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민의힘 전당대회 첫 연설회장에서 소란을 피운 전한길 씨에 대한 징계 결과가 나왔는데요.
가장 약한 수위 '경고'가 나왔습니다.
당내에선 "치욕의 날"이란 비판이 나왔습니다.
백승연 기자입니다
[기자]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지난 8일)]
"배신자! 배신자!"
지난주 합동연설회장에서 전한길 씨가 소란을 피우자 국민의힘은 즉각 전 씨에 대해 전당대회 출입금지를 조치하고 중징계를 예고해 왔습니다.
[송언석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지난 11일)]
"집단적인 야유와 고함을 공공연히 선동했다는 점에서 죄질이 매우 엄중하다고 판단됩니다."
[여상원 / 국민의힘 윤리위원장(지난 11일)]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죄질이) 그렇게 가볍지만은 않지 않느냐. 전한길 씨는 그날 발언할 권한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오늘 윤리위가 내린 징계는 '경고' 처분.
가장 가벼운 수준으로 사실상 불이익이 없습니다.
전당대회 소란으로 징계한 전례가 없고 물리적 폭력은 없었다는 이유입니다.
전 씨가 재발 방지를 약속한 점도 반영됐습니다.
[여상원 / 국민의힘 윤리위원장]
"윤리위는 정치 기관은 아니지 않습니까? 국민 여론이 나쁘다고 해서, 예컨대 사람을 가다가 부딪혀서 넘어져 상처를 입었는데 그것을 마치 고의적인 상해하고 똑같이 처벌하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당내에서도 비판이 나왔습니다.
안철수 의원은 "열불이 난다"며 "국민의힘 치욕의 날"이라 했고, 박상수 전 대변인은 "고발을 해도 모자란데 경고라니"라고 반발했습니다.
전 씨는 징계 발표 이후 "윤리위도 내가 피해자란 걸 다 알고 있더라"며 "앞으로 친한파 세력을 몰아내겠다"고 했습니다.
채널A 뉴스 백승연입니다.
영상취재: 이 철 김명철
영상편집: 강 민
국민의힘 전당대회 첫 연설회장에서 소란을 피운 전한길 씨에 대한 징계 결과가 나왔는데요.
가장 약한 수위 '경고'가 나왔습니다.
당내에선 "치욕의 날"이란 비판이 나왔습니다.
백승연 기자입니다
[기자]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지난 8일)]
"배신자! 배신자!"
지난주 합동연설회장에서 전한길 씨가 소란을 피우자 국민의힘은 즉각 전 씨에 대해 전당대회 출입금지를 조치하고 중징계를 예고해 왔습니다.
[송언석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지난 11일)]
"집단적인 야유와 고함을 공공연히 선동했다는 점에서 죄질이 매우 엄중하다고 판단됩니다."
[여상원 / 국민의힘 윤리위원장(지난 11일)]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죄질이) 그렇게 가볍지만은 않지 않느냐. 전한길 씨는 그날 발언할 권한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오늘 윤리위가 내린 징계는 '경고' 처분.
가장 가벼운 수준으로 사실상 불이익이 없습니다.
전당대회 소란으로 징계한 전례가 없고 물리적 폭력은 없었다는 이유입니다.
전 씨가 재발 방지를 약속한 점도 반영됐습니다.
[여상원 / 국민의힘 윤리위원장]
"윤리위는 정치 기관은 아니지 않습니까? 국민 여론이 나쁘다고 해서, 예컨대 사람을 가다가 부딪혀서 넘어져 상처를 입었는데 그것을 마치 고의적인 상해하고 똑같이 처벌하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당내에서도 비판이 나왔습니다.
안철수 의원은 "열불이 난다"며 "국민의힘 치욕의 날"이라 했고, 박상수 전 대변인은 "고발을 해도 모자란데 경고라니"라고 반발했습니다.
전 씨는 징계 발표 이후 "윤리위도 내가 피해자란 걸 다 알고 있더라"며 "앞으로 친한파 세력을 몰아내겠다"고 했습니다.
채널A 뉴스 백승연입니다.
영상취재: 이 철 김명철
영상편집: 강 민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