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시설수급자 가운데 마약성 진통제와 같은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이 86.8%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2일 한국보건사회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나온 연구 결과를 오늘(25일) 공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요양시설 수급자 18만7077명과 재가 수급자 70만4109명 등 총 89만1186명을 대상으로 연간 1일 이상 복용환자와 28일 이상 복용환자를 나눠 분석했습니다.
중추신경계용 약물은 뇌와 척수에 작용하는 약물로, 이번 연구에서는 마약성진통제, 항정신병제, 항불안제, 수면진정제, 항우울제를 포함했습니다.
연구 결과 요양시설 수급자의 연간 1일 이상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 비율이 86.8%로 재가 수급자(77.2%)보다 9.6%p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간 28일 이상 복용자의 경우에는 시설 수급자의 비율이 76.7%로 재가 수급자(56.6%)보다 20.1%p 높아 더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재가 수급자보다 시설 수급자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장기복용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 겁니다.
시설수급자의 경우 항정신병제 사용률이 높아 서로 다른 중추신경계용 약물군이 병용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 환자에서 다른 약물군이 각각 180일 이상 처방된 경우를 병용으로 간주했을 때 항정신병제와 항우울제의 병용이 15.3%, 항정신병제와 항불안제의 병용은 10.2%로 확인됐습니다.
이정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중추신경계용 약물은 중독과 의존, 낙상과 골절 위험,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며 "장기요양시설의 인력과 전문성 부족으로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건보공단은 우리나라 요양시설수급 노인의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률이 31.7~78.0% 수준인 외국에 비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건보공단은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장기요양시설 입소자에게 약물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