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책사회부 조영민 차장과 캄보디아 사태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해보겠습니다.
Q1. 일단 채널A 취재진이 도착해서 이 범죄단지 내에서 일을 했던 사람을 만났어요?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그동안 가까스로 탈출했다는 한국인 피해자들의 경험은 많이 들을 수 있었죠.
하지만 이 단지가 어떻게 조직되고 돌아가는지 그 전체를 파악하려면 가까이서 이 단지를 겪어본 사람을 만날 필요가 있다고 봤습니다.
진료소, 상점, 이발소, 안마소, 성매매업소 등 단지 내에서 가게를 운영하는 사람이 제격일거라고 판단했습니다.
예상대로 진술이 구체적이고 막힘이 없었습니다.
Q2. 일단 구조가 좀 눈에 띄었어요
4단계 계급구조 입니다.
가장 위에 범죄단지의 주인을 사장이라 합니다.
그 밑으로 감독 조장 조원 순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각각 얼마를 버는지 그 수입도 구체적으로 진술했습니다.
성과를 내면 조원이 조장이되고, 조장이 감독도 될 수 있다.
다만 기준 액수를 채우지 못하면 가차없이 물건처럼 팔려간다고 했습니다.
Q3. 범죄단지끼리 사람을 거래하는 거군요.
취재진이 들은 말 중에서 사실 가장 섬뜩했던 게 이 부분입니다.
"사람의 장기를 판매하는 경우도 있는데, 살아있는 사람 파는 게 더 낫다"라고 했습니다.
그 이유를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살아만 있으면 평생 일 시킬 수 있으니 거기서 나오는 수익이 더 크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또, '뺑뺑이'라고 표현하더라고요.
수백개의 단지가 조원들을 사고팔며 계속 돌린다고 했습니다.
절대 나올 수 없다.
장담하듯 얘기했습니다.
Q4. 범죄 방식에 대해서도 좀 물어봤습니까?
목표로 삼은 피해자가 가장 필요한 것을 파악한 뒤 접근한다고 했습니다.
그 '필요'를 어떻게 아느냐?
그 부분까지 정확히 듣지는 못했습니다.
상당히 충격적이었던 건 최근 범행 수법이 얼마나 진화했는지 이 부분이었습니다.
Q5. 범행 수법이 진화했나요?
수백개의 범죄단지들도, 그 규모가 천차만별인만큼, 가지고 있는 범죄 기술도 제각각이라고 하더라고요.
고도의 기술을 갖춘 단지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보이스피싱을 잘 하기 위해 부모 등 가족을 사칭해 영상 통화도 한다" "AI로 음성이랑 얼굴을 바꿀 수 있다" 이렇게요.
Q6. 이렇게 범죄 수법이 고도화되고 있는데 왜 가만히 놔두고 있는지 사실 좀 의하합니다. 오히려 현지 경찰에 대해 전혀 신경쓰는 분위기가 아니라는 이야기도 있었거든요?
경찰과도 충분한 커넥션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앞서 최다함 기자 기사에 담기지 않았지만, 이런 주장도 했습니다.
"경찰이 범죄단지 조원들 단속해서 잡아간 뒤 그 조원을 다른 범죄단지에 파는 경우도 있다", "소규모 단지 단속나가서 잡아온 다음에 자기가 뒤 봐주는 큰 단지에다가 파는 거다" 라고요.
현지에서는 공권력을 통한 단속망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Q7. 범죄단지가 지금까지 유지해 올 수 있었던 이유를 말하는 것 같군요.
큰 단지에서 경험을 쌓으면 독립해서 소규모의 자기 단지를 꾸리는 조장들도 있다고 합니다.
가지 치듯 범죄단지가 늘어나는 방식이란 거죠.
눈에 띄는 대목 중에는 이런 것도 있었습니다.
저희 최다함 기자가 단지 안에서 가장 나이가 어린 사람은 어느정도냐, 이렇게 물었더니 "14살 짜리도 있었다. 중국인 부모가 친구네 범죄 단지에 보내서 공부하게 했다." 라고 말했습니다.
쉽게 뿌리뽑기 어려운 구조를 가늠케 합니다.
실상을 들여다 볼수록 문제가 더 심각하단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 정책사회부 조영민 차장이었습니다.
