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추억에 한 번 잠겨보실까요?
수십 년 전 소싯적에 먹었던 과자나 라면, 그 때 그 맛으로 식품업계가 복고 제품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우현기 기자입니다.
[기자]
[현장음]
"옛날 그 맛이 나요."
국내 한 라면회사가 1960년대 출시됐던 국내 최초 라면을 리뉴얼해 재출시했습니다.
1963년에 제조된 라면 제품은 닭 디자인이 담긴 모습인데요.
이번에 다시 출시하면서 당시 사용하던 재료와 제조 연도를 앞세웠습니다.
[김진호 / 서울 용산구]
"중학교 1학년 때니까 그때 또 생각하면서 한 번 또 먹어보죠."
다른 식품회사들도 올해 1970~80년대 출시됐다 단종된 제품들을 앞다퉈 내놨습니다.
새로 출시된 라면은 당시 그림을 그대로 가져왔고, 과자는 당시와 디자인이 유사한 봉지를 사용했습니다.
[현장음]
"형님 먼저 아우 먼저."
1980년대 만들어진 떠먹는 요거트 제품도 단종됐다 올해 상반기 다시 출시됐습니다.
기업들이 복고 제품을 잇따라 내놓는 이유는, 세대별로 폭넓은 소비자층에게 어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장년층에게는 과거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고, 젊은 세대에게는 그 시절의 감성을 새롭고 트렌디하게 느끼게 합니다.
[이은희 /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
"(과거) 향수를 불러일으키게 하는 효과가 있고, 오랜 역사 동안 소비자의 선택을 받으면서 회사가 운영됐다는 신뢰감을 주기에 충분하다…"
여기에 기업의 기념일 등에 맞춰 오랜 정통성을 강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효과적이라는 분석입니다.
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
영상취재 : 강철규
영상편집 : 남은주
추억에 한 번 잠겨보실까요?
수십 년 전 소싯적에 먹었던 과자나 라면, 그 때 그 맛으로 식품업계가 복고 제품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우현기 기자입니다.
[기자]
[현장음]
"옛날 그 맛이 나요."
국내 한 라면회사가 1960년대 출시됐던 국내 최초 라면을 리뉴얼해 재출시했습니다.
1963년에 제조된 라면 제품은 닭 디자인이 담긴 모습인데요.
이번에 다시 출시하면서 당시 사용하던 재료와 제조 연도를 앞세웠습니다.
[김진호 / 서울 용산구]
"중학교 1학년 때니까 그때 또 생각하면서 한 번 또 먹어보죠."
다른 식품회사들도 올해 1970~80년대 출시됐다 단종된 제품들을 앞다퉈 내놨습니다.
새로 출시된 라면은 당시 그림을 그대로 가져왔고, 과자는 당시와 디자인이 유사한 봉지를 사용했습니다.
[현장음]
"형님 먼저 아우 먼저."
1980년대 만들어진 떠먹는 요거트 제품도 단종됐다 올해 상반기 다시 출시됐습니다.
기업들이 복고 제품을 잇따라 내놓는 이유는, 세대별로 폭넓은 소비자층에게 어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장년층에게는 과거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고, 젊은 세대에게는 그 시절의 감성을 새롭고 트렌디하게 느끼게 합니다.
[이은희 /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
"(과거) 향수를 불러일으키게 하는 효과가 있고, 오랜 역사 동안 소비자의 선택을 받으면서 회사가 운영됐다는 신뢰감을 주기에 충분하다…"
여기에 기업의 기념일 등에 맞춰 오랜 정통성을 강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효과적이라는 분석입니다.
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
영상취재 : 강철규
영상편집 : 남은주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