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천경자 화백의 '미인도' 논란 기억하십니까?
천 화백은 국립현대미술관에 전시됐던 미인도가 자신의 작품이 아니라고 주장했고 유족들도 위작이라고 했지만, 미술관 측은 천 화백의 그림이 맞다고 주장헸죠.
34년 만에 나온 최종 결론을 송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검은 머리를 흩날리는 여성의 모습을 그린 그림.
1991년 당시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인데 천경자 화백이 그린 '미인도'로 소개됐습니다.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 소장품이었다가 10.26 사태 이후 압수돼 정부 소유가 됐는데, 천 화백은 "자기 자식을 몰라보는 부모가 있느냐"며 자기 작품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미술관 측이 진품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자 천 화백 측은 명예훼손으로 고소·고발도 했습니다.
당시 검찰은 진품이라고 결론내렸습니다.
[노승권 / 당시 서울중앙지검 제1차장검사(2016년)]
"미인도는 진품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고, 현 시점에서 동원 가능한 모든 감정방법을 통해 진실규명을 (했습니다.)"
천 화백 특유의 제작 방식이 미인도에도 동일하게 반영됐다고 본 겁니다.
2015년 천 화백이 작고한 뒤에도 유족은 국가가 명예훼손을 했다며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습니다.
"천 화백의 다른 작품에는 있는 코드가 미인도에는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1, 2심은 위작이 아니라고 본 검찰 수사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최근 대법원도 국가의 배상 책임이 없다고 확정지으면서, 34년에 걸친 미인도 위작 논란은 종지부를 찍게 됐습니다.
채널A 뉴스 송정현입니다.
영상편집: 형새봄
천경자 화백의 '미인도' 논란 기억하십니까?
천 화백은 국립현대미술관에 전시됐던 미인도가 자신의 작품이 아니라고 주장했고 유족들도 위작이라고 했지만, 미술관 측은 천 화백의 그림이 맞다고 주장헸죠.
34년 만에 나온 최종 결론을 송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검은 머리를 흩날리는 여성의 모습을 그린 그림.
1991년 당시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인데 천경자 화백이 그린 '미인도'로 소개됐습니다.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 소장품이었다가 10.26 사태 이후 압수돼 정부 소유가 됐는데, 천 화백은 "자기 자식을 몰라보는 부모가 있느냐"며 자기 작품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미술관 측이 진품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자 천 화백 측은 명예훼손으로 고소·고발도 했습니다.
당시 검찰은 진품이라고 결론내렸습니다.
[노승권 / 당시 서울중앙지검 제1차장검사(2016년)]
"미인도는 진품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고, 현 시점에서 동원 가능한 모든 감정방법을 통해 진실규명을 (했습니다.)"
천 화백 특유의 제작 방식이 미인도에도 동일하게 반영됐다고 본 겁니다.
2015년 천 화백이 작고한 뒤에도 유족은 국가가 명예훼손을 했다며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습니다.
"천 화백의 다른 작품에는 있는 코드가 미인도에는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1, 2심은 위작이 아니라고 본 검찰 수사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최근 대법원도 국가의 배상 책임이 없다고 확정지으면서, 34년에 걸친 미인도 위작 논란은 종지부를 찍게 됐습니다.
채널A 뉴스 송정현입니다.
영상편집: 형새봄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