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조지아에서 구금된 후 석방된 한국인 노동자들이 9월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모습 [사진출처 : 뉴시스/AP]
WP는 미국 내 컨설턴트와 변호사 등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기업 최소 두 곳이 기존에 추진하던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를 철회했고, 또다른 4개 기업은 투자 재개 시점을 미루며 보류 기간을 연장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익명의 업계 관계자들은 거래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구체적인 기업명을 밝히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상공회의소 산하 미국-한국 경제 협의회 회장을 지낸 태미 오버비 국제 비즈니스 컨설턴트는 "한 한국 기업이 미국 내 공장 부지를 물색 중이었으나, 미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우려해 결국 한국에서 공장을 확장하기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덴버 소재 법률회사 '홀랜드 앤드 하트'(Holland & Hart)의 크리스 토머스 이민 변호사 역시 "한국의 한 대형 IT 기업이 이번 사건 이후 미국 진출 계획을 접고 한국이나 인도에서 입지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단속의 여파로 일본과 한국 기업, 그리고 몇몇 다른 고객사들이 '당분간 모든 것을 보류하겠다'고 통보해왔다"고 소개했습니다.
앞서 지난 9월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조지아주에서 공동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이 미 이민당국의 대대적인 단속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한국인 근로자가 300명 넘게 구금됐다가 7일 만에 석방됐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