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 나왔습니다.
Q.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부동산 6채 보유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요. 구체적으로 뭐가 논란이 되고 있어요?
논란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먼저 장 대표가 보유한 6채 부동산 가격을 실거래가보다 낮춰 밝힌 게 아니냐, 거짓말 한 게 아니냔 의혹이죠.
둘째, 6채 보유가 투기가 아니냐는 겁니다.
두 가지 논란 하나씩 따져보겠습니다.
Q. 장 대표가 거짓말 한 거예요?
장 대표가 거짓말 한 것 아닙니다.
장 대표가 그제 "6채 합쳐도 8억 5000만 원"이라고 했죠.
확인해보니, 장 대표는 주택 6채 대부분 취득했을 때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밝힌 금액이었는데요.
공직자 재산신고 때 부동산은 취득할 때 실거래가나 공시가격 중 높은 쪽으로 신고하게 돼 있습니다.
장 대표는 최근 공직자 재산신고 때 기준으로 집값 밝힌 거죠.
Q. 장 대표 거짓말은 아니고, 그러면 민주당 지적이 틀렸나요?
민주당의 지적도 맞습니다.
장 대표가 보유한 주택 6채 중 가장 비싼 서울 구로동 34평 아파트는 장 대표가 2019년 4억 8000만원에 샀는데요.
6년이 흐른 지금 7억 원대에 거래되고 있거든요.
민주당은 왜 현재 시세로 밝히지 않느냐를 문제삼은 거죠.
장 대표는 구로동 아파트 외에 지역구 충남 보령에 아파트와 단독주택, 국회 앞에 오피스텔을 갖고 있죠.
안양, 진주 아파트는 부인이 상속받아 지분을 일부 갖고 있고요.
시세 변동 제일 큰 구로동 아파트 가격 감안하면 6채 현재 시세가 11억 원 안팎으로 추정됩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인 14억 원대보다는 낮은 수준이죠.
Q. 6채 보유를 투기로 볼 수 있어요?
투기 여부 판단하려면 실거주 했나, 단기 시세차익을 노렸나 따져봐야 하는데요.
먼저 실거주 여부 살펴보면요.
서울 구로동 아파트와 충남 보령 아파트는 장 대표 부부가 거주하고 보령의 또다른 주택에 노모가 살고 있죠.
국회 앞 오피스텔은 의정 활동 위한 숙소로 사용했었는데 팔려고 했지만 거래가 없어 임대를 줬다고 하더라고요.
나머지 2채는 부인이 일부 지분 상속받은 거잖아요.
진주 아파트는 장모가 살고 안양 아파트에서 나오는 월세로 장모가 생계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장 대표 가족이 대부분 쓰고 있죠.
Q. 시세 차익 노린 투기는 아닙니까?
부동산 전문가들한테 물어보니 장 대표가 아파트를 보유한 서울 구로동이나 충남 보령이 개발 호재가 있거나 집값 상승률이 평균을 웃도는 투기 지역은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Q. 민주당 지난주 재초환 폐지, 보유세 등 거론했었는데 기류가 달라진 것 같아요.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거예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 보유세 인상, 또 최대 9년까지 전세계약을 연장하는 9년 전세법까지 일단 논의 안 한다, 덮자는 입장입니다.
모두 도입되면 시끄러운데 집값 잡는다는 보장은 없는 카드거든요.
부동산 관련 언급은 최대한 자제하면서 이슈가 잊혀지길 바라는 걸로 보이는데요.
집값이 더 치솟으면 다시 도입을 생각해볼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였습니다.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 나왔습니다.
Q.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의 부동산 6채 보유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요. 구체적으로 뭐가 논란이 되고 있어요?
논란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먼저 장 대표가 보유한 6채 부동산 가격을 실거래가보다 낮춰 밝힌 게 아니냐, 거짓말 한 게 아니냔 의혹이죠.
둘째, 6채 보유가 투기가 아니냐는 겁니다.
두 가지 논란 하나씩 따져보겠습니다.
Q. 장 대표가 거짓말 한 거예요?
장 대표가 거짓말 한 것 아닙니다.
장 대표가 그제 "6채 합쳐도 8억 5000만 원"이라고 했죠.
확인해보니, 장 대표는 주택 6채 대부분 취득했을 때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밝힌 금액이었는데요.
공직자 재산신고 때 부동산은 취득할 때 실거래가나 공시가격 중 높은 쪽으로 신고하게 돼 있습니다.
장 대표는 최근 공직자 재산신고 때 기준으로 집값 밝힌 거죠.
Q. 장 대표 거짓말은 아니고, 그러면 민주당 지적이 틀렸나요?
민주당의 지적도 맞습니다.
장 대표가 보유한 주택 6채 중 가장 비싼 서울 구로동 34평 아파트는 장 대표가 2019년 4억 8000만원에 샀는데요.
6년이 흐른 지금 7억 원대에 거래되고 있거든요.
민주당은 왜 현재 시세로 밝히지 않느냐를 문제삼은 거죠.
장 대표는 구로동 아파트 외에 지역구 충남 보령에 아파트와 단독주택, 국회 앞에 오피스텔을 갖고 있죠.
안양, 진주 아파트는 부인이 상속받아 지분을 일부 갖고 있고요.
시세 변동 제일 큰 구로동 아파트 가격 감안하면 6채 현재 시세가 11억 원 안팎으로 추정됩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인 14억 원대보다는 낮은 수준이죠.
Q. 6채 보유를 투기로 볼 수 있어요?
투기 여부 판단하려면 실거주 했나, 단기 시세차익을 노렸나 따져봐야 하는데요.
먼저 실거주 여부 살펴보면요.
서울 구로동 아파트와 충남 보령 아파트는 장 대표 부부가 거주하고 보령의 또다른 주택에 노모가 살고 있죠.
국회 앞 오피스텔은 의정 활동 위한 숙소로 사용했었는데 팔려고 했지만 거래가 없어 임대를 줬다고 하더라고요.
나머지 2채는 부인이 일부 지분 상속받은 거잖아요.
진주 아파트는 장모가 살고 안양 아파트에서 나오는 월세로 장모가 생계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장 대표 가족이 대부분 쓰고 있죠.
Q. 시세 차익 노린 투기는 아닙니까?
부동산 전문가들한테 물어보니 장 대표가 아파트를 보유한 서울 구로동이나 충남 보령이 개발 호재가 있거나 집값 상승률이 평균을 웃도는 투기 지역은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Q. 민주당 지난주 재초환 폐지, 보유세 등 거론했었는데 기류가 달라진 것 같아요.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거예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 보유세 인상, 또 최대 9년까지 전세계약을 연장하는 9년 전세법까지 일단 논의 안 한다, 덮자는 입장입니다.
모두 도입되면 시끄러운데 집값 잡는다는 보장은 없는 카드거든요.
부동산 관련 언급은 최대한 자제하면서 이슈가 잊혀지길 바라는 걸로 보이는데요.
집값이 더 치솟으면 다시 도입을 생각해볼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