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는기자 외교부 출입하는 정다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대통령실이 미국에 구금된 한국인 구금자 석방 협상이 마무리됐다고 했습니다. 이틀 만에 협상 타결 어떻게 된 겁니까?
서울, 조지아, 워싱턴 외교 채널이 총동원됐습니다.
협상의 핵심은 '석방 후 자진 출국' 이었습니다.
미국이 반이민정책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건 상황에서 우리 국민이 자칫 다시 미국에 입국하기 어려운 추방 또는 이민 재판 대상이 될까 우려가 컸기 때문입니다.
외교부는 주미대사관 총영사를 중심으로 현장대책반을 설치해 구금자 면담과 현지 당국 협상을 해왔는데요.
그러던 중 오늘 오후 4시쯤 전격적으로 석방 협상이 거의 마무리됐다고 발표한 겁니다.
Q2. 미국은 왜 저러는거죠?
미국이 던진 메시지는 명확해 보입니다.
'미국에 공장을 지었으면 미국인을 채용하라'는 건데요.
장기화할 조짐이 보였던 사태가 이틀 만에 마무리 수순을 밟게 된 건 사실상 '한국 길들이기용'이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미국 측에선 한국인들이 미국 현지 공장에서 일하는 걸 미국인 일자리를 빼앗는 행위로 보고 있는 건데요.
이번 사태의 제보자를 자처한 미국 극우 성향 정치인은요, 한국 기업이 "세제 혜택을 받았지만 조지아 주민 일자리 창출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이 이런 단속을 벌인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5년 전에도 조지아주 SK이노베이션 공장 건설 현장을 상대로 체포 작전이 벌어졌는데요.
당시 전자여행허가, ESTA를 받아 근무하던 한국인 13명이 자진 출국 형식으로 나온 바 있습니다.
Q3. 왜 이런 일이 또 일어난건가요?
미국은 적법한 비자를 받지 않고 미국에서 일하는 것을 문제 삼고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때 우리 기업들이 대규모 대미 투자를 약속하고 속속 실현해오고 있는데요.
업계 관계자들에게 들어보니, 적법한 비자 발급 절차가 생각보다 길고, 또 미국인 근로자를 채용하고 싶어도 업무 효율성 측면에서 관리가 쉽지 않아 어쩔 수 없이 국내 인력을 투입해왔다고 합니다.
이번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요.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미국 출장자의 비자 체계 등을 점검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번 사태를 최근 큰 틀에서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과 연결하는 시각도 일부 존재하는데요.
미국이 우리 정부, 기업으로부터 추가적인 투자를 끌어내기 위한 지렛대로 이번 일을 벌인 것이 아니냐, 이런 문제제기입니다.
실제 미국의 의도가 무엇인지는 앞으로의 협상 진행 상황을 더 지켜봐야할 걸로 보입니다.
Q4. 전세기로 오기 전까지 구금자들은 어떻게 지내나요?
제가 오늘 구금자 가족분들과 얘기를 나눠봤는데요.
상황을 들어보니 아직까지 회사 측에서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한 경우도 있고, 상당히 혼란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뉴스로 소식을 알게 된 뒤 연락이 닿지 않아 구금된 것 같다, 이렇게 추정한다는 가족들도 있었는데요.
일부 구금자는 지병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복용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협의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상황에 밝은 현지 법조계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수감된 인원이 워낙 많아 아직 신원 확인 작업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신원이 확인되는대로 수갑은 풀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하는데요.
정부가 석방 협상을 마무리했다고 발표한 것과는 별개로, 아직 완전히 상황이 끝난 게 아니다보니 가족들은 마음 졸이며 소식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아는기자 외교부 출입하는 정다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대통령실이 미국에 구금된 한국인 구금자 석방 협상이 마무리됐다고 했습니다. 이틀 만에 협상 타결 어떻게 된 겁니까?
서울, 조지아, 워싱턴 외교 채널이 총동원됐습니다.
협상의 핵심은 '석방 후 자진 출국' 이었습니다.
미국이 반이민정책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건 상황에서 우리 국민이 자칫 다시 미국에 입국하기 어려운 추방 또는 이민 재판 대상이 될까 우려가 컸기 때문입니다.
외교부는 주미대사관 총영사를 중심으로 현장대책반을 설치해 구금자 면담과 현지 당국 협상을 해왔는데요.
그러던 중 오늘 오후 4시쯤 전격적으로 석방 협상이 거의 마무리됐다고 발표한 겁니다.
Q2. 미국은 왜 저러는거죠?
미국이 던진 메시지는 명확해 보입니다.
'미국에 공장을 지었으면 미국인을 채용하라'는 건데요.
장기화할 조짐이 보였던 사태가 이틀 만에 마무리 수순을 밟게 된 건 사실상 '한국 길들이기용'이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미국 측에선 한국인들이 미국 현지 공장에서 일하는 걸 미국인 일자리를 빼앗는 행위로 보고 있는 건데요.
이번 사태의 제보자를 자처한 미국 극우 성향 정치인은요, 한국 기업이 "세제 혜택을 받았지만 조지아 주민 일자리 창출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이 이런 단속을 벌인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5년 전에도 조지아주 SK이노베이션 공장 건설 현장을 상대로 체포 작전이 벌어졌는데요.
당시 전자여행허가, ESTA를 받아 근무하던 한국인 13명이 자진 출국 형식으로 나온 바 있습니다.
Q3. 왜 이런 일이 또 일어난건가요?
미국은 적법한 비자를 받지 않고 미국에서 일하는 것을 문제 삼고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때 우리 기업들이 대규모 대미 투자를 약속하고 속속 실현해오고 있는데요.
업계 관계자들에게 들어보니, 적법한 비자 발급 절차가 생각보다 길고, 또 미국인 근로자를 채용하고 싶어도 업무 효율성 측면에서 관리가 쉽지 않아 어쩔 수 없이 국내 인력을 투입해왔다고 합니다.
이번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요.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미국 출장자의 비자 체계 등을 점검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번 사태를 최근 큰 틀에서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과 연결하는 시각도 일부 존재하는데요.
미국이 우리 정부, 기업으로부터 추가적인 투자를 끌어내기 위한 지렛대로 이번 일을 벌인 것이 아니냐, 이런 문제제기입니다.
실제 미국의 의도가 무엇인지는 앞으로의 협상 진행 상황을 더 지켜봐야할 걸로 보입니다.
Q4. 전세기로 오기 전까지 구금자들은 어떻게 지내나요?
제가 오늘 구금자 가족분들과 얘기를 나눠봤는데요.
상황을 들어보니 아직까지 회사 측에서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한 경우도 있고, 상당히 혼란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뉴스로 소식을 알게 된 뒤 연락이 닿지 않아 구금된 것 같다, 이렇게 추정한다는 가족들도 있었는데요.
일부 구금자는 지병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복용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협의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상황에 밝은 현지 법조계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수감된 인원이 워낙 많아 아직 신원 확인 작업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신원이 확인되는대로 수갑은 풀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하는데요.
정부가 석방 협상을 마무리했다고 발표한 것과는 별개로, 아직 완전히 상황이 끝난 게 아니다보니 가족들은 마음 졸이며 소식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