하겠단 구상은 민심에 역행한다"며 "당 기획단이 민심 반영 비율을 더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필리버스터 전략을 두고도 의원총회에서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원내지도부 측 의원은 "민생법안에 필리버스터를 하는 것은 역풍을 부를 수 있다"며 필리버스터에 부정적인 뜻을 밝히자, 일부 중진 의원은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나경원 의원은 "지금 국회를 저들이 정상적으로 운영하지 않고 있다는 걸 알려야 한다"고, 또다른 중진 의원은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은 사실상 '당에 대한 체포동의안'과 같다"며 필리버스터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