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민의힘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과 함께 정치권 현안에 대한 이야기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A. 네 안녕하십니까?
Q. 오늘은 뭐 국민의힘 의원이자 전 혁신위원장으로 이 자리에 모셨는데 내일 안철수 혁신위가 출범을 합니다. 안철수 위원장, 이제 내정자죠. 잘 뽑은 것 같습니까?
A. 잘 뽑았어요.
Q. 어떤 의미에서 잘 뽑은 것 같습니까.
A. 아주 순수한 사람입니다.
Q. 순수한 사람.
A. 예, 같은 의사고 그리고 대화를 많이 나눠봤는데 아주 합리적이고, 저는 우리 중에서 그래도 제일 잘 선택했다고 생각합니다.
Q. 순수하고 합리적이다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는데 혁신의 현안으로 한번 볼게요. 제일 먼저 이 국민의힘에서 혁신해야 할 1순위 꼽으신다면 뭐라고 보십니까?
A. 우리가 6·25 때는 낙동강 하류가 굉장히 고마웠지만, 지금은 과격하게 TK 기득권 세력을 내려놔야해요. 혁신은 간단합니다. 세 가지예요. 첫째 변해야 돼요. 두 번째는 통합, 세 번째는 희생. 근데 제가 혁신위원장 하면서 그거를 하지 못했어요. 그래서 안철수 새 위원장께서 특히 TK가 그 밥에 그 반찬은 이제 그만. 새로운 방향, 국민한테 비전을 주고 당한테 비전을 주고 앞으로 우리의 희망을 제시를 해야 돼요. 이게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Q. 왜 그렇게 TK를 꼽으시는 겁니까?
A. 지금 정신을 못 차리고 있어요. 우리가 너무 실수를 많이 했어요. 할 말이 없어요. 총선 대선 다 이렇게 됐고. 그래서 이제 왜 그런가 따지고 보면 변화가 없어요. 희생이 없어요. 또 쓸데없는 분파도 있고 그래서 안철수 의원이 이걸 다 한꺼번에 다 해결하기는 어렵겠지만 그래도 대선 때 굉장히 고생했어요. 안 의원이. 그래서 그거를 잘 대화를 나눠보면 굉장히 합리적이에요. 잘 할 거리라고 저는 생각해요.
Q. 요즘 주변에 이런 말씀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영남 기득권 세력들이 배지를, 그러니까 국회의원 배지를 국가와 당보다 이 생명보다 더 귀하게 여기는 것을 이런 모습을 바꿔야 한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는데 어떤 의미에서 하신 걸까요.
A. 정치에서는 매너리즘이 문제예요. 어떻게 해도 대구 경북에서는 지지를 해요. 경선만 지나면 국회의원 되는 거에요. 끝이에요. 좀 좀 위험하게, 민주당도 마찬가지에요. 광주나 전남에서 그냥 공천만 통과하면 당선이에요. 이런 풍토가 달라져야 해요. 또 경상도만 아니고, 경상남북도가 1400만이에요, 전라남북도가 500만이에요. 인구가. 근데 900만이 옛날에는 똑같았는데, 900만이 어디 갔어요? 부산, 인천, 뭐 수도권. 그래서 우리가 경상도를 위한 것만 아니고 전라도, 뭐 충청도 다른 사람들을 뭐랄까요? 포용하는, 조금 이제는 이제는 결심 안 하면요. 이제는 더 더 이상해져요.
Q. 그런데 의원님 지금 보면은 당원 수나 의석 수를 보더라도 지금 국민의힘에서는 TK가 어떤 당의 주축이라는 점을 무시할 수는 없는 거 아니겠습니까?
A. 물론이요. 기반은 여기에 있지만 훨씬 더 포용력이 더 포괄적으로 더 넓게 이끌어가지 않으면 제가 대표님 우리 원내대표한테도 점심 먹으면서 강하게 요구를 했어요. 더 많은 폭을 넓혀야 된다. 이대로 가면 어떻게 되겠느냐. 그리고 이제 저 자신은 저도 혁신에 다시 관여했으면 절대 안 돼요. 하라고 그래도 안 합니다. 지나갔고 그때 아이디어 낸 거, 여섯 가지 우리가 혁신위 할 때 낸 거를 안 의원한테 내가 우리 안 위원장한테 내가 보내줬어요.
Q. 그런데 어떻게 보십니까? TK당이라는 어떤 이런 프레임에서 만약에 벗어나려고 한다면 어떤 혜안같은 게 좀 있으십니까?
A. 정책이죠. 정당은요, 비전을 줘야 돼요. 지금 이제 정부가 다 바뀌어서 지금 복잡하지만 가을 쯤 돼서 우리가 전당대회로 끝내고 그러면 전당대회에서도 누구를 뽑을 건지 이것도 심각하게 새로운 팀이 들어와야 되는데, 거기에서 어떤 비전과 철학과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돼요.
