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관세 협상 서명을 못 하고 있는데, 미국과의 기싸움이 이례적인 수준이에요?
대통령실 취재해보니, 이런 이야기까지 했습니다.
미국이 원하는대로 합의하고 서명하면 정권 탄핵감이라고요.
Q2. 그게 무슨 소리에요?
지금 미국이 원하는 건 명료합니다.
관세 협상 때 우리가 투자하기로 한 35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하면 486조원인데요.
이걸 전부 다 현금으로 내라는 겁니다.
지난달 우리 외환보유고의 80%가 넘는 돈이라 우린 이거 다 현금이나 달러로 주면, 외환위기 혹은 제2의 IMF라는 말도 나옵니다.
Q3. SPC 만든다는 건 무슨 말이에요?
SPC라는 건 간단합니다.
법인을 하나 만들어서 한국보고 미국에 투자할 돈을 태우라는 겁니다.
문제는 SPC 그 자체보다 거기에 태울 3500억 달러 돈의 형태입니다.
우리 측은 현금은 그 중 5%를 넘을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대부분은 빌려주거나, 보증만 서주려고 한 거죠.
그런데 미국은 이 돈을 100% 달러, 현금으로 투자하라는 겁니다.
Q5. SPC에 돈을 넣어요. 그럼 그걸로 우린 돈을 벌 수 있어요?
그게 또 문제인데요.
SPC에 돈을 넣으면, 어디에 쓸지는 미국이 정하고, 그 수익 대부분도 미국이 가져가겠다는 겁니다.
그러니 우리 정부 입장에선 완전 눈뜨고 코베이는 격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겁니다.
Q6. 그런데 일본은 관세 협정에 서명을 했어요? 어떻게 했대요?
일본은 8일 전에 서명을 했는데요.
똑같이 SPC 만들었고, 액수는 우리보다도 훨씬 더 많습니다. 5500억 불, 765조 인데요.
그 중 얼마가 현금이냐,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대통령 어제 회견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일본 합의 내용을 알 수가 없고, 우리는 이면 합의 없다.
일본이 어떻게 했는지 모르지만, 미국 압박에 못이겨 대충 서명하고 끝내는 이면 합의는 못한다는 겁니다.
Q5. 미국 러트닉 장관은 세게 압박했던데, 붙는 형국이군요?
러트닉 장관과 대통령 이야기를 합쳐보면, 강대 강입니다.
러트닉 장관은 관세 협정에 서명 하라는 거죠.
약속 지키라는 겁니다.
이 대통령, 어제 "사인 못했다고 비난하지 말아 달라" 이익되지 않으면 사인 안한다, 못 박았습니다.
그러자 미국은, "그래? 그러면 관세 두 달 전 합의한 15% 아니고, 25% 내야 한다" 이렇게 압박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관세 15%에 서명했는데, 일본 자동차와 경쟁하기 힘들 거야, 이렇게 압박하는 거죠.
하지만 이 대통령, "합리성과 공정성에 벗어난 협상 하지 않는다"고 했죠.
현금 486조 퍼줄 바에야 그냥 관세 25% 버티는 게 낫다는 게 대통령실 생각입니다.
Q6. 난감한 상황이네요. 버텨질까요?
미국은 버텨도 달라질게 없다고 압박합니다.
러트닉 장관은 이렇게 말했어요. "유연함은 없다" 일본보다 더 좋은 조건으로 협상 할 일은 없다고요.
그런데 대통령실 이야기를 들어보니, 그러면 '마스가 프로젝트' 못 할 수도 있다고 배수진을 치고 있습니다.
마스가 프로젝트에 태울 3500억 달러 뿐 아니라 1500억 달러 민간 투자도 어렵다고요.
Q7. 이런 상황이면 어떻게 되는거에요.
대통령실은 좀 더 지켜보자고 하더라고요.
러트닉 장관이 이렇게 압박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별 말이 없으니 전략일 수 있다는 건데요.
사실 서명 안 하고 장기화되면 양쪽 다 부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내 투자 성과 못 낼거고요.
우린 관세 25%로 계속 가면 자동차 업계가 타격을 받으니까요.
