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뉴스분석 오늘의 에디터, 경제부 심정숙 차장입니다.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
여기 사진 한장이 있습니다. 오늘 김동연 부총리가 '충격적'이라고 표현한 고용지표가 나온 뒤 김영주 고용부 장관과 반장식 청와대 일자리 수석 등이 모여 회의를 하는 장면인데. 심각한 표정이죠.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봄비와 인구 때문이라는 청와대 분석과 달리, 전문가들은 지난 1년간 민간의 경제 활력이 떨어진 게 결정적인 이유라고 꼽습니다. 왜 그런지 지금부터 짚어보겠습니다.
질문1] 인구 변화, 봄비.. 청와대가 오늘 나온 고용 성적표에 점수가 떨어진 요인으로 여러가지를 얘기했습니다. 심 차장, 경기 활력 줄어든다는데 실제로 현장 분위기는 어느 정도였습니까?
대표적인 제조업 단지인 인천남동공단을 채널A 기자가 둘러봤는데요. 체감 경기가 바닥이다, 생존을 걱정해야 할 지경이라는 얘기가 터져 나왔습니다. 직접 들어볼까요.
[금속업체 직원]
"거의 대부분 GM 자동차 사태 때문에 일자리도 잃고, 저희도 일이 별로 없어서, 아웃소싱 해서 정리하는 추세에요.“
[냉장고 부품업체 대표]
"이 업종을 44년 동안 했는데 올해 같은 거 처음 봤어. 기계가 안 돌아간다니까, 할 일이 없어져서.”
질문1-1]
글로벌 경기는 오히려 호조세인 상황에서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우선, GM 사태같은 자동차 구조조정, 조선업 구조조정 때문에 협력업체들까지 매출 타격이 심각하게 이어지는 것 같고요.
여기에 대기업들이 설비 투자를 아주 보수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도 중소 영세업체들을 어렵게 하는 요인입니다.
버는 돈은 줄었는데, 줘야할 인건비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크게 오르고 세금도 내야합니다. 고용을 줄일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된 겁니다.
질문2]
그렇다면 오늘 나온 성적표 단순히 숫자 증감 뿐만 아니라 어떤 게 줄고 늘었는지, 그 내용도 찬찬히 뜯어봐야 할 것 같군요?
제조업 공장이 몰린 남동공단 얘기를 해드렸습니다만 5월 고용지표를 보면 민간 부분 거의 전 영역에서 일자리가 줄었단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 근로자 수, 작년보다 무려 7만 9천명 줄었고요. 도소매업은 5만 9천명, 숙박과 음식업도 4만명 이상 줄었습니다. 이 사람들이 고용 시장에서 밀려났다, 일자리를 잃었단 뜻입니다.
유일하게 늘어난 취업자가 공공부문 취업자들입니다. 작년 대비 8만 6천명 늘었습니다. 금융위기 이후 최악이라는 취업자 증가폭을 그나마 플러스로 나오게 만든 건, 온전히 이 공공부문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질문3]
그러니까 늘어난 건 정부가 예산을 써서 만들어낸 관변 일자리가 늘어난 거군요?
작년에 일자리 창출에 필요하다며 11조 8천억의 추경을 편성하고, 올해 또 3조 8천억원을 편성했는데요. 덕분에 소방관, 경찰, 근로감독관, 보육교사 같은 공공 부문 일자리만 늘었습니다.
문제는 정부가 돈 써서 늘리는 관변 일자리는 지속가능성이 없다는 겁니다. 세금 부담은 점점 커지고 국가 부채도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민간이 일자리 창출의 주도권을 쥐고 공공은 보조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데 거꾸로 가고 있는 겁니다.
질문3-1] 한 가지 궁금한 점, 농업 분야는 왜 이렇게 늘어난 겁니까?
전후 세대인 베이비 부머들 가운데 은퇴자들이 늘고 있는데요. 이들 중 일부가 귀농이나 귀어를 택하면서, 농어업 취업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부 심정숙 차장이었습니다.