Q. 그런데 지금 보면 관리형 비대위라고 말이 나오긴 하지만 송언석 비대위나 지도부 인선부터 TK 일색이다, 이런 분석들이 지금 나오고 있습니다.
A. 그건 사실이에요.
Q. 혁신이 뭔가 힘을 받을 수 있을까요?
A. 받죠. 받지 않으면 생존을 못해요. 그 정치는 생물이에요. 살아 있어요. 들어와서 1년 동안 제가 보니까 변하지 않으면 죽어요. 그러니까 변해야 해요. 오늘 좋은 기회입니다. 우리가 잘못한 게 많아요. 민주당도 잘못한 게 많아요. 옛 속담에 두 가지 잘못이 좋은 일을 낳지는 않아요. 새롭게, 새로운 비전, 새로운 방향, 국가가 많이 걱정되고 경제가 많이 걱정됩니다. 와서 보니까 지금 나가는 정책이 잘못하면 우리가 남미에 있는 어떤 베네수엘라처럼 따라갈까봐 많이 걱정이 됩니다. 그래서 지금이야말로 국민들이 이제 빛과 소금의 새로운 토대를 마련해야해요.
Q. 국민의 힘이 지금 실기를 하면 정말 기회는 없을 수 있다, 이런 말씀이시죠.
A. 지금 해야 돼요. 이제 25시에요. 시간이 없어요.
Q. 그런데 혁신위원장 시절에 마련하신 이 혁신안이 사실은 당내 반발에 막혀서 불발이 됐던 경험이 있으십니다. 그래서 지금도 이런 얘기가 나옵니다. 혁신위에 대한 자조 섞인 목소리, 제대로 하겠느냐 이런 목소리 나오는데.
A. 그때는 그렇게까지 위기감을 못 느꼈지만 선거를 둘, 우리가 완전히 패배했어요. 국회의원 선거, 대통령 선거 다 패배했어요. 이제는 도망갈 구실이나 벗어날 어떤 핑계가 없어요. 불가능해요. 이제 변하지 않으면 안 돼요.
Q. 안철수 혁신위원장 내정자에게 뭔가 조언을 해 주신다면.
A. 늘 의원총회 때 같이 앉아서 대화를 나누고. 뭐, 모든 의견이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굉장히 순수하고 또 어떤 찍힌 사람이 아니에요. PK TK의 그런 프레임에, 밖에 있는 사람이에요. 그래서 맡겨 보는 게. 그리고 이번 선거 때 고생 많이 했습니다. 엄청 열심히 뛰었어요. 결과는 안 좋았지만 과정은 굉장히 열심히 했어요.
Q. 안철수 혁신위가 내일 출범을 하니까 어떻게 나아갈지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오늘 말씀 너무 감사하고요. 다음에 기회 되면 다시 한 번 모시도록 하겠습니다.
A. 자주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감사합니다.
A. 네 안녕하십니까?
Q. 오늘은 뭐 국민의힘 의원이자 전 혁신위원장으로 이 자리에 모셨는데 내일 안철수 혁신위가 출범을 합니다. 안철수 위원장, 이제 내정자죠. 잘 뽑은 것 같습니까?
A. 잘 뽑았어요.
Q. 어떤 의미에서 잘 뽑은 것 같습니까.
A. 아주 순수한 사람입니다.
Q. 순수한 사람.
A. 예, 같은 의사고 그리고 대화를 많이 나눠봤는데 아주 합리적이고, 저는 우리 중에서 그래도 제일 잘 선택했다고 생각합니다.
Q. 순수하고 합리적이다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는데 혁신의 현안으로 한번 볼게요. 제일 먼저 이 국민의힘에서 혁신해야 할 1순위 꼽으신다면 뭐라고 보십니까?
A. 우리가 6·25 때는 낙동강 하류가 굉장히 고마웠지만, 지금은 과격하게 TK 기득권 세력을 내려놔야해요. 혁신은 간단합니다. 세 가지예요. 첫째 변해야 돼요. 두 번째는 통합, 세 번째는 희생. 근데 제가 혁신위원장 하면서 그거를 하지 못했어요. 그래서 안철수 새 위원장께서 특히 TK가 그 밥에 그 반찬은 이제 그만. 새로운 방향, 국민한테 비전을 주고 당한테 비전을 주고 앞으로 우리의 희망을 제시를 해야 돼요. 이게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Q. 왜 그렇게 TK를 꼽으시는 겁니까?
A. 지금 정신을 못 차리고 있어요. 우리가 너무 실수를 많이 했어요. 할 말이 없어요. 총선 대선 다 이렇게 됐고. 그래서 이제 왜 그런가 따지고 보면 변화가 없어요. 희생이 없어요. 또 쓸데없는 분파도 있고 그래서 안철수 의원이 이걸 다 한꺼번에 다 해결하기는 어렵겠지만 그래도 대선 때 굉장히 고생했어요. 안 의원이. 그래서 그거를 잘 대화를 나눠보면 굉장히 합리적이에요. 잘 할 거리라고 저는 생각해요.
Q. 요즘 주변에 이런 말씀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영남 기득권 세력들이 배지를, 그러니까 국회의원 배지를 국가와 당보다 이 생명보다 더 귀하게 여기는 것을 이런 모습을 바꿔야 한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는데 어떤 의미에서 하신 걸까요.
