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저는 몰랐습니다.
수출용 김치에 적인 배추의 원재료명이 '차이니즈 캐비지' 였다네요.
이제는 중국 배추 아닌, '김치 캐비지'로 표기가 가능해졌습니다.
세계 규격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리며 김치 종주국의 위상을 인정받게 됐습니다.
오은선 기자입니다.
[기자]
한 외국인 유튜버가 직접 김치를 만들면서 배추를 '중국 배추'라고 소개합니다.
[현장음]
"가장 먼저, 준비한 <차이니즈 캐비지(배추)>를 소금에 잘 절여줍니다."
일본에서 판매한는 김치 제품에도 '중국 배추'가 적혀 있습니다.
김치에 사용하는 배추의 공식 영어 명칭이 차이니즈 캐비지, 중국 배추이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외국에 수출하는 김치의 원재료명에는 배추의 공식 명칭인 '차이니즈 캐비지'로만 적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김치 캐비지', 즉 김치 배추로 표기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정부가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총회에서 김치의 세계 규격에 '김치 캐비지'를 추가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김치 종주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이 국제 규범에 반영된 겁니다.
이번 결정으로 앞으로 수출용 제품 라벨을 만들 때 한국산 원재료 표기를 명확히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배성윤 / 서울 서대문구]
"차이니즈 캐비지라고 표기 됐을 때는 외국 사람들이 아 이게 중국의 파오차이라고 오해를 할 수 있다."
정부는 국내 농가와 가공업체의 김치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채널A 뉴스 오은선입니다.
영상취재:정기섭
영상편집:이혜리
저는 몰랐습니다.
수출용 김치에 적인 배추의 원재료명이 '차이니즈 캐비지' 였다네요.
이제는 중국 배추 아닌, '김치 캐비지'로 표기가 가능해졌습니다.
세계 규격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리며 김치 종주국의 위상을 인정받게 됐습니다.
오은선 기자입니다.
[기자]
한 외국인 유튜버가 직접 김치를 만들면서 배추를 '중국 배추'라고 소개합니다.
[현장음]
"가장 먼저, 준비한 <차이니즈 캐비지(배추)>를 소금에 잘 절여줍니다."
일본에서 판매한는 김치 제품에도 '중국 배추'가 적혀 있습니다.
김치에 사용하는 배추의 공식 영어 명칭이 차이니즈 캐비지, 중국 배추이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외국에 수출하는 김치의 원재료명에는 배추의 공식 명칭인 '차이니즈 캐비지'로만 적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김치 캐비지', 즉 김치 배추로 표기할 수 있게 됐습니다.
정부가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총회에서 김치의 세계 규격에 '김치 캐비지'를 추가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김치 종주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이 국제 규범에 반영된 겁니다.
이번 결정으로 앞으로 수출용 제품 라벨을 만들 때 한국산 원재료 표기를 명확히 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배성윤 / 서울 서대문구]
"차이니즈 캐비지라고 표기 됐을 때는 외국 사람들이 아 이게 중국의 파오차이라고 오해를 할 수 있다."
정부는 국내 농가와 가공업체의 김치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채널A 뉴스 오은선입니다.
영상취재:정기섭
영상편집:이혜리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