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그야말로 감옥인데 오죽했을까요?
오늘 귀국한 근로자들, 끔찍했던 구금시설의 생활에 대해서 토로했는데요.
화장실도 오픈된 한 방에서 80명이 수용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동맹국인데도 이럴 수 있느냐"라는 불만도 나왔습니다.
김세인 기자입니다.
[기자]
근로자들은 당시 열악했던 구금 상황에 대해 생생히 증언했습니다.
[표인철 / 석방된 근로자]
"수갑 차고 발목 차고 뭐 팔찌 차고요. 끌려 들어간 상황이었고요. 뭐 수갑 같은 경우는 뭐 햇빛에 달궈져서 되게 뜨거운 상황에서 차고 들어갔던 상황이고요. 그때 화상을 입은 사람들도 꽤 많고요."
현장에 통역사가 없어 영어로 된 영장 뜻도 모른채 서명한 근로자도 있다고 말합니다.
[조현우 / 석방된 근로자]
"체포 영장 같은 경우도 영어로 되어 있으니까 그거를 모르는 분들은 영장인지 모르게 이제 사인을 하는 경우도…"
노후화된 수용소에서 한때 방 하나에 80명 가량이 지내기도 했다는 근로자들.
[구교성 / 석방된 근로자]
"화장실이나 샤워실은 다 오픈되어 있는 상황이었고요. 그냥 천막 하나 그냥 딱 상체 정도 가릴 수 있는 천막 하나 그렇게 해서 한 방에 70명에서 80명. 잠자기도 힘들고."
동맹국이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였다고 말합니다.
[석방된 근로자]
"콘크리트 바닥에서 침대도 모자르고, 매트리스도 없고 그냥 땅바닥에서 자고 했어요. 우리가 사실상 미국과 동맹국 아닙니까? 이런 식으로 대하는 건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하루 미뤄진 귀국길에 큰 실망을 했다는 이야기도 전했습니다.
[조현우 / 석방된 근로자]
"수갑을 저희가 버스에서 차고 이동을 하냐 아니면 안 차고 이동을 하냐 관련해가지고 지연된 걸로 기억을 하는데 저희는 차고 가도 되니까 어떻게든 그냥 빨리 좀 갔으면 좋겠다…"
미국 재입국시 문제가 없을 거라고 정부는 설명했지만 똑같은 일이 또 벌어질까 걱정이라는 반응도 나왔습니다.
채널A 뉴스 김세인입니다.
영상취재: 김근목 최준호 강인재
영상편집: 이태희
그야말로 감옥인데 오죽했을까요?
오늘 귀국한 근로자들, 끔찍했던 구금시설의 생활에 대해서 토로했는데요.
화장실도 오픈된 한 방에서 80명이 수용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동맹국인데도 이럴 수 있느냐"라는 불만도 나왔습니다.
김세인 기자입니다.
[기자]
근로자들은 당시 열악했던 구금 상황에 대해 생생히 증언했습니다.
[표인철 / 석방된 근로자]
"수갑 차고 발목 차고 뭐 팔찌 차고요. 끌려 들어간 상황이었고요. 뭐 수갑 같은 경우는 뭐 햇빛에 달궈져서 되게 뜨거운 상황에서 차고 들어갔던 상황이고요. 그때 화상을 입은 사람들도 꽤 많고요."
현장에 통역사가 없어 영어로 된 영장 뜻도 모른채 서명한 근로자도 있다고 말합니다.
[조현우 / 석방된 근로자]
"체포 영장 같은 경우도 영어로 되어 있으니까 그거를 모르는 분들은 영장인지 모르게 이제 사인을 하는 경우도…"
노후화된 수용소에서 한때 방 하나에 80명 가량이 지내기도 했다는 근로자들.
[구교성 / 석방된 근로자]
"화장실이나 샤워실은 다 오픈되어 있는 상황이었고요. 그냥 천막 하나 그냥 딱 상체 정도 가릴 수 있는 천막 하나 그렇게 해서 한 방에 70명에서 80명. 잠자기도 힘들고."
동맹국이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였다고 말합니다.
[석방된 근로자]
"콘크리트 바닥에서 침대도 모자르고, 매트리스도 없고 그냥 땅바닥에서 자고 했어요. 우리가 사실상 미국과 동맹국 아닙니까? 이런 식으로 대하는 건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하루 미뤄진 귀국길에 큰 실망을 했다는 이야기도 전했습니다.
[조현우 / 석방된 근로자]
"수갑을 저희가 버스에서 차고 이동을 하냐 아니면 안 차고 이동을 하냐 관련해가지고 지연된 걸로 기억을 하는데 저희는 차고 가도 되니까 어떻게든 그냥 빨리 좀 갔으면 좋겠다…"
미국 재입국시 문제가 없을 거라고 정부는 설명했지만 똑같은 일이 또 벌어질까 걱정이라는 반응도 나왔습니다.
채널A 뉴스 김세인입니다.
영상취재: 김근목 최준호 강인재
영상편집: 이태희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