A. 정치에서는 매너리즘이 문제예요. 어떻게 해도 대구 경북에서는 지지를 해요. 경선만 지나면 국회의원 되는 거에요. 끝이에요. 좀 좀 위험하게, 민주당도 마찬가지에요. 광주나 전남에서 그냥 공천만 통과하면 당선이에요. 이런 풍토가 달라져야 해요. 또 경상도만 아니고, 경상남북도가 1400만이에요, 전라남북도가 500만이에요. 인구가. 근데 900만이 옛날에는 똑같았는데, 900만이 어디 갔어요? 부산, 인천, 뭐 수도권. 그래서 우리가 경상도를 위한 것만 아니고 전라도, 뭐 충청도 다른 사람들을 뭐랄까요? 포용하는, 조금 이제는 이제는 결심 안 하면요. 이제는 더 더 이상해져요.
Q. 그런데 의원님 지금 보면은 당원 수나 의석 수를 보더라도 지금 국민의힘에서는 TK가 어떤 당의 주축이라는 점을 무시할 수는 없는 거 아니겠습니까?
A. 물론이요. 기반은 여기에 있지만 훨씬 더 포용력이 더 포괄적으로 더 넓게 이끌어가지 않으면 제가 대표님 우리 원내대표한테도 점심 먹으면서 강하게 요구를 했어요. 더 많은 폭을 넓혀야 된다. 이대로 가면 어떻게 되겠느냐. 그리고 이제 저 자신은 저도 혁신에 다시 관여했으면 절대 안 돼요. 하라고 그래도 안 합니다. 지나갔고 그때 아이디어 낸 거, 여섯 가지 우리가 혁신위 할 때 낸 거를 안 의원한테 내가 우리 안 위원장한테 내가 보내줬어요.
Q. 그런데 어떻게 보십니까? TK당이라는 어떤 이런 프레임에서 만약에 벗어나려고 한다면 어떤 혜안같은 게 좀 있으십니까?
A. 정책이죠. 정당은요, 비전을 줘야 돼요. 지금 이제 정부가 다 바뀌어서 지금 복잡하지만 가을 쯤 돼서 우리가 전당대회로 끝내고 그러면 전당대회에서도 누구를 뽑을 건지 이것도 심각하게 새로운 팀이 들어와야 되는데, 거기에서 어떤 비전과 철학과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돼요.
Q. 그런데 지금 보면 관리형 비대위라고 말이 나오긴 하지만 송언석 비대위나 지도부 인선부터 TK 일색이다, 이런 분석들이 지금 나오고 있습니다.
A. 그건 사실이에요.
Q. 혁신이 뭔가 힘을 받을 수 있을까요?
A. 받죠. 받지 않으면 생존을 못해요. 그 정치는 생물이에요. 살아 있어요. 들어와서 1년 동안 제가 보니까 변하지 않으면 죽어요. 그러니까 변해야 해요. 오늘 좋은 기회입니다. 우리가 잘못한 게 많아요. 민주당도 잘못한 게 많아요. 옛 속담에 두 가지 잘못이 좋은 일을 낳지는 않아요. 새롭게, 새로운 비전, 새로운 방향, 국가가 많이 걱정되고 경제가 많이 걱정됩니다. 와서 보니까 지금 나가는 정책이 잘못하면 우리가 남미에 있는 어떤 베네수엘라처럼 따라갈까봐 많이 걱정이 됩니다. 그래서 지금이야말로 국민들이 이제 빛과 소금의 새로운 토대를 마련해야해요.
Q. 국민의 힘이 지금 실기를 하면 정말 기회는 없을 수 있다, 이런 말씀이시죠.
A. 지금 해야 돼요. 이제 25시에요. 시간이 없어요.
Q. 그런데 혁신위원장 시절에 마련하신 이 혁신안이 사실은 당내 반발에 막혀서 불발이 됐던 경험이 있으십니다. 그래서 지금도 이런 얘기가 나옵니다. 혁신위에 대한 자조 섞인 목소리, 제대로 하겠느냐 이런 목소리 나오는데.
A. 그때는 그렇게까지 위기감을 못 느꼈지만 선거를 둘, 우리가 완전히 패배했어요. 국회의원 선거, 대통령 선거 다 패배했어요. 이제는 도망갈 구실이나 벗어날 어떤 핑계가 없어요. 불가능해요. 이제 변하지 않으면 안 돼요.
Q. 안철수 혁신위원장 내정자에게 뭔가 조언을 해 주신다면.
A. 늘 의원총회 때 같이 앉아서 대화를 나누고. 뭐, 모든 의견이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굉장히 순수하고 또 어떤 찍힌 사람이 아니에요. PK TK의 그런 프레임에, 밖에 있는 사람이에요. 그래서 맡겨 보는 게. 그리고 이번 선거 때 고생 많이 했습니다. 엄청 열심히 뛰었어요. 결과는 안 좋았지만 과정은 굉장히 열심히 했어요.
Q. 안철수 혁신위가 내일 출범을 하니까 어떻게 나아갈지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오늘 말씀 너무 감사하고요. 다음에 기회 되면 다시 한 번 모시도록 하겠습니다.
A. 자주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감사합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