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지면서 한국 찾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더 늘고 있는데요.
이제 이들을 '유커'가 아닌 '싼커'라 부른다고 합니다.
쇼핑 트렌드가 달라졌다네요.
장호림 기자가 경제카메라에 담았습니다.
[기자]
친구들과 함께 단체 관광을 온 중국인 장쉔 씨는 한국에 오자마자 국내 의류 매장부터 찾았습니다.
[장쉔·우티엔그 / 중국인 관광객]
"한국 브랜드들 옷 스타일은 저한테 딱 맞는 것 같습니다. 입고 사진 찍으니까 너무 잘 나와서 인스타 감성이 느껴집니다."
이곳 성수동은 개성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중국의 2030세대인 바링허우와 주링허우들의 필수 방문지로 떠올랐는데요.
다양한 국내 의류 브랜드들이 있는데다, 한국 드라마 속에서 보던 의상들을 직접 입어볼 수도 있습니다.
지난달 29일부터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면서 한국을 찾는 중국인 단체관광객 유커가 늘고 있지만, 소비 행태는 과거와 달라졌습니다.
면세점 백화점을 돌며 명품 쇼핑을 하는 대신, 개별관광객 '싼커'들처럼 편의점과 뷰티로드샵 등 로컬 상점을 찾아 트렌디한 가성비 상품에 지갑을 열고 있는 겁니다.
[흐흐 / 중국인 관광객]
"(면세점 보다) 보통 상품이 많고 가격이 저렴한 가성비 매장에서 (화장품을) 많이 삽니다."
이전에는 백화점에서 비싼 건강기능식품을 샀다면, 이제는 약국에서 파는 저렴한 한국 약을 구입합니다.
[권누리 / 약사]
"보통 본인들이 쇼핑할려는 리스트를 (미리) 가지고 오셔요."
K컬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여행 주도층이 SNS 활용과 실속형 소비에 익숙한 세대로 교체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이훈 /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
"(지금은) 여행의 주도층이 젊은 층이기도 하고 또 여성층이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까 또 쇼핑의 스타일도 좀 바뀌는 거죠."
유커들의 소비패턴이 달라진 만큼 한국 관광업계의 대응 전략도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경제카메라 장호림입니다.
연출: 박희웅 이유니
구성: 강전호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지면서 한국 찾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더 늘고 있는데요.
이제 이들을 '유커'가 아닌 '싼커'라 부른다고 합니다.
쇼핑 트렌드가 달라졌다네요.
장호림 기자가 경제카메라에 담았습니다.
[기자]
친구들과 함께 단체 관광을 온 중국인 장쉔 씨는 한국에 오자마자 국내 의류 매장부터 찾았습니다.
[장쉔·우티엔그 / 중국인 관광객]
"한국 브랜드들 옷 스타일은 저한테 딱 맞는 것 같습니다. 입고 사진 찍으니까 너무 잘 나와서 인스타 감성이 느껴집니다."
이곳 성수동은 개성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중국의 2030세대인 바링허우와 주링허우들의 필수 방문지로 떠올랐는데요.
다양한 국내 의류 브랜드들이 있는데다, 한국 드라마 속에서 보던 의상들을 직접 입어볼 수도 있습니다.
지난달 29일부터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면서 한국을 찾는 중국인 단체관광객 유커가 늘고 있지만, 소비 행태는 과거와 달라졌습니다.
면세점 백화점을 돌며 명품 쇼핑을 하는 대신, 개별관광객 '싼커'들처럼 편의점과 뷰티로드샵 등 로컬 상점을 찾아 트렌디한 가성비 상품에 지갑을 열고 있는 겁니다.
[흐흐 / 중국인 관광객]
"(면세점 보다) 보통 상품이 많고 가격이 저렴한 가성비 매장에서 (화장품을) 많이 삽니다."
이전에는 백화점에서 비싼 건강기능식품을 샀다면, 이제는 약국에서 파는 저렴한 한국 약을 구입합니다.
[권누리 / 약사]
"보통 본인들이 쇼핑할려는 리스트를 (미리) 가지고 오셔요."
K컬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여행 주도층이 SNS 활용과 실속형 소비에 익숙한 세대로 교체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이훈 /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
"(지금은) 여행의 주도층이 젊은 층이기도 하고 또 여성층이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까 또 쇼핑의 스타일도 좀 바뀌는 거죠."
유커들의 소비패턴이 달라진 만큼 한국 관광업계의 대응 전략도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경제카메라 장호림입니다.
연출: 박희웅 이유니
구성: 강전호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