뉴스분석 오늘의 에디터, 경제부 심정숙 차장입니다.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
여기 사진 한장이 있습니다. 오늘 김동연 부총리가 '충격적'이라고 표현한 고용지표가 나온 뒤 김영주 고용부 장관과 반장식 청와대 일자리 수석 등이 모여 회의를 하는 장면인데. 심각한 표정이죠.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봄비와 인구 때문이라는 청와대 분석과 달리, 전문가들은 지난 1년간 민간의 경제 활력이 떨어진 게 결정적인 이유라고 꼽습니다. 왜 그런지 지금부터 짚어보겠습니다.
질문1] 인구 변화, 봄비.. 청와대가 오늘 나온 고용 성적표에 점수가 떨어진 요인으로 여러가지를 얘기했습니다. 심 차장, 경기 활력 줄어든다는데 실제로 현장 분위기는 어느 정도였습니까?
대표적인 제조업 단지인 인천남동공단을 채널A 기자가 둘러봤는데요. 체감 경기가 바닥이다, 생존을 걱정해야 할 지경이라는 얘기가 터져 나왔습니다. 직접 들어볼까요.
[금속업체 직원]
"거의 대부분 GM 자동차 사태 때문에 일자리도 잃고, 저희도 일이 별로 없어서, 아웃소싱 해서 정리하는 추세에요.“
[냉장고 부품업체 대표]
"이 업종을 44년 동안 했는데 올해 같은 거 처음 봤어. 기계가 안 돌아간다니까, 할 일이 없어져서.”
질문1-1]
글로벌 경기는 오히려 호조세인 상황에서 어떤 이유 때문입니까?
우선, GM 사태같은 자동차 구조조정, 조선업 구조조정 때문에 협력업체들까지 매출 타격이 심각하게 이어지는 것 같고요.
여기에 대기업들이 설비 투자를 아주 보수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도 중소 영세업체들을 어렵게 하는 요인입니다.
버는 돈은 줄었는데, 줘야할 인건비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크게 오르고 세금도 내야합니다. 고용을 줄일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된 겁니다.
질문2]
그렇다면 오늘 나온 성적표 단순히 숫자 증감 뿐만 아니라 어떤 게 줄고 늘었는지, 그 내용도 찬찬히 뜯어봐야 할 것 같군요?
제조업 공장이 몰린 남동공단 얘기를 해드렸습니다만 5월 고용지표를 보면 민간 부분 거의 전 영역에서 일자리가 줄었단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 근로자 수, 작년보다 무려 7만 9천명 줄었고요. 도소매업은 5만 9천명, 숙박과 음식업도 4만명 이상 줄었습니다. 이 사람들이 고용 시장에서 밀려났다, 일자리를 잃었단 뜻입니다.
유일하게 늘어난 취업자가 공공부문 취업자들입니다. 작년 대비 8만 6천명 늘었습니다. 금융위기 이후 최악이라는 취업자 증가폭을 그나마 플러스로 나오게 만든 건, 온전히 이 공공부문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질문3]
그러니까 늘어난 건 정부가 예산을 써서 만들어낸 관변 일자리가 늘어난 거군요?
작년에 일자리 창출에 필요하다며 11조 8천억의 추경을 편성하고, 올해 또 3조 8천억원을 편성했는데요. 덕분에 소방관, 경찰, 근로감독관, 보육교사 같은 공공 부문 일자리만 늘었습니다.
문제는 정부가 돈 써서 늘리는 관변 일자리는 지속가능성이 없다는 겁니다. 세금 부담은 점점 커지고 국가 부채도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민간이 일자리 창출의 주도권을 쥐고 공공은 보조적인 역할을 해야 하는데 거꾸로 가고 있는 겁니다.
질문3-1] 한 가지 궁금한 점, 농업 분야는 왜 이렇게 늘어난 겁니까?
전후 세대인 베이비 부머들 가운데 은퇴자들이 늘고 있는데요. 이들 중 일부가 귀농이나 귀어를 택하면서, 농어업 취업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부 심정숙 차장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