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나 편하자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끼치는 게 바로 민폐인데요.
오늘 현장카메라는 그런 민낯을 담았습니다.
마트에서 마련한 카트를 집 앞까지 끌고갈 땐 편했겠지만, 이걸 나몰라라 냉패개치면 치우는 건 누구 몫일까요.
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건 이렇게 쓰라고 둔 물건이 아닙니다.
[현장음]
<저, 죄송합니다 선생님. (마트) 카트 끌고 가시는 이유가 있으실까요?>
"물건이 무거워서."
<카트가 선생님 건가요?>
"아니요."
<여기까지 끌고 와도 된다고 허락 받으신 거예요?>
"허락받은 건 아니고요. 왜 물어보시는 거예요? 집 앞에 있는 거 다 가져가세요."
<반납은 안 하세요?>
"안 합니다."
대형마트 카트에 장 본 물건을 싣고 집 앞까지 끌고 갑니다.
도착하면 카트는 나 몰라라하니 사방팔방 버려집니다.
[아파트 주민]
"외부에서 차량 가지고 와서 장 보시는 분들도 차 세워놓고 와서 (카트로) 싣고 여기에 카트 세우고 가세요"
이 사람은 기자를 마트 직원으로 착각했나봅니다.
[현장음]
<혹시 카트 선생님 건가요?>
"아니요. 가져가시면 돼요."
"무거워서 (카트에 실어) 가지고 왔죠."
<가게 안으로 돌려주실 생각은 없나요?>
"지금 가져가잖아요 지금!"
마트 바로 옆 아파트면 그나마 양반입니다.
대로까지 끌고나와 1km 남짓 떨어진 집 앞까지 가기도 합니다.
이런 사람도 있습니다.
[현장음]
<카트 어디까지 끌고 가세요?>
"버스정류장까지"
<원래 외부 반출이 안 되는데요.>
"그래요? 그런데 엄마들 다 끌고 가던데요?"
버스 타고 떠나버리면 방치된 카트는 누가 치우라는 걸까요?
[현장음]
"주민들이 저기 놓으면 (마트에서 카트를) 다 수거해 가요. (카트를 마트에서) 못 끌고 가게 하면 (마트) 매상에 지장이 있지. 동네 장사인데, 저쪽에 매장이 새로 생겼는데."
마트가 속앓이를 하며 매일 숨은 카트를 찾아다니는 이유입니다.
[이상수 / 대형마트 직원]
"(하루에) 보통 200개 정도 나온다고 보면 되고. 쓰레기장에서 싣고 오는 경우도 있고. 이걸 바깥에 놔두면 할머니들이 또 끌고 간다고. 그럼 계속 멀리 가는 거야."
[대형마트 관계자]
"카트 때문에 인력을 하나 배치를 해놓는 게 그 자체만으로도 사실 저희한테 좀 큰 부담이긴 합니다."
이 마트는 외부 반출 금지 안내문도 붙였지만, 인근 지하도에는 최대한 집 근처까지 끌고 온 뒤 놓고 가버린 카트가 산적합니다.
[현장음]
"아니 여기 두면 되잖아요. 누가 가져가겠어요 귀찮게. 여기 두면 (마트에서) 가져간단 말이에요."
카트를 지상까지 끌어올리려면, 장애인과 노약자용 엘리베이터로 여러번 싣고 나르는 방법이 유일합니다.
카트를 끌고 다니는 사람에게 물으니 관행이랍니다.
[현장음]
"내가 1979년도에 이사왔어. 마흔 네 살에 와서 여지껏 해서 아흔이 됐는데. 그때부터 이렇게 쓰는 거야. 끌고 다니는 것."
하지만 가져가는 사람 따로, 수거해가는 사람 따로인 이 상황이 오래 전부터 해왔다고 당연한 일인 건 아닙니다.
[마트 인근 주민]
"남의 것 끌고 오는 거잖아 여기까지 내 편의를 위해서. 개인 카트기 많이 팔아요. 거기 싣고 오면 되거든요? 안하무인이에요. (다른 사람) 안중에도 없어요."
현장카메라 정성원입니다.
PD : 홍주형
AD : 조양성
작가 : 신채원
나 편하자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끼치는 게 바로 민폐인데요.
