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해킹 당했다는 소식 전해드렸었는데요.
또 북한 소행으로 보입니다.
6년 전과 동일한 날짜에 같은 방식으로 또 당한 겁니다.
오은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북한 해킹조직 라자루스가 업비트에서 발생한 445억 원 규모 해킹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라자루스는 2019년 업비트의 580억 원 이더리움 탈취 사건에도 연루됐던 조직입니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수법이나 해킹 날짜를 볼 때 북한 소행으로 추정된다"며 "북한이 최근 심각한 외화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도 해킹의 동기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해킹은 인터넷과 연결된 개인 지갑에서 가상자산을 탈취해 다른 거래소 지갑으로 보내 자금을 세탁했습니다.
6년 전 해킹 사고와 같은 수법입니다.
6년 전과 동일한 날짜에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합병 날짜를 노렸다는 점도 극적효과를 의도한 북한 소행으로 의심받는 이유입니다.
6년 전 해킹 사고를 겪고도 동일 수법으로 해킹을 당한 것을 두고 업비트의 보안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염흥열 /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공격에서 터치되는 것을 막는 적절한 수준의 보안 대책들을 수립해서 운영하고 개선해야 된다."
다만 2019년 사건도 지난해 결론이 난 만큼 정확한 원인 규명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은 현재 업비트에 대한 현장점검에 착수했습니다.
북한 소행 가능성 여부와 내부보안 시스템을 면밀하게 살펴볼 계획입니다.
채널A뉴스 오은선입니다.
영상취재:이기상
영상편집:강 민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해킹 당했다는 소식 전해드렸었는데요.
또 북한 소행으로 보입니다.
6년 전과 동일한 날짜에 같은 방식으로 또 당한 겁니다.
오은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북한 해킹조직 라자루스가 업비트에서 발생한 445억 원 규모 해킹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라자루스는 2019년 업비트의 580억 원 이더리움 탈취 사건에도 연루됐던 조직입니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수법이나 해킹 날짜를 볼 때 북한 소행으로 추정된다"며 "북한이 최근 심각한 외화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도 해킹의 동기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해킹은 인터넷과 연결된 개인 지갑에서 가상자산을 탈취해 다른 거래소 지갑으로 보내 자금을 세탁했습니다.
6년 전 해킹 사고와 같은 수법입니다.
6년 전과 동일한 날짜에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합병 날짜를 노렸다는 점도 극적효과를 의도한 북한 소행으로 의심받는 이유입니다.
6년 전 해킹 사고를 겪고도 동일 수법으로 해킹을 당한 것을 두고 업비트의 보안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염흥열 /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공격에서 터치되는 것을 막는 적절한 수준의 보안 대책들을 수립해서 운영하고 개선해야 된다."
다만 2019년 사건도 지난해 결론이 난 만큼 정확한 원인 규명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은 현재 업비트에 대한 현장점검에 착수했습니다.
북한 소행 가능성 여부와 내부보안 시스템을 면밀하게 살펴볼 계획입니다.
채널A뉴스 오은선입니다.
영상취재:이기상
영상편집:강 민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