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 나왔습니다.
Q. 대통령이 오늘 집값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 드러냈어요. 정부가 집값 잡기 위해 진짜 보유세도 올리는 건지 요즘 묻는 분들이 많아요.
대통령실과 정부 관계자가 최근 한 목소리로 보유세 인상 시사하는 듯한 발언 꺼냈잖아요.
대통령 정책실장도, 경제부총리도 모두 "보유세가 낮다"고요.
대통령실 대변인도 정책실장 발언 참고해달라고 하면서 언젠가 보유세 오를 수 있구나 하는 긴장감이 시장에서 감돌고 있습니다.
Q. 민주당은 전면 부인했어요?
오늘 부동산 TF 띄운 민주당, 아예 "보유세는 논의 안 한다"고 못 박았잖아요.
당 내부 다른 관계자들도 강경한 반응 보이더라고요.
"지금은 보유세 인상 논의할 때가 아니다"라고요.
Q. 왜 보유세 인상 논의할 때가 아니라는 거예요?
문재인 정부 때 부동산 정책 실패 반복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강하거든요.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세 차례 보유세를 올렸거든요.
다주택자 중과세율 높이거나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 높이는 방법으로요.
그런데 결과적으로 집값 못 잡았다는 겁니다.
결국 2021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2022년 대선, 지방선거 내리 패배했죠.
그 당시 교훈을 반면교사로 삼자는 겁니다.
Q. 민주당이 반대해도 정부가 세금 올릴 수 있긴 한 건가요?
보유세 올리려면 부동산 세제를 바꿔야 합니다.
다만,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 즉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높이면 법 개정 없이도 보유세 올릴 순 있죠.
다만, 정부가 당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올릴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Q. 그래서 보유세 인상하는 거예요, 안 하는 거예요?
여권 관계자 얘기 종합하면, 내년 지방선거 전까진 쉽지 않아 보입니다.
박용진 전 의원 어제 이렇게 말했죠.
"보유세 인상은 지방선거 악재"라고요.
보유세 올리면 1주택자는 '내가 뭘 잘못했다고 세금 더 내나' 하고, 다주택자는 세입자들에게 세 부담 전가한다는 거죠.
그러니까 보유세 올린다고 집주인도, 세입자 누구도 행복해지진 않는단 거죠.
대통령은 대선 때 "세금 올려 집값 안 잡는다"고 했는데 이 말 뒤집는 것도 부담이죠.
더구나 내년 지방선거는 대통령 입장에서도 이겨야 할 중요한 선거거든요.
Q. 대통령실은 그런 부담에도 왜 보유세 얘길 꺼낸 걸까요? 당정 엇박자는 아닌가요?
대통령실이 보유세 꺼낸 이유, 그만큼 집값 잡아야 한다는 절박함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고가 주택 살 때 대출 틀어막는 내용의 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집값 잡아야 하는데, 안 되면 최후의 카드로 쓸 수 있다고 엄포를 놓은 거죠.
부동산 시장도 심리로 움직이는만큼, "집값 안 잡히면 세금 올릴 수 있다" 일단 경고한 거죠.
당정 엇박자라기 보다 대통령실은 시장에 경고하고 당은 민심을 달래는 일종의 '약속대련'으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였습니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 나왔습니다.
Q. 대통령이 오늘 집값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 드러냈어요. 정부가 집값 잡기 위해 진짜 보유세도 올리는 건지 요즘 묻는 분들이 많아요.
대통령실과 정부 관계자가 최근 한 목소리로 보유세 인상 시사하는 듯한 발언 꺼냈잖아요.
대통령 정책실장도, 경제부총리도 모두 "보유세가 낮다"고요.
대통령실 대변인도 정책실장 발언 참고해달라고 하면서 언젠가 보유세 오를 수 있구나 하는 긴장감이 시장에서 감돌고 있습니다.
Q. 민주당은 전면 부인했어요?
오늘 부동산 TF 띄운 민주당, 아예 "보유세는 논의 안 한다"고 못 박았잖아요.
당 내부 다른 관계자들도 강경한 반응 보이더라고요.
"지금은 보유세 인상 논의할 때가 아니다"라고요.
Q. 왜 보유세 인상 논의할 때가 아니라는 거예요?
문재인 정부 때 부동산 정책 실패 반복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강하거든요.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세 차례 보유세를 올렸거든요.
다주택자 중과세율 높이거나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 높이는 방법으로요.
그런데 결과적으로 집값 못 잡았다는 겁니다.
결국 2021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2022년 대선, 지방선거 내리 패배했죠.
그 당시 교훈을 반면교사로 삼자는 겁니다.
Q. 민주당이 반대해도 정부가 세금 올릴 수 있긴 한 건가요?
보유세 올리려면 부동산 세제를 바꿔야 합니다.
다만,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 즉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높이면 법 개정 없이도 보유세 올릴 순 있죠.
다만, 정부가 당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올릴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Q. 그래서 보유세 인상하는 거예요, 안 하는 거예요?
여권 관계자 얘기 종합하면, 내년 지방선거 전까진 쉽지 않아 보입니다.
박용진 전 의원 어제 이렇게 말했죠.
"보유세 인상은 지방선거 악재"라고요.
보유세 올리면 1주택자는 '내가 뭘 잘못했다고 세금 더 내나' 하고, 다주택자는 세입자들에게 세 부담 전가한다는 거죠.
그러니까 보유세 올린다고 집주인도, 세입자 누구도 행복해지진 않는단 거죠.
대통령은 대선 때 "세금 올려 집값 안 잡는다"고 했는데 이 말 뒤집는 것도 부담이죠.
더구나 내년 지방선거는 대통령 입장에서도 이겨야 할 중요한 선거거든요.
Q. 대통령실은 그런 부담에도 왜 보유세 얘길 꺼낸 걸까요? 당정 엇박자는 아닌가요?
대통령실이 보유세 꺼낸 이유, 그만큼 집값 잡아야 한다는 절박함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고가 주택 살 때 대출 틀어막는 내용의 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집값 잡아야 하는데, 안 되면 최후의 카드로 쓸 수 있다고 엄포를 놓은 거죠.
부동산 시장도 심리로 움직이는만큼, "집값 안 잡히면 세금 올릴 수 있다" 일단 경고한 거죠.
당정 엇박자라기 보다 대통령실은 시장에 경고하고 당은 민심을 달래는 일종의 '약속대련'으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