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현장 카메라]소변 담은 페트병까지…해안가 점령한 中 쓰레기

2025-08-04 19:29 사회

[앵커]
중국에서 밀려온 해양 쓰레기가 우리 바다를 뒤덮고 있습니다.

쓰레기 산이 생길 정도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습니다.

배준석 기자가 현장카메라에 담았습니다.

[기자]
한마디로 밑빠진 독에 물붓기입니다.

[현장음]
"지난 달부터 계속 주워도 주워도 끝도 없어."

[현장음]
"거의 이런 거 전부 중국 게 한 7-80%되는데…"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 해안선을 점령한 쓰레기.

바닥에 파묻힌 포대자루부터, 녹슨 드럼통, 온갖 페트병 등 쓰레기마다 중국어가 선명합니다.

내용물 없는 쓰레기면 차라리 낫다는 말까지 나옵니다.

[백령도 상인]
"별 게 다 있어요. 페트병, 물병 같은 데는 노란 물 같은 게 있어요. 거기다가 이제 배설을 하고 버리는 것 같아요."

상인의 말대로 해안가에서는 정체불명의 노란 액체가 담긴 페트병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백령도에 몰려온 쓰레기는 모아뒀다 1년에 한 번 육지로 옮겨서 버립니다.

그동안 섬 한켠에는 이렇게 쓰레기 산이 생깁니다.

[쓰레기 수거업자]
"지금 밖에 이렇게 쌓여 있어요. 실어 나르는데 감당을 못하는 거야.너무 많이 밀리니까."

이게 백령도만의 문제일까요?

더 남쪽에 있는 서해안국립공원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해변길을 따라 밀려들어온 쓰레기가 빼곡합니다.

어떤 쓰레기들인지 좀 가서 살펴보겠습니다.

중국어가 적힌 통도 떠밀려 왔고요.

페트병도 있습니다.

이런 형형색색의 플라스틱 조형물은 중국어선만 쓰는 부표입니다. 

하늘에서 보니 쓰레기로 몸살을 앓는 국립공원의 모습이 적나라합니다.

중국발 쓰레기는 꼭 지정된 곳에서 소각해야 합니다.

유해 쓰레기일지도 모르니 아무 곳에서나 소각하면 안되는 겁니다.

[○○군청 관계자]
"생활 쓰레기나 이런 게 아니라서, 처리비를 주고 소각을 하는 거에요."

이번에는 바닷속으로 갑니다.

잠수사들이 폐어망과 쓰레기를 한 데 모아 수면 위로 띄웁니다.

다국적 쓰레기는 이제 동해도 위협합니다.

[박두철 / 수중정화 단체 대표]
"해양쓰레기는 제가 가보니까 없는 곳이 없어요. 아무래도 중국하고 일본 쓰레기가 많고요."

정부가 뾰족한 대책을 못찾는 사이, 버리는 사람 따로, 치우는 사람 따로인 상황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장카메라, 배준석입니다.

PD: 홍주형
AD: 진원석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