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거센 비는 광주와 전남 함평지역도 쑥대밭으로 만들었습니다.
솟구치는 빗물에 도심 맨홀 뚜껑이 날아가고, 전통시장은 물에 잠겼습니다.
보름만에 다시 겪는 물난리에 주민들 허탈감이 이만 저만이 아닌데, 당장 모레 또 많은 비가 예보돼 있어 걱정입니다.
이어서 공국진 기자입니다.
[기자]
광주시내 도심 도로에서 흙탕물이 분수처럼 쉴새없이 솟구칩니다.
맨홀 4곳의 뚜껑은 날아가버렸고, 주변은 순식간에 물바다가 됐습니다.
[김금숙 / 인근 상인]
"그때 상황이요. 끔찍하죠. 폭포수, 분수처럼. 물살이 너무 세서 지나갈 수가 없어요."
지난달 17일 극한 호우로 침수됐던 광주시내 하천 주변은 보름만에 또 잠겼습니다.
도로는 들이친 빗물에 스티로폼 등 쓰레기가 둥둥 떠다닙니다.
달리던 차량은 결국 멈춰버렸고 주택가 골목 골목도 빗물이 꽉 들어찼습니다.
[김영자 / 침수 피해 주민]
"무서움이 들더라니까, 비만 오면. 집에서 못 자고 다 도망갔어. 엄청 쏟아지더만 다 도망갔지."
거센 물줄기가 차량 본네트 위까지 덮쳤고, 또다른 차량은 물살을 가르며 겨우 나아갑니다.
물에 잠긴 도로를 벗어나려는 경차는 사방이 막혀 빙빙 돌뿐입니다.
함평 시내 전통시장도 전부 물에 잠겨버렸습니다.
한때 성인 허리 높이까지 물이 찼던 함평읍 전통시장인데요.
각종 가재도구가 떠밀려와 아수라장이 됐습니다.
[홍경미 / 침수 피해 상인]
"난리에요. 저 어떻게 할 수가 없어요. 시장에 있던 물건이 저희 가게로 다 들어왔어요."
이번 극한 폭우로 전국에서 2130세대, 3천 명이 대피했습니다.
또 다시 수도권, 경상도에 많은 비가 예보돼 주민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
영상취재 : 정승환
영상편집 : 차태윤
거센 비는 광주와 전남 함평지역도 쑥대밭으로 만들었습니다.
솟구치는 빗물에 도심 맨홀 뚜껑이 날아가고, 전통시장은 물에 잠겼습니다.
보름만에 다시 겪는 물난리에 주민들 허탈감이 이만 저만이 아닌데, 당장 모레 또 많은 비가 예보돼 있어 걱정입니다.
이어서 공국진 기자입니다.
[기자]
광주시내 도심 도로에서 흙탕물이 분수처럼 쉴새없이 솟구칩니다.
맨홀 4곳의 뚜껑은 날아가버렸고, 주변은 순식간에 물바다가 됐습니다.
[김금숙 / 인근 상인]
"그때 상황이요. 끔찍하죠. 폭포수, 분수처럼. 물살이 너무 세서 지나갈 수가 없어요."
지난달 17일 극한 호우로 침수됐던 광주시내 하천 주변은 보름만에 또 잠겼습니다.
도로는 들이친 빗물에 스티로폼 등 쓰레기가 둥둥 떠다닙니다.
달리던 차량은 결국 멈춰버렸고 주택가 골목 골목도 빗물이 꽉 들어찼습니다.
[김영자 / 침수 피해 주민]
"무서움이 들더라니까, 비만 오면. 집에서 못 자고 다 도망갔어. 엄청 쏟아지더만 다 도망갔지."
거센 물줄기가 차량 본네트 위까지 덮쳤고, 또다른 차량은 물살을 가르며 겨우 나아갑니다.
물에 잠긴 도로를 벗어나려는 경차는 사방이 막혀 빙빙 돌뿐입니다.
함평 시내 전통시장도 전부 물에 잠겨버렸습니다.
한때 성인 허리 높이까지 물이 찼던 함평읍 전통시장인데요.
각종 가재도구가 떠밀려와 아수라장이 됐습니다.
[홍경미 / 침수 피해 상인]
"난리에요. 저 어떻게 할 수가 없어요. 시장에 있던 물건이 저희 가게로 다 들어왔어요."
이번 극한 폭우로 전국에서 2130세대, 3천 명이 대피했습니다.
또 다시 수도권, 경상도에 많은 비가 예보돼 주민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
영상취재 : 정승환
영상편집 : 차태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