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한 어르신 일자리센터에서 어르신들이 직업교육을 듣고 있다.(사진출처=뉴시스)
통계청이 오늘(6일)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55∼79세 고령층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인구는 1001만 명으로, 작년보다 32만 8000명 늘어나며 200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0만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고령층 취업자 수도 978만 명으로 1년 새 34만 4000명 증가했습니다.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0.9%, 59.5%로 모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에서 고령층 취업자가 많았고, 직업별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2.6%), 서비스 종사자(14.5%) 비중이 큰 반면, 관리자(2.1%)나 사무직(8.3%)에서는 낮았습니다.
하지만 고령층 중 현재도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 남아 있는 비율은 30.1%에 불과하고, 평균 52.9세에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금만으로 노후 생활을 유지하긴 빠듯합니다. 지난해 연금 수령자는 850만 2000명으로 고령층의 절반 이상이었지만, 월 평균 연금액은 국민연금연구원이 제시한 1인 기준 노후 최저 생활비 136만 1000원의 63% 수준인 86만 원에 그쳤습니다.
불안정한 노후 탓에 고령층의 69.4%는 앞으로도 일하길 원했으며, 근로 희망 연령도 평균 73.4세로 2011년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