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제를 부탁해> 시작하겠습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
1. 삼성전자가 일반 스마트폰 수준의 두께와 무게를 가진 신작을 내놨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이를 두고 삼성전자가 칼을 갈았다라는 평가가 나오는데요.
그 동안 폴더블폰은 화면이 커 좋지만 두껍고 무겁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혔습니다.
삼성이 이번에 이런 단점을 극복한 신제품을 내놓은 건데요.
기기 화면을 양옆으로 접는 형태의 '갤럭시Z폴드7'은 지금까지 선보인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볍습니다.
2. 얼마나 얇고 가벼워진 건가요?
두께는 접었을 때 8.9㎜, 펼쳤을 때 4.2㎜에 불과합니다.
Z폴드6와 비교하면 각각 3.2㎜, 1.4㎜씩 얇아진 건데요.
스마트폰 두께 0.1㎜를 줄이려면 수많은 R&D와 최첨단 공법이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 하드웨어 분야의 혁신이라는 평가가 나오는데요.
무게는 215g으로 전작보다 24g 더 가볍습니다.
평소 손에 들고 다니는 쇼트 사이즈 커피 무게(227g)보다 가벼운 수준인데요.
그간 '벽돌폰'이란 얘기까지 들었던 삼성은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의 신작이 폴더블폰의 접근성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입니다.
3. 글로벌 제품들과 비교해선 어떤가요? 폴더블폰 중 가장 얇고 가볍나요?
세계에서 가장 얇고 가벼운 폴더블폰은 아닙니다.
삼성 신작은 그동안 가장 얇은 폴더블폰 중 하나로 알려진 중국의 오포 파인드 N5와는 동일한 두께고요.
삼성 신작 발표를 일주일 앞두고 중국 아너가 공개한 신제품 매직 V5보다는 접었을 때와 펼쳤을 때 각각 0.1㎜씩 두껍습니다.
하지만 실제 기기를 공개하면서 아너 측의 거짓말이 드러났는데요.
두께 8.8㎜로 현존 폴더블폰 중 가장 얇다고 홍보했지만 뒤판을 플라스틱으로 마감한 '아이보리 화이트' 색상에만 적용됐고, 다른 금속 마감 색상 기기는 두께가 9㎜로 '폴드7'보다 더 두꺼웠습니다.
4. 기존 폴더블폰에서 더 나아가 두 번 접는 스마트폰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이라고요?
삼성전자가 두 번 접는 삼단 폴더블폰인 ‘트라이폴드’를 올해 안에 출시하겠다고 밝힌 건데요.
삼성전자가 트라이폴드 스마트폰 출시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1월 갤럭시S25 언팩 당시 트라이폴드 기기의 실루엣을 공개하며 신규 폴더블폰을 개발 중이라는 점을 알렸는데요.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은 "명칭 등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면서도 "출시 시점이 다가오기 때문에 조만간 빨리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중국의 샤오미는 위아래로 여닫는 '믹스 플립2'를 선보였고요.
화웨이 또한 두 번 접는 3단 폴더블폰을 시장에 내놓으면서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의 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5. 애플도 폴더블폰 시장에 참전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내년에 애플이 폴더블폰을 출시할 것이란 전망인데요.
대만의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아이폰 조립업체인 폭스콘이 올 하반기에 접는 아이폰 프로젝트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시장의 전망대로 애플까지 진출하면 폴더블폰이 주류로 거듭나는데 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인데요.
한 리서치 회사는 "애플의 진입과 위아래로 접는 폰의 제품 출시가 예고된 2026년은 시장에 활력을 더할 시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6.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화면이 접히는 폴더블폰을 시장에 내놓은 지 6년입니다. 하지만 폴더블폰은 여전히 비주류라고요?
지난해 전세계 폴더블폰 출하량은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2% 정도에 불과한데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폴더블폰 이용자가 늘고 있긴 해도 아직까진 대중화와는 거리가 있는 셈입니다.
진입 장벽으로는 높은 가격과 내구성을 둘러싼 의구심이 꼽히는데요.
삼성이 일반 스마트폰 수준의 두께와 무게를 갖춘 Z폴드7과 Z플립7을 내놓은 것도 폴더블폰 대중화를 열겠다는 각오로 분석됩니다.
일부 사양을 낮춰 가격을 내린 '갤럭시 Z플립7 FE'도 내놨는데요.
