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달러 상품에 뭉칫돈이 몰리고 있습니다.
달러예금, 달러보험과 외화 RP까지요.
유의해야 할 부분은 없을까요?
배정현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기자]
원-달러 환율은 어제보다 5원 넘게 오른 1470.6원에 주간거래를 마쳤습니다.
환율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환율이 높아질 것을 예상하고 투자하는 이른바 '환테크'가 늘고 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달러 예금 잔액은 한 달 만에 약 6조 7천억 원 늘었습니다.
원화 예금보다 금리가 높은데다 환율 변동으로 인한 환차익을 얻을 수 있을 거란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시중은행 외환사업부 관계자]
"환율이 더 오를 것이라고 예측하는 개인들이 꾸준히 매입을 하고 있는 상태고."
여기에 달러 보험 가입도 지난해 대비 가파르게 늘었습니다.
해외주식을 매도하고 남은 달러 자금을 그대로 투입하는 외화 환매조건부채권(RP)도 '서학개미'들의 단기 운용 수단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환테크' 상품들은 만기 때 환율이 내려간다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예컨대 오늘 1년 만기의 달러 정기 예금에 2.73% 금리 기준으로 신규로 가입할 경우, 만기 시 환율이 약 33원 떨어지면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됩니다.
[서정훈 /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
"조금 환율이 급락하면서도 또 변동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손실이 날 수도 있는 부분이라고 판단이 되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환율 변동성을 감안한 신중한 투자를 당부했습니다.
채널A 뉴스 배정현입니다.
영상취재 : 김석현
영상편집 : 방성재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달러 상품에 뭉칫돈이 몰리고 있습니다.
달러예금, 달러보험과 외화 RP까지요.
유의해야 할 부분은 없을까요?
배정현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기자]
원-달러 환율은 어제보다 5원 넘게 오른 1470.6원에 주간거래를 마쳤습니다.
환율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환율이 높아질 것을 예상하고 투자하는 이른바 '환테크'가 늘고 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달러 예금 잔액은 한 달 만에 약 6조 7천억 원 늘었습니다.
원화 예금보다 금리가 높은데다 환율 변동으로 인한 환차익을 얻을 수 있을 거란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시중은행 외환사업부 관계자]
"환율이 더 오를 것이라고 예측하는 개인들이 꾸준히 매입을 하고 있는 상태고."
여기에 달러 보험 가입도 지난해 대비 가파르게 늘었습니다.
해외주식을 매도하고 남은 달러 자금을 그대로 투입하는 외화 환매조건부채권(RP)도 '서학개미'들의 단기 운용 수단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환테크' 상품들은 만기 때 환율이 내려간다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예컨대 오늘 1년 만기의 달러 정기 예금에 2.73% 금리 기준으로 신규로 가입할 경우, 만기 시 환율이 약 33원 떨어지면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됩니다.
[서정훈 / 하나은행 수석연구위원]
"조금 환율이 급락하면서도 또 변동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손실이 날 수도 있는 부분이라고 판단이 되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환율 변동성을 감안한 신중한 투자를 당부했습니다.
채널A 뉴스 배정현입니다.
영상취재 : 김석현
영상편집 : 방성재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