대통령실,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같다고 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관세 협상 서명을 못 하고 있는데, 미국과의 기싸움이 이례적인 수준이에요?
대통령실 취재해보니, 이런 이야기까지 했습니다.
미국이 원하는대로 합의하고 서명하면 정권 탄핵감이라고요.
Q2. 그게 무슨 소리에요?
지금 미국이 원하는 건 명료합니다.
관세 협상 때 우리가 투자하기로 한 35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하면 486조원인데요.
이걸 전부 다 현금으로 내라는 겁니다.
지난달 우리 외환보유고의 80%가 넘는 돈이라 우린 이거 다 현금이나 달러로 주면, 외환위기 혹은 제2의 IMF라는 말도 나옵니다.
Q3. SPC 만든다는 건 무슨 말이에요?
SPC라는 건 간단합니다.
법인을 하나 만들어서 한국보고 미국에 투자할 돈을 태우라는 겁니다.
문제는 SPC 그 자체보다 거기에 태울 3500억 달러 돈의 형태입니다.
우리 측은 현금은 그 중 5%를 넘을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대부분은 빌려주거나, 보증만 서주려고 한 거죠.
그런데 미국은 이 돈을 100% 달러, 현금으로 투자하라는 겁니다.
Q5. SPC에 돈을 넣어요. 그럼 그걸로 우린 돈을 벌 수 있어요?
그게 또 문제인데요.
SPC에 돈을 넣으면, 어디에 쓸지는 미국이 정하고, 그 수익 대부분도 미국이 가져가겠다는 겁니다.
그러니 우리 정부 입장에선 완전 눈뜨고 코베이는 격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겁니다.
Q6. 그런데 일본은 관세 협정에 서명을 했어요? 어떻게 했대요?
일본은 8일 전에 서명을 했는데요.
똑같이 SPC 만들었고, 액수는 우리보다도 훨씬 더 많습니다. 5500억 불, 765조 인데요.
그 중 얼마가 현금이냐,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대통령 어제 회견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일본 합의 내용을 알 수가 없고, 우리는 이면 합의 없다.
일본이 어떻게 했는지 모르지만, 미국 압박에 못이겨 대충 서명하고 끝내는 이면 합의는 못한다는 겁니다.
Q5. 미국 러트닉 장관은 세게 압박했던데, 붙는 형국이군요?
러트닉 장관과 대통령 이야기를 합쳐보면, 강대 강입니다.
러트닉 장관은 관세 협정에 서명 하라는 거죠.
약속 지키라는 겁니다.
이 대통령, 어제 "사인 못했다고 비난하지 말아 달라" 이익되지 않으면 사인 안한다, 못 박았습니다.
그러자 미국은, "그래? 그러면 관세 두 달 전 합의한 15% 아니고, 25% 내야 한다" 이렇게 압박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관세 15%에 서명했는데, 일본 자동차와 경쟁하기 힘들 거야, 이렇게 압박하는 거죠.
하지만 이 대통령, "합리성과 공정성에 벗어난 협상 하지 않는다"고 했죠.
현금 486조 퍼줄 바에야 그냥 관세 25% 버티는 게 낫다는 게 대통령실 생각입니다.
Q6. 난감한 상황이네요. 버텨질까요?
미국은 버텨도 달라질게 없다고 압박합니다.
러트닉 장관은 이렇게 말했어요. "유연함은 없다" 일본보다 더 좋은 조건으로 협상 할 일은 없다고요.
그런데 대통령실 이야기를 들어보니, 그러면 '마스가 프로젝트' 못 할 수도 있다고 배수진을 치고 있습니다.
마스가 프로젝트에 태울 3500억 달러 뿐 아니라 1500억 달러 민간 투자도 어렵다고요.
Q7. 이런 상황이면 어떻게 되는거에요.
대통령실은 좀 더 지켜보자고 하더라고요.
러트닉 장관이 이렇게 압박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별 말이 없으니 전략일 수 있다는 건데요.
사실 서명 안 하고 장기화되면 양쪽 다 부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내 투자 성과 못 낼거고요.
우린 관세 25%로 계속 가면 자동차 업계가 타격을 받으니까요.
대통령실,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같다고 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