정책사회부 조영민 차장과 캄보디아 사태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해보겠습니다.
Q1. 일단 채널A 취재진이 도착해서 이 범죄단지 내에서 일을 했던 사람을 만났어요?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그동안 가까스로 탈출했다는 한국인 피해자들의 경험은 많이 들을 수 있었죠.
하지만 이 단지가 어떻게 조직되고 돌아가는지 그 전체를 파악하려면 가까이서 이 단지를 겪어본 사람을 만날 필요가 있다고 봤습니다.
진료소, 상점, 이발소, 안마소, 성매매업소 등 단지 내에서 가게를 운영하는 사람이 제격일거라고 판단했습니다.
예상대로 진술이 구체적이고 막힘이 없었습니다.
Q2. 일단 구조가 좀 눈에 띄었어요
4단계 계급구조 입니다.
가장 위에 범죄단지의 주인을 사장이라 합니다.
그 밑으로 감독 조장 조원 순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각각 얼마를 버는지 그 수입도 구체적으로 진술했습니다.
성과를 내면 조원이 조장이되고, 조장이 감독도 될 수 있다.
다만 기준 액수를 채우지 못하면 가차없이 물건처럼 팔려간다고 했습니다.
Q3. 범죄단지끼리 사람을 거래하는 거군요.
취재진이 들은 말 중에서 사실 가장 섬뜩했던 게 이 부분입니다.
"사람의 장기를 판매하는 경우도 있는데, 살아있는 사람 파는 게 더 낫다"라고 했습니다.
그 이유를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살아만 있으면 평생 일 시킬 수 있으니 거기서 나오는 수익이 더 크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또, '뺑뺑이'라고 표현하더라고요.
수백개의 단지가 조원들을 사고팔며 계속 돌린다고 했습니다.
절대 나올 수 없다.
장담하듯 얘기했습니다.
Q4. 범죄 방식에 대해서도 좀 물어봤습니까?
목표로 삼은 피해자가 가장 필요한 것을 파악한 뒤 접근한다고 했습니다.
그 '필요'를 어떻게 아느냐?
그 부분까지 정확히 듣지는 못했습니다.
상당히 충격적이었던 건 최근 범행 수법이 얼마나 진화했는지 이 부분이었습니다.
Q5. 범행 수법이 진화했나요?
수백개의 범죄단지들도, 그 규모가 천차만별인만큼, 가지고 있는 범죄 기술도 제각각이라고 하더라고요.
고도의 기술을 갖춘 단지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보이스피싱을 잘 하기 위해 부모 등 가족을 사칭해 영상 통화도 한다" "AI로 음성이랑 얼굴을 바꿀 수 있다" 이렇게요.
Q6. 이렇게 범죄 수법이 고도화되고 있는데 왜 가만히 놔두고 있는지 사실 좀 의하합니다. 오히려 현지 경찰에 대해 전혀 신경쓰는 분위기가 아니라는 이야기도 있었거든요?
경찰과도 충분한 커넥션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앞서 최다함 기자 기사에 담기지 않았지만, 이런 주장도 했습니다.
"경찰이 범죄단지 조원들 단속해서 잡아간 뒤 그 조원을 다른 범죄단지에 파는 경우도 있다", "소규모 단지 단속나가서 잡아온 다음에 자기가 뒤 봐주는 큰 단지에다가 파는 거다" 라고요.
현지에서는 공권력을 통한 단속망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Q7. 범죄단지가 지금까지 유지해 올 수 있었던 이유를 말하는 것 같군요.
큰 단지에서 경험을 쌓으면 독립해서 소규모의 자기 단지를 꾸리는 조장들도 있다고 합니다.
가지 치듯 범죄단지가 늘어나는 방식이란 거죠.
눈에 띄는 대목 중에는 이런 것도 있었습니다.
저희 최다함 기자가 단지 안에서 가장 나이가 어린 사람은 어느정도냐, 이렇게 물었더니 "14살 짜리도 있었다. 중국인 부모가 친구네 범죄 단지에 보내서 공부하게 했다." 라고 말했습니다.
쉽게 뿌리뽑기 어려운 구조를 가늠케 합니다.
실상을 들여다 볼수록 문제가 더 심각하단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 정책사회부 조영민 차장이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