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실 출입하는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지금 뭔가 돼가는 분위기입니까? APEC 계기로 뭔가 타결되는 거예요?
냉랭했던 공기가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물어보면 신중했던 경제통상라인 수장 '입'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뭔가가 될 거 같다'고요.
우리 쪽뿐 아니라 베선트 미 재무장관도 "열흘 내 협상 마무리 된다"며 APEC 타결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Q2. 지금 뭐가 풀렸길래 이렇게 급물살을 탄 거예요?
관세협상은 두 가지가 핵심입니다.
현금으로 돈을 태워야하는 우리 쪽에서는 내야 하는 전체 액수가 가장 중요합니다.
원화든 달러든 그보단, 액수가 중요하죠.
또 하나, 그 돈을 어디에 투자하며, 투자 수익을 어떻게 나눌 거냐가 포인트입니다.
급물살을 타기 시작한 건 바로 이 앞 부분, 현금 투자입니다.
Q3. 투자 액수에 있어 뭔가 접점을 찾은 건가요?
한미 양측이 서로 한 발씩 물러나기 시작했습니다.
3500억 달러 중 우리 마지노선은 현금 5% 였습니다.
감당 가능한 범위 내 상향 조정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반면 3500억 달러를 100% 다 현금으로 내라, 그리고 선불이다, 완납해라 했던 미국 측은 분납을 고려하기 시작했습니다.
조금 가까워진 거죠.
미국 측도 한국이 왜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요청하는지 이해하기 시작해, 다른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Q4. 그래도 5%와 100% 격차가 너무 커서, 이게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트럼프는 오늘도 선불 3500억 달러 썼던데요?
네, 게다가 제가 아까 핵심이라고 한 두 가지 중 후반부, 어디에 투자하고 어떻게 나눌지는 아직 이견이 여전합니다.
미국은 자기들이 원하는 곳에 투자하고, 수익도 90%를 가져가겠다고 하고 있죠.
그건 베선트 재무장관과 달리 강경파로 불리는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풀어야 합니다.
김정관 장관이 이번에 러트닉 장관 만날 걸로 보입니다.
Q5. 거기가 중요하겠군요. 러트닉과 잘 풀리면 협상 타결 되는 거예요?
그렇죠. 순식간에 풀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다다음주 경주에서 한미 정상 만남 때 전격 타결될 수 있겠죠.
외교소식통에 물어보니, 미국 쪽도 미중 관세 협상 전 한국과 협상을 마무리짓고 싶어 한다 합니다.
대통령실도 조금 전 "주요 쟁점에 대해 이견을 좁혀 나가고 있다"고 했고요.
방미단이 미국 핵심 예산 관리 기관인 백악관 관리예산국도 방문할 예정이라 기대감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중론도 여전합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 "미 측 어떻게 나오는지 조금 더 지켜보자"고 하더라고요.
여전히 타결 시점보다 국익이 중요하다는 입장엔 변함 없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대통령실 출입하는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지금 뭔가 돼가는 분위기입니까? APEC 계기로 뭔가 타결되는 거예요?
냉랭했던 공기가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물어보면 신중했던 경제통상라인 수장 '입'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뭔가가 될 거 같다'고요.
우리 쪽뿐 아니라 베선트 미 재무장관도 "열흘 내 협상 마무리 된다"며 APEC 타결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Q2. 지금 뭐가 풀렸길래 이렇게 급물살을 탄 거예요?
관세협상은 두 가지가 핵심입니다.
현금으로 돈을 태워야하는 우리 쪽에서는 내야 하는 전체 액수가 가장 중요합니다.
원화든 달러든 그보단, 액수가 중요하죠.
또 하나, 그 돈을 어디에 투자하며, 투자 수익을 어떻게 나눌 거냐가 포인트입니다.
급물살을 타기 시작한 건 바로 이 앞 부분, 현금 투자입니다.
Q3. 투자 액수에 있어 뭔가 접점을 찾은 건가요?
한미 양측이 서로 한 발씩 물러나기 시작했습니다.
3500억 달러 중 우리 마지노선은 현금 5% 였습니다.
감당 가능한 범위 내 상향 조정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반면 3500억 달러를 100% 다 현금으로 내라, 그리고 선불이다, 완납해라 했던 미국 측은 분납을 고려하기 시작했습니다.
조금 가까워진 거죠.
미국 측도 한국이 왜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요청하는지 이해하기 시작해, 다른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Q4. 그래도 5%와 100% 격차가 너무 커서, 이게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트럼프는 오늘도 선불 3500억 달러 썼던데요?
네, 게다가 제가 아까 핵심이라고 한 두 가지 중 후반부, 어디에 투자하고 어떻게 나눌지는 아직 이견이 여전합니다.
미국은 자기들이 원하는 곳에 투자하고, 수익도 90%를 가져가겠다고 하고 있죠.
그건 베선트 재무장관과 달리 강경파로 불리는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풀어야 합니다.
김정관 장관이 이번에 러트닉 장관 만날 걸로 보입니다.
Q5. 거기가 중요하겠군요. 러트닉과 잘 풀리면 협상 타결 되는 거예요?
그렇죠. 순식간에 풀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다다음주 경주에서 한미 정상 만남 때 전격 타결될 수 있겠죠.
외교소식통에 물어보니, 미국 쪽도 미중 관세 협상 전 한국과 협상을 마무리짓고 싶어 한다 합니다.
대통령실도 조금 전 "주요 쟁점에 대해 이견을 좁혀 나가고 있다"고 했고요.
방미단이 미국 핵심 예산 관리 기관인 백악관 관리예산국도 방문할 예정이라 기대감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중론도 여전합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 "미 측 어떻게 나오는지 조금 더 지켜보자"고 하더라고요.
여전히 타결 시점보다 국익이 중요하다는 입장엔 변함 없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