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외국에서 '노 코리안'이라는 문구 보면 기분 상하겠죠.
서울에 중국인 손님은 받지 않겠다는 '노 차이니즈' 카페가 생겨 논란입니다.
무슨 사연이 있는 건지, 홍지혜 기자가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기자]
SNS에서 화제가 된 서울 성동구의 한 카페 소개글.
"미안하지만 중국인 손님을 안 받겠다"고 적혀 있습니다.
카페로 직접 찾아가 주인에게 이유를 물었더니 다른 손님들을 위한 거라고 설명합니다.
[카페 사장]
"중국인 손님이 오시면 다른 한국인 분들의 반응이 조금 너무 달라요. 진짜 시끄럽네 비속어를 쓰면서. 이런 반응이 내 가게에서 좀 안 생겼으면 좋겠다."
실제로 카페 입장을 거부당했다는 중국인 경험담이 온라인에 퍼지자, 중국인들은 분노하고 있습니다.
[헨리 / 중국인 인플루언서]
"한국에서 본 카페중에 가장 인종차별적인 카페예요. 이해가 안가네요. 왜 내 나라를 이렇게 증오하는지."
[췐잉 / 중국 상하이시]
"친절하지 않다고 느껴요. 서울은 국제화된 도시이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서 왔든 상관없이 다 환영해주고 따뜻하게 해줘야 한다."
카페 주인은 자신은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시민들은 공감하기 어렵단 반응이 많습니다.
[강민석 / 경기 의정부시]
"각국의 외국인들이 찾는 것 같은데 그렇게 특정 중국인만 이렇게 못 오게 한다는 건 조금 말이 안 되지 않나."
카페 주인은 국내의 '반중 정서'가 누그러진다면 중국인 손님도 받겠다고 말했습니다.
채널A 뉴스 홍지혜입니다.
영상취재: 김찬우
영상편집: 형새봄
외국에서 '노 코리안'이라는 문구 보면 기분 상하겠죠.
서울에 중국인 손님은 받지 않겠다는 '노 차이니즈' 카페가 생겨 논란입니다.
무슨 사연이 있는 건지, 홍지혜 기자가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기자]
SNS에서 화제가 된 서울 성동구의 한 카페 소개글.
"미안하지만 중국인 손님을 안 받겠다"고 적혀 있습니다.
카페로 직접 찾아가 주인에게 이유를 물었더니 다른 손님들을 위한 거라고 설명합니다.
[카페 사장]
"중국인 손님이 오시면 다른 한국인 분들의 반응이 조금 너무 달라요. 진짜 시끄럽네 비속어를 쓰면서. 이런 반응이 내 가게에서 좀 안 생겼으면 좋겠다."
실제로 카페 입장을 거부당했다는 중국인 경험담이 온라인에 퍼지자, 중국인들은 분노하고 있습니다.
[헨리 / 중국인 인플루언서]
"한국에서 본 카페중에 가장 인종차별적인 카페예요. 이해가 안가네요. 왜 내 나라를 이렇게 증오하는지."
[췐잉 / 중국 상하이시]
"친절하지 않다고 느껴요. 서울은 국제화된 도시이기 때문에 어느 나라에서 왔든 상관없이 다 환영해주고 따뜻하게 해줘야 한다."
카페 주인은 자신은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시민들은 공감하기 어렵단 반응이 많습니다.
[강민석 / 경기 의정부시]
"각국의 외국인들이 찾는 것 같은데 그렇게 특정 중국인만 이렇게 못 오게 한다는 건 조금 말이 안 되지 않나."
카페 주인은 국내의 '반중 정서'가 누그러진다면 중국인 손님도 받겠다고 말했습니다.
채널A 뉴스 홍지혜입니다.
영상취재: 김찬우
영상편집: 형새봄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