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무더운 여름을 맞아 시원한 냉면이나 이열치열로 삼계탕을 찾는 분들 많은데요.
보양 한번 하려다가 줄줄이 오른 가격표 보고 손 떨린 적 있으실 겁니다.
정작 닭이나 메밀같은 원자재 값은 내리고 있는데, 완제품 가격은 되려 오르고 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여인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33도 폭염에도 삼계탕집 앞에는 긴 줄이 늘어서 있습니다.
이 가게의 삼계탕 한 그릇은 2만 원입니다.
[삼계탕집 손님]
"부담은 되기는 하는데 오른다고 해서 안 먹을 수는 없으니까 어쩔 수 없이 먹고 있습니다."
한방 재료가 들어갔다며 2만 2천 원 받는 곳도 있습니다.
지난 1일 기준 kg 당 닭고기 가격은 5764원으로, 지난해보다 5.1%나 내렸습니다.
하지만 삼계탕 가격은 1만7654원으로, 지난해보다 4.6% 올랐습니다.
냉면 가격도 마찬가지입니다.
서울의 한 유명 냉면집은 한 그릇에 1만6천 원을 받고 있습니다.
[냉면집 손님]
"여기 옛날부터 자주 왔었는데 가격 오르고 나서 방문횟수가 줄었죠."
냉면 주원료인 메밀 가격은 전년보다 9.4% 내렸지만, 냉면 한 그릇 평균 가격은 1만 2269원으로 전년보다 4.7% 올랐습니다.
재료값은 내렸지만 식당 판매가가 떨어지긴 커녕 오히려 오르고 있는 겁니다.
[ A 씨/ 자영업자]
"요새는 인건비 때문에 모든 게 올라가. 모든 게 거기서 시작. 우리가 구조적으로 뭘 할 수가 없는 거예요."
모든 물가가 전방위로 올라 지금 파는 가격에도 남는게 없다고 말합니다.
[B 씨/자영업자]
"한 번 물가가 올라가면 내려올 생각을 안해. 삼계탕집이니까 찹쌀이 많이 들어가잖아요. 2배예요 2배. 오른 게. 남는게 없어. 인건비 임대료 공과금."
오를 땐 실시간이지만 한번 오르면 다시 내려오지 않는 가격에 소비자 부담은 매년 커지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여인선입니다.
무더운 여름을 맞아 시원한 냉면이나 이열치열로 삼계탕을 찾는 분들 많은데요.
보양 한번 하려다가 줄줄이 오른 가격표 보고 손 떨린 적 있으실 겁니다.
정작 닭이나 메밀같은 원자재 값은 내리고 있는데, 완제품 가격은 되려 오르고 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여인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33도 폭염에도 삼계탕집 앞에는 긴 줄이 늘어서 있습니다.
이 가게의 삼계탕 한 그릇은 2만 원입니다.
[삼계탕집 손님]
"부담은 되기는 하는데 오른다고 해서 안 먹을 수는 없으니까 어쩔 수 없이 먹고 있습니다."
한방 재료가 들어갔다며 2만 2천 원 받는 곳도 있습니다.
지난 1일 기준 kg 당 닭고기 가격은 5764원으로, 지난해보다 5.1%나 내렸습니다.
하지만 삼계탕 가격은 1만7654원으로, 지난해보다 4.6% 올랐습니다.
냉면 가격도 마찬가지입니다.
서울의 한 유명 냉면집은 한 그릇에 1만6천 원을 받고 있습니다.
[냉면집 손님]
"여기 옛날부터 자주 왔었는데 가격 오르고 나서 방문횟수가 줄었죠."
냉면 주원료인 메밀 가격은 전년보다 9.4% 내렸지만, 냉면 한 그릇 평균 가격은 1만 2269원으로 전년보다 4.7% 올랐습니다.
재료값은 내렸지만 식당 판매가가 떨어지긴 커녕 오히려 오르고 있는 겁니다.
[ A 씨/ 자영업자]
"요새는 인건비 때문에 모든 게 올라가. 모든 게 거기서 시작. 우리가 구조적으로 뭘 할 수가 없는 거예요."
모든 물가가 전방위로 올라 지금 파는 가격에도 남는게 없다고 말합니다.
[B 씨/자영업자]
"한 번 물가가 올라가면 내려올 생각을 안해. 삼계탕집이니까 찹쌀이 많이 들어가잖아요. 2배예요 2배. 오른 게. 남는게 없어. 인건비 임대료 공과금."
오를 땐 실시간이지만 한번 오르면 다시 내려오지 않는 가격에 소비자 부담은 매년 커지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여인선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