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아는기자]조만간 尹 체포 재시도…이번엔 나올까?

2025-08-03 19:13 사회

[앵커]
아는기자 시작합니다, 법조팀 김지윤 기자 나왔습니다.

Q1. 김건희 여사 소환이 수요일에 예정돼 있고, 윤 전 대통령 체포도 다시 시도한다는 거잖아요? 수사가 정점에 달하는 거군요.

네,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영장 기한, 이번 주 목요일까지입니다.

김 여사 조사가 수요일로 잡혀있으니, 최대한 내일이나 모레 중에는 체포영장 재집행에 나설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이번 주에 김건희 특검팀 수사의 향방이 달려있다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Q2. 김건희 특검팀은 다음 체포영장 집행에서는 어떻게든 완료하겠다는 목표죠?

그제 1차 시도 때 이미 김건희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을 만나서요.

"차회, 그러니까 다음번엔 물리력 행사를 포함해 체포 집행을 완료하겠다" 이렇게 고지했다고 합니다.

지난번엔 윤 전 대통령이 자발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기회를 줬지만,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움직이지 않았잖아요.

이번에는 어떤 상황이라고 해도 데리고 나오겠다는 겁니다.

Q3. 강제로 나오게 할 방법이 있긴 한 겁니까?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특검 관계자들, 그러니까 특검보와 수사관이 윤 전 대통령 방 앞까지 가게 될 겁니다.

그런 다음, 교도관들을 지휘해서 방 문을 열고, 윤 전 대통령을 데리고 나올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그런데 교도관들이 직접 윤 전 대통령을 데리고 나올 수 있을지가 변수입니다.

지난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를 방문했었는데, 구치소장은 이렇게 말한 바 있습니다.

[김현우 / 서울구치소장(지난달 31일)]
"교도관이 물리력을 행사하는 어떤 기준이나 법적 절차가 거기에 해당하는 사항이 없는 상황이고…."

Q4. 윤 전 대통령 측이 강경 대응을 예고했죠?
 
네,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 사이에선 "몸에 손을 대는 순간 법적 조치를 검토하겠다", 강력하게 대응하자는 입장이 지배적인 걸로 파악됐습니다.

특검 관계자든 누구든지 불법 체포로 형사 고소를 할 수 있다는 취지입니다.

현행법상 교도관이 수용자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는 7가지로 한정돼 있다는 게 근거입니다.

앞에서 구치소장이 했던 이야기와 같은 취지입니다.

Q4-1. 윤 전 대통령은 왜 나오지 않는 걸까요? 변호인단의 전략인가요?

특검 조사에 불응하는 이 상황, 변호인단 전략이라기보다 윤 전 대통령의 뜻이라고 보는 게 더 적절할 걸로 보입니다.

지난 6월 내란 특검이 소환했을 때 윤 전 대통령, "특검이 다섯 번 부르면 다섯 번 다 나가겠다"고 출석 의지를 보였던 걸로 전해집니다.

하지만, 다시 구속된 이후에는 윤 전 대통령 태도가 달라졌다는 건데요.

특검 수사에 응할 의지 자체를 상실한 상태라고 측근이 전해왔습니다.

Q5. 김건희 특검팀에 변호인 선임계도 새로 냈다는 거잖아요? 전면전 준비라고 봐야 합니까?

네, 김건희 특검팀이 1차 체포 시도를 할 때까지도 윤 전 대통령 측은 김건희 특검팀에 선임계도 내지 않고 대응을 일절 안 했었는데요.

체포 무산 이후 김홍일, 배보윤 두 변호사가 선임계를 제출했습니다.

탄핵심판뿐 아니라 최근 내란특검 조사에도 동석했던 변호인들인데요.
 
당장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을 강제 구인할 경우 조사 입회를 대비해 선임계를 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또 취재해보니, 선임계는 내지 않은 다른 변호인들도 내일 오전 9시 반 윤 전 대통령 접견 신청을 해둔 상태라고 합니다.

구치소 내부와 외부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이 포진하면서 내일 특검 움직임에 실시간 대응할 걸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