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동해 '대왕고래' 1차 시추에 나섰던 웨스트카펠라 호 전경.(사진제공=한국석유공사)
다만 '대왕고래'에는 경제성이 없다는 점을 최종 확인함에 따라 사업은 다른 유망구조로 추진됩니다.
한국석유공사는 오늘(21일) '동해 해상광구 투자유치 입찰' 결과에서 "복수의 외국계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석유공사는 지난 3월 21일부터 이달 19일까지 울릉분지 내 4개 해저광구(8NE, 8/6-1W, 6-1E, 6-1S) 약 2만여㎢에 대한 석유·가스 개발 사업을 추진할 업체를 국내외에서 모집했습니다.
해외 업체 주요 모집 요건은 심해 일산량 하루 10만 배럴 이상의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거나 최근 3년 이내 석유공사와 직접적인 협력사업을 추진한 업체 등입니다.
사업 참여 업체는 최대 49%까지 지분 투자를 할 수 있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이 조건을 만족하는 해외 업체 2곳 이상이 입찰 제안서를 냈으며 국내 기업은 없습니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입찰 참여사 간의 공정한 평가를 위해 입찰 참여 업체 수 등 구체적 사항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석유공사 측이 내세운 입찰 조건을 고려할 때 세계 최대 규모로 심해가스전 사업을 하고 있는 미국의 엑손모빌, 혹은 비슷한 규모의 오일 메이저 기업이 참여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석유공사는 앞으로 투자유치 자문사(S&P Global)를 통해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한 뒤, 세부 계약조건에 대해 협상을 거쳐 조광권 계약 서명 절차를 진행합니다.
한편, 동해 7개 유망구조 중 하나인 일명 '대왕고래'는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석유공사는 "사암층(약 70m)과 덮개암(약 270m) 및 공극률(약 31%) 등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지하구조 물성을 확인했으나 회수 가능한 가스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석유공사는 지난 2월 시추한 시료를 미국 지질구조분석업체 코어 래보라토리스를 통해 지난 2∼8월 정밀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