폴더블폰 이용층을 넓히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됩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
<경제를 부탁해> 시작하겠습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
1. 삼성전자가 일반 스마트폰 수준의 두께와 무게를 가진 신작을 내놨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이를 두고 삼성전자가 칼을 갈았다라는 평가가 나오는데요.
그 동안 폴더블폰은 화면이 커 좋지만 두껍고 무겁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혔습니다.
삼성이 이번에 이런 단점을 극복한 신제품을 내놓은 건데요.
기기 화면을 양옆으로 접는 형태의 '갤럭시Z폴드7'은 지금까지 선보인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볍습니다.
2. 얼마나 얇고 가벼워진 건가요?
두께는 접었을 때 8.9㎜, 펼쳤을 때 4.2㎜에 불과합니다.
Z폴드6와 비교하면 각각 3.2㎜, 1.4㎜씩 얇아진 건데요.
스마트폰 두께 0.1㎜를 줄이려면 수많은 R&D와 최첨단 공법이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 하드웨어 분야의 혁신이라는 평가가 나오는데요.
무게는 215g으로 전작보다 24g 더 가볍습니다.
평소 손에 들고 다니는 쇼트 사이즈 커피 무게(227g)보다 가벼운 수준인데요.
그간 '벽돌폰'이란 얘기까지 들었던 삼성은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의 신작이 폴더블폰의 접근성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입니다.
3. 글로벌 제품들과 비교해선 어떤가요? 폴더블폰 중 가장 얇고 가볍나요?
세계에서 가장 얇고 가벼운 폴더블폰은 아닙니다.
삼성 신작은 그동안 가장 얇은 폴더블폰 중 하나로 알려진 중국의 오포 파인드 N5와는 동일한 두께고요.
삼성 신작 발표를 일주일 앞두고 중국 아너가 공개한 신제품 매직 V5보다는 접었을 때와 펼쳤을 때 각각 0.1㎜씩 두껍습니다.
하지만 실제 기기를 공개하면서 아너 측의 거짓말이 드러났는데요.
두께 8.8㎜로 현존 폴더블폰 중 가장 얇다고 홍보했지만 뒤판을 플라스틱으로 마감한 '아이보리 화이트' 색상에만 적용됐고, 다른 금속 마감 색상 기기는 두께가 9㎜로 '폴드7'보다 더 두꺼웠습니다.
4. 기존 폴더블폰에서 더 나아가 두 번 접는 스마트폰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이라고요?
삼성전자가 두 번 접는 삼단 폴더블폰인 ‘트라이폴드’를 올해 안에 출시하겠다고 밝힌 건데요.
삼성전자가 트라이폴드 스마트폰 출시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1월 갤럭시S25 언팩 당시 트라이폴드 기기의 실루엣을 공개하며 신규 폴더블폰을 개발 중이라는 점을 알렸는데요.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은 "명칭 등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면서도 "출시 시점이 다가오기 때문에 조만간 빨리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중국의 샤오미는 위아래로 여닫는 '믹스 플립2'를 선보였고요.
화웨이 또한 두 번 접는 3단 폴더블폰을 시장에 내놓으면서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의 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5. 애플도 폴더블폰 시장에 참전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내년에 애플이 폴더블폰을 출시할 것이란 전망인데요.
대만의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아이폰 조립업체인 폭스콘이 올 하반기에 접는 아이폰 프로젝트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시장의 전망대로 애플까지 진출하면 폴더블폰이 주류로 거듭나는데 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인데요.
한 리서치 회사는 "애플의 진입과 위아래로 접는 폰의 제품 출시가 예고된 2026년은 시장에 활력을 더할 시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6.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화면이 접히는 폴더블폰을 시장에 내놓은 지 6년입니다. 하지만 폴더블폰은 여전히 비주류라고요?
지난해 전세계 폴더블폰 출하량은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2% 정도에 불과한데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면서 폴더블폰 이용자가 늘고 있긴 해도 아직까진 대중화와는 거리가 있는 셈입니다.
진입 장벽으로는 높은 가격과 내구성을 둘러싼 의구심이 꼽히는데요.
삼성이 일반 스마트폰 수준의 두께와 무게를 갖춘 Z폴드7과 Z플립7을 내놓은 것도 폴더블폰 대중화를 열겠다는 각오로 분석됩니다.
일부 사양을 낮춰 가격을 내린 '갤럭시 Z플립7 FE'도 내놨는데요.
폴더블폰 이용층을 넓히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됩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