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Q. 정치부 남영주 기자와 여랑야랑 함께 합니다.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여적여'요? 이게 무슨 말입니까?
네, 바로 '여자의 적은 여자'의 줄임말로,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여성비하적 표현인데요.
이재명 대통령이 청년들과의 대화 자리에서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됐습니다.
[2030 청년 소통 공감 토크콘서트(어제)]
"여러분, 반갑습니다! 우리 집에도 사실 여러분과 비슷한 입장의 청년들이 있는데…."
[2030 청년 소통 공감 토크콘서트(어제)]
"청년 세대들끼리, 특히 남녀가 편을 지어 다투는, 괜히 여자가 남자 미워하면 안 되잖아요. 여자가 여자를 미워하는 건 이해하는데… 그럴 수 있잖아요, 그쵸?
Q. 자칫 여자는 질투나 시기가 심하다는 말로 오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네, 청년세대에게 기회가 적다 보니 남녀마저도 편을 갈라 싸우게 된 게 안타깝다며, 분위기를 풀어보려고 한 말로 보이는데요.
야당은 곧장 공세에 나섰습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어제 "국민을 하나로 모아야 할 지도자가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고요.
국민의힘은 "불필요한 젠더 갈등을 지적하겠다며 나섰지만, 오히려 '여적여'라는 편견 가득한 말을 내뱉었다"고 했습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도 거들었습니다.
"대통령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볼 법한 '여적여' 프레임을 공식 석상에서 아무렇지 않게 말한다는 것 자체가 국격의 추락"이라고요.
Q.대통령실에선 뭐라고 하나요?
대통령실 관계자는 "여성과 여성의 경쟁 역시 기회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 정치권에서 큰 책임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었다"며, "다소 오해의 여지가 있게 표현된 듯 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성: 남영주 기자, 김민정 작가
연출·편집: 박은지·윤선아 PD
그래픽: 성정우 디자이너
Q. 정치부 남영주 기자와 여랑야랑 함께 합니다.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여적여'요? 이게 무슨 말입니까?
네, 바로 '여자의 적은 여자'의 줄임말로, 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여성비하적 표현인데요.
이재명 대통령이 청년들과의 대화 자리에서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됐습니다.
[2030 청년 소통 공감 토크콘서트(어제)]
"여러분, 반갑습니다! 우리 집에도 사실 여러분과 비슷한 입장의 청년들이 있는데…."
[2030 청년 소통 공감 토크콘서트(어제)]
"청년 세대들끼리, 특히 남녀가 편을 지어 다투는, 괜히 여자가 남자 미워하면 안 되잖아요. 여자가 여자를 미워하는 건 이해하는데… 그럴 수 있잖아요, 그쵸?
Q. 자칫 여자는 질투나 시기가 심하다는 말로 오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네, 청년세대에게 기회가 적다 보니 남녀마저도 편을 갈라 싸우게 된 게 안타깝다며, 분위기를 풀어보려고 한 말로 보이는데요.
야당은 곧장 공세에 나섰습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어제 "국민을 하나로 모아야 할 지도자가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고요.
국민의힘은 "불필요한 젠더 갈등을 지적하겠다며 나섰지만, 오히려 '여적여'라는 편견 가득한 말을 내뱉었다"고 했습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도 거들었습니다.
"대통령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볼 법한 '여적여' 프레임을 공식 석상에서 아무렇지 않게 말한다는 것 자체가 국격의 추락"이라고요.
Q.대통령실에선 뭐라고 하나요?
대통령실 관계자는 "여성과 여성의 경쟁 역시 기회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 정치권에서 큰 책임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었다"며, "다소 오해의 여지가 있게 표현된 듯 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성: 남영주 기자, 김민정 작가
연출·편집: 박은지·윤선아 PD
그래픽: 성정우 디자이너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