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 달 30일 경북 경주 APEC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NHK에 따르면 다카이치 총리는 22~2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를 마친 뒤 이날 밤 기자단에 "리 총리와의 접촉은 없었다"고 확인했습니다.
다카이치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가능성' 발언 이후 중·일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번 회의에서 양측 정상 간 만남이 이루어질지 관심이 쏠렸습니다.
다카이치 총리는 만남이 결국 불발됐다고 밝히면서도 "중국과의 ‘전략적 호혜 관계’를 포괄적으로 추진하고,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은 총리 취임 이후 일관된 입장"이라며 "양국 간 현안과 과제가 있는 만큼 이를 줄이고 이해와 협력을 증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일본은 중국과의 다양한 대화에 열려 있으며, 문을 닫는 일은 없다"면서도 "그 속에서 일본이 주장해야 할 부분은 확실히 주장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자세로 앞으로도 적절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다카이치 총리는 회의 기간 동안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영국, 독일 등 여러 정상과 양자회담을 진행했습니다.
그는 "영국, 독일, 인도 정상과의 양자회담에서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실현을 위해 안보 및 경제안보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며 "또 한국, 이집트, 프랑스 정상과 국제통화기금(IMF) 전무이사, 세계은행 총재 등 여러 국제기구 대표들과도 면담하는 등 매우 유익한 방문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그는 우크라이나 평화 관련 회의에 참석한 사실을 언급하며 "최근 미국이 제안한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고, 우크라이나 및 미국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