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 KT에서 서버까지 뚫린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그런데 KT, 이 사실을 알고도 사흘이 지나서야 당국에 신고했습니다.
현재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인데, 1300만 명의 가입자를 둔 거대 통신사의 초기 대응이 너무 허술합니다.
김용성 기자입니다.
[기자]
1336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KT는 올해 4월부터 서버 전수조사를 실시해 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 등 6건의 침해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류제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KT는) 외부 전문기업의 보안 점검 결과를 통해 추가적인 침해사고가 있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어제 23시 57분에 정부에 신고하였습니다."
최근 발생했던 무단 소액결제 사건에 더해 서버 침해 사실까지 확인된 겁니다.
하지만 어떤 서버가 침해를 당했는지, 또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유심인증키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제2의 SKT 사태로 비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KT가 지난 15일 서버 침해 정황을 인지했지만, 사흘 뒤인 지난 18일 밤에야 신고해 늑장 대응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기업은 해킹 피해를 최초로 확인한 이후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KT는 서버 침해와 관련해 "자세한 건 합동조사단을 통해서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늑장대응 논란에 대해선 "내부 검증 절차를 통해 사실 관계 여부를 확인해 신고를 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
영상편집: 구혜정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 KT에서 서버까지 뚫린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그런데 KT, 이 사실을 알고도 사흘이 지나서야 당국에 신고했습니다.
현재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인데, 1300만 명의 가입자를 둔 거대 통신사의 초기 대응이 너무 허술합니다.
김용성 기자입니다.
[기자]
1336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KT는 올해 4월부터 서버 전수조사를 실시해 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 등 6건의 침해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류제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KT는) 외부 전문기업의 보안 점검 결과를 통해 추가적인 침해사고가 있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어제 23시 57분에 정부에 신고하였습니다."
최근 발생했던 무단 소액결제 사건에 더해 서버 침해 사실까지 확인된 겁니다.
하지만 어떤 서버가 침해를 당했는지, 또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유심인증키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제2의 SKT 사태로 비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KT가 지난 15일 서버 침해 정황을 인지했지만, 사흘 뒤인 지난 18일 밤에야 신고해 늑장 대응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기업은 해킹 피해를 최초로 확인한 이후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KT는 서버 침해와 관련해 "자세한 건 합동조사단을 통해서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늑장대응 논란에 대해선 "내부 검증 절차를 통해 사실 관계 여부를 확인해 신고를 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
영상편집: 구혜정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