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가장 우려가 되는 건 앞서 수마가 훑고갔던 수해 현장들입니다.
복구가 끝나기도 전에 또 많은 비가 내리는 만큼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민들은 이번 비 소식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김대욱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폭우가 할퀴고 간 충남 예산군의 한 마을.
비닐하우스 철골은 엿가락처럼 휘었고 무럭무럭 자라던 수박은 빗물에 떠내려가 밭엔 흙더미만 남았습니다.
중장비까지 동원해 보지만 마을은 아직 제모습을 찾지 못했습니다.
[김영길 / 수박 재배 농민]
"(비닐) 하우스 다 절단 났지. (작물) 다 물에 썩었지. 지금 심정이야 뭐… 뭐라고 말 못 하지."
창고 안에 가득 쌓여있던 작물, 이제는 쓰레기더미가 됐습니다.
[감자 재배 농민]
"감자 같은 경우도 많은 피해를 입어서 이렇게 다 폐기 처분되고 있는데 또 이번에도 또 많은 비가 온다고 해서 걱정이 많습니다."
오늘밤 충청권에는 시간당 50~80mm의 강한 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지난 수해 복구 작업이 아직 끝나지도 않았는데, 또 다시 많은 비가 내린다는 소식에 농민들은 발만 동동 구릅니다.
지자체도 하천, 농경지를 대상으로 응급복구에 나서는 등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지난 폭우로 무너진 삽교천 일대 방수문입니다. 오늘 밤 폭우가 예보되면서 물길을 트기 위해 철거작업이 한창입니다.
[예산군 관계자]
"응급 복구는 대부분 지금 다 진행이 되고 있는데 2차 피해가 예상되면 바로 장비나 인력이 투입돼서 호우 피해가 없도록…"
지난 수해로 인한 충남지역의 재산피해는 총 3천 400억여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자체가 안전안내 문자를 보내는 등 추가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터전을 잃은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김대욱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래
영상편집 : 이태희
가장 우려가 되는 건 앞서 수마가 훑고갔던 수해 현장들입니다.
복구가 끝나기도 전에 또 많은 비가 내리는 만큼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민들은 이번 비 소식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김대욱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폭우가 할퀴고 간 충남 예산군의 한 마을.
비닐하우스 철골은 엿가락처럼 휘었고 무럭무럭 자라던 수박은 빗물에 떠내려가 밭엔 흙더미만 남았습니다.
중장비까지 동원해 보지만 마을은 아직 제모습을 찾지 못했습니다.
[김영길 / 수박 재배 농민]
"(비닐) 하우스 다 절단 났지. (작물) 다 물에 썩었지. 지금 심정이야 뭐… 뭐라고 말 못 하지."
창고 안에 가득 쌓여있던 작물, 이제는 쓰레기더미가 됐습니다.
[감자 재배 농민]
"감자 같은 경우도 많은 피해를 입어서 이렇게 다 폐기 처분되고 있는데 또 이번에도 또 많은 비가 온다고 해서 걱정이 많습니다."
오늘밤 충청권에는 시간당 50~80mm의 강한 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예보됐습니다.
지난 수해 복구 작업이 아직 끝나지도 않았는데, 또 다시 많은 비가 내린다는 소식에 농민들은 발만 동동 구릅니다.
지자체도 하천, 농경지를 대상으로 응급복구에 나서는 등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지난 폭우로 무너진 삽교천 일대 방수문입니다. 오늘 밤 폭우가 예보되면서 물길을 트기 위해 철거작업이 한창입니다.
[예산군 관계자]
"응급 복구는 대부분 지금 다 진행이 되고 있는데 2차 피해가 예상되면 바로 장비나 인력이 투입돼서 호우 피해가 없도록…"
지난 수해로 인한 충남지역의 재산피해는 총 3천 400억여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자체가 안전안내 문자를 보내는 등 추가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터전을 잃은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김대욱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래
영상편집 : 이태희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