오늘 현장카메라는 그런 민낯을 담았습니다.
마트에서 마련한 카트를 집 앞까지 끌고갈 땐 편했겠지만, 이걸 나몰라라 냉패개치면 치우는 건 누구 몫일까요.
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건 이렇게 쓰라고 둔 물건이 아닙니다.
[현장음]
<저, 죄송합니다 선생님. (마트) 카트 끌고 가시는 이유가 있으실까요?>
"물건이 무거워서."
<카트가 선생님 건가요?>
"아니요."
<여기까지 끌고 와도 된다고 허락 받으신 거예요?>
"허락받은 건 아니고요. 왜 물어보시는 거예요? 집 앞에 있는 거 다 가져가세요."
<반납은 안 하세요?>
"안 합니다."
대형마트 카트에 장 본 물건을 싣고 집 앞까지 끌고 갑니다.
도착하면 카트는 나 몰라라하니 사방팔방 버려집니다.
[아파트 주민]
"외부에서 차량 가지고 와서 장 보시는 분들도 차 세워놓고 와서 (카트로) 싣고 여기에 카트 세우고 가세요"
이 사람은 기자를 마트 직원으로 착각했나봅니다.
[현장음]
<혹시 카트 선생님 건가요?>
"아니요. 가져가시면 돼요."
"무거워서 (카트에 실어) 가지고 왔죠."
<가게 안으로 돌려주실 생각은 없나요?>
"지금 가져가잖아요 지금!"
마트 바로 옆 아파트면 그나마 양반입니다.
대로까지 끌고나와 1km 남짓 떨어진 집 앞까지 가기도 합니다.
이런 사람도 있습니다.
[현장음]
<카트 어디까지 끌고 가세요?>
"버스정류장까지"
<원래 외부 반출이 안 되는데요.>
"그래요? 그런데 엄마들 다 끌고 가던데요?"
버스 타고 떠나버리면 방치된 카트는 누가 치우라는 걸까요?
[현장음]
"주민들이 저기 놓으면 (마트에서 카트를) 다 수거해 가요. (카트를 마트에서) 못 끌고 가게 하면 (마트) 매상에 지장이 있지. 동네 장사인데, 저쪽에 매장이 새로 생겼는데."
마트가 속앓이를 하며 매일 숨은 카트를 찾아다니는 이유입니다.
[이상수 / 대형마트 직원]
"(하루에) 보통 200개 정도 나온다고 보면 되고. 쓰레기장에서 싣고 오는 경우도 있고. 이걸 바깥에 놔두면 할머니들이 또 끌고 간다고. 그럼 계속 멀리 가는 거야."
[대형마트 관계자]
"카트 때문에 인력을 하나 배치를 해놓는 게 그 자체만으로도 사실 저희한테 좀 큰 부담이긴 합니다."
이 마트는 외부 반출 금지 안내문도 붙였지만, 인근 지하도에는 최대한 집 근처까지 끌고 온 뒤 놓고 가버린 카트가 산적합니다.
[현장음]
"아니 여기 두면 되잖아요. 누가 가져가겠어요 귀찮게. 여기 두면 (마트에서) 가져간단 말이에요."
카트를 지상까지 끌어올리려면, 장애인과 노약자용 엘리베이터로 여러번 싣고 나르는 방법이 유일합니다.
카트를 끌고 다니는 사람에게 물으니 관행이랍니다.
[현장음]
"내가 1979년도에 이사왔어. 마흔 네 살에 와서 여지껏 해서 아흔이 됐는데. 그때부터 이렇게 쓰는 거야. 끌고 다니는 것."
하지만 가져가는 사람 따로, 수거해가는 사람 따로인 이 상황이 오래 전부터 해왔다고 당연한 일인 건 아닙니다.
[마트 인근 주민]
"남의 것 끌고 오는 거잖아 여기까지 내 편의를 위해서. 개인 카트기 많이 팔아요. 거기 싣고 오면 되거든요? 안하무인이에요. (다른 사람) 안중에도 없어요."
현장카메라 정성원입니다.
PD : 홍주형
AD : 조양성
작가 : 신채원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