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시가 6개월 전 서울 일부 거리를 '킥보드 없는 거리'로 지정했었는데요,
효과는 어땠을까요?
김승희 기자가 킥보드 없는 거리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서울 반포 학원가와 함께 킥보드 없는 거리로 지정된 홍대 거리입니다.
[인근 상인]
"부딪힐 뻔한 그런 상황들이 가끔 있기는 해요. 근데 이제 그게 많이 없어져서 요새는 좀 다니기가 수월한…"
[성원준 / 인근 상인]
"원래는 킥보드 둘이서 타고 다니고 하는 위험한 경우도 많이 봤었는데 요즘에는 그런 모습이 많이 안 보여서."
레드로드 중심거리입니다.
킥보드를 타고 지나는 사람들을 찾아볼 수 없고요.
여기저기 방치돼있던 킥보드들도 사라졌습니다.
서울시가 금지 거리 인근에서 생활하는 시민 500명을 조사해보니, 10명 중 8명꼴로 충돌 위험이 줄었다고 답했습니다.
서울에 킥보드 없는 거리를 더 만들어야 한다는 응답은 98.4%에 달했습니다.
서울시도 금지 거리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양규석 / 서울시 개인형이동장치팀장]
"경찰하고 협의해서 보행자와 킥보드의 충돌 위험이 높은 곳을 다시 한번 찾아보도록…."
킥보드 없는 거리에서 킥보드를 탈 경우, 범칙금 3만 원에 벌점 15점이 부과됩니다.
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래범
영상편집 : 강 민
서울시가 6개월 전 서울 일부 거리를 '킥보드 없는 거리'로 지정했었는데요,
효과는 어땠을까요?
김승희 기자가 킥보드 없는 거리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서울 반포 학원가와 함께 킥보드 없는 거리로 지정된 홍대 거리입니다.
[인근 상인]
"부딪힐 뻔한 그런 상황들이 가끔 있기는 해요. 근데 이제 그게 많이 없어져서 요새는 좀 다니기가 수월한…"
[성원준 / 인근 상인]
"원래는 킥보드 둘이서 타고 다니고 하는 위험한 경우도 많이 봤었는데 요즘에는 그런 모습이 많이 안 보여서."
레드로드 중심거리입니다.
킥보드를 타고 지나는 사람들을 찾아볼 수 없고요.
여기저기 방치돼있던 킥보드들도 사라졌습니다.
서울시가 금지 거리 인근에서 생활하는 시민 500명을 조사해보니, 10명 중 8명꼴로 충돌 위험이 줄었다고 답했습니다.
서울에 킥보드 없는 거리를 더 만들어야 한다는 응답은 98.4%에 달했습니다.
서울시도 금지 거리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양규석 / 서울시 개인형이동장치팀장]
"경찰하고 협의해서 보행자와 킥보드의 충돌 위험이 높은 곳을 다시 한번 찾아보도록…."
킥보드 없는 거리에서 킥보드를 탈 경우, 범칙금 3만 원에 벌점 15점이 부과됩니다.
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
영상취재 : 김래범
영상편집 